•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웰빙 건강약술
 
 
 
 

자주가는 링크

 
 
카페 게시글
웃음이 건강 스크랩 [유머] 신언서판 3.0 / 김상순|변호사
Namsangki 추천 0 조회 232 16.09.13 11:27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




신언서판 3.0


김상순|변호사


산업화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


“현대 지식인들에게 ICT가 꼭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자주 듣는 질문 중 하나다. 산업화 시대에는 국어, 영어, 수학이 중요했다. 극단적으로 예를 들자면, 몇 개의 제품을 어떻게 만들 것인지 하는 업무지시를 위해서 국어와 수학이 필요했고, 만든 물건을 외국에 수출해야 하니 영어가 필요했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산업화 시대의 생활 양상을 급격하게 바꾸었다.

이제 현대에 와서 그 국·영·수라는 단어만큼이나 많이 들리는 단어가 디지털(digital), 인터넷(internet), 컴퓨터(computer), 스마트(smart) 등의 단어다.

이제는 생활용어가 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닌, 이러한 단어가 사용되는 ICT 산업군(群)은 우리 삶에 얼마나 가까이 와 있는 것일까?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사람 대신 컴퓨터가 운전을 한다는「자율 주행차(self driving car)」를 예로 들어 보겠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로 등장하게 된 이 기기는 우리에게 새로운 화두(話頭)를 던져주고 있다.


첫 번째, 만약 사람이 운행하는 자동차와 자율주행차가 서로 교통사고를 낸다면, 자율주행차는 책임이 전혀 없는 것일까? 기계는 잘못이 없고, 상대방 인간 운전자만 100%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일까?

만일 소송으로 다투어진다면, 운전을 했던 사람의 소송대리인은 보통의 교통사고와는 다른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하는 것일까?


두 번째, 만약 자율주행차끼리 운행 중 사고가 난다면, 궁극적으로 책임을 져야 하는 주체는 누구일까?

제조물 책임의 문제로 보아 자동차 생산자의 책임으로 보아야 할까? 운행 관련 소프트웨어의 결함으로 보아야 할까?


세 번째, 만약 실수로 사고를 저지르는 경우의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가입하는 자동차 보험은 어떻게 앞으로 달라지는 것일까? 자동차 보험은 이제 불필요한 영역이 되어 버렸다고 성급히 단정 지어도 되는 것일까?



디지털 시대의 온고지신


현대는 어떤 생각과 관점을 가지고 사물을 바라볼 것인가가 더욱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하지만, 도구(tool)는 도구일 뿐 중요한 것은 도구를 사용하는 사람의 관점이다. 똑같은 물이라도 뱀이 마시면 독액이 되지만, 소가 마시면 우유가 된다.

역사상 가장 기술이 발전한 시대인 현재에 우리가 미래로 지향해야 하는 관점은 과연 무엇일까?

이전 세대의 옛 선현들은 고대에서 중세로, 중세에서 현대로 바뀌던 시기에 어떤 관점과 프레임을 가지고 있었을까? 그 관점을, 그 프레임(frame)을, 우리가 현대에서 응용할 부분은 혹시 없는 것일까? 여러 의문이 든다.


「피해야 할 여자 친구 유형 13가지」,「 직장인 심금울리는 미생 속 명대사 12선」등과 같은 제목은 온라인 기사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제목들이고,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등과 같은 책 제목도 이미 친숙하다. 이를 목록(List)과 기사(Article)를 합한「리스티클(Listicle)」이라 부른다.

특정 주제를 정해 이미지나 영상과 함께 번호를 붙여 나열하는 새로운「스토리텔링」을 뜻하는 단어다.

그런데 차분히 생각해보면, 이렇게 숫자를 붙여서 유형화하여 열거하는 방식은 그리 낯설지 않다.


「부모 살아 있고 형제가 모두 무탈한 것(父母俱存兄弟無故)이 첫째고, 우러러 하늘에 부끄럽지 않고 굽어보아도 사람들에게 한 점 부끄럼이 없는 것(仰不愧於天俯不作於人)이 둘째고, 천하의 인재를 얻어 교육을 시키는 일(得天下之英材敎之)이 셋째다」라는 군자의 세가지 즐거움, 이른바 군자삼락(君子三樂)과 같은 표현들이야말로 리스티클의 원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다시 처음 질문으로 돌아가서, “현대의 지식인들에게 ICT가 꼭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옛 성현의 말씀으로부터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온고지신이라는 성현의 말씀이 ICT의 영역에서도 의연히 적용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멈출 수가 없다.


「신언서판 1.0」과「신언서판 2.0」


인재를 고르는 기준, 인재가 갖춰야 할 덕목이라는 뜻을 가진「신언서판(身言書判)」이라는 말이 있다.

중국 당나라 시대에 관리를 뽑을 때 기준으로 삼았던 네가지 판단기준이다.

신(身)이란 사람의 풍채와 용모를 가리킨다. 행동, 됨됨이가 세련되고 아름다운 사람이라는 의미다.

언(言)은 사람의 언변을 말한다. 조리 있고 분명하게 자신의 의사를 말하는 것을 말한다.

서(書)는 그 사람의 필적을 말한다. 즉, 문장과 글씨체를 말한다.

판(判)은 사물의 이치를 깨달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옛날에는 이러한 신언서판의 덕목을 갖춘 사람을 인재로 중용하였다. 과거(過去)의 신언서판이라는 사자성어의 원래 의미를 1.0 버전이라 한다면, 현재(現在)의 신언서판 버전은 2.0 버전이라 부를 수 있을것이다.

그렇다면, 1.0 버전과 2.0 버전은 그 내용과 범위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 그리고 거기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교훈과 안목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신언서판을 각 카테고리(category) 별(別)로 이를 대표할만한 각 인물들을 떠올려 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신(身) 1.0은 기골이 장대하다라거나 허우대 멀쩡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삼국지에 등장하는 여포라는 장수의 경우는 키가 9척이라 한다.「 구척장신」이라는 단어의 그 9척이면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대략 209센티미터쯤 될 것이다. 당시에는 선천적으로 장군감의 체격을 갖추고 태어나지 않았다면, 후천적으로 전쟁터의 용맹한 장군이 되기는 쉽지 않았다. 과연 현대의 경우라면 어떨까?

우리에게도 유명한 이름인 박지성이나 김연아 선수를 떠올리면 좋을 것 같다. 이들은 역발산의 힘을 가진 것도 아니고 구척장신도 아니지만, 발군의 신체능력을 후천적으로 계발하여 그 분야에서 성공한 경우라 할수 있다.


언(言) 1.0은 매끄럽고 품위 있으며 논리적인 언변을 가진 것을 말한다. 「악법도 법이다」라고 이야기한 소크라테스가 활동하던 고대 그리스 시대의 소피스트(sophist)라는 직업군을 떠올려 보면 될 것이다.

이들이 가진 여론형성력을 떠올려 본다면, 현대의 경우에는 언론 산업 종사자들이 이에 대응될 수 있을 것 같다. 단순히 수사법이나 화술에 능통한 정도를 넘어서서 그 분야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냉철한 판단력까지를 갖춘 베테랑 미디어(media) 전문가들이 언(言) 2.0에 해당된다.

유명한 미국 드라마「뉴스룸(The Newsroom)」에 등장하는 주인공 윌 맥어보이와 같은 캐릭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서(書) 1.0은 지식 수준을 말해주는 문장과 글씨체를 말한다. 전화가 없던 시절에 멀리 떨어진 사람에게도 정확한 의사전달을 하기 위해서는 문자가 필수였고, 그 해독능력이나 구사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인재로 대우받았다. 명필(名筆)로 알려진 한석봉이 대표적으로 이에 해당되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더 이상 붓과 먹과 벼루가 필요하지 않은 현대에는 어떨까? 디지털의 시대에는 하드웨어(hard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를 잘 다루는 사람이 이에 해당된다.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s)인 페이스북(facebook)의 창시자인 마크 주커버그를 들 수 있겠다. 그를 비롯한 수많은 프로그래머들은(현대의 명필들) 소프트웨어를 제작하고 또 활용하여 전 세계인을 하나로 엮어내는데 성공했다.


판(判) 1.0은 사물의 이치를 깨달아 판단하는 능력을 말한다.

유능한 참모, 책사의 상징(symbol)이라 할 제갈공명을 들 수 있겠다. 하지만 현대의 시대에는 뛰어난 지식뿐 아니라 이를 결합시키고 융합하는 능력까지도 필요해졌다.
이제는 망인(亡人)이 된 애플 사(社)의 스티브 잡스가 이에 해당하는 판(判) 2.0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그는 지식뿐 아니라 판단력과 결단력도 함께 갖추었는데, 이로 인해 세상은 좀 더 편리하게 변화하였다.


“현대의 지식인들에게 ICT가 꼭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라는 물음에 대하여는,

“그것이 크리에이티브(creative)의 시작이기 때문이다”라고 대답할 수 있다.
ICT는 시간과 공간을 절약하게 해 주는 도구(tool)이자 현재와 미래를 예측할 수 있게 해 주는 관점(frame)이다.도구 자체가 중요한 것은 아니고, 지식과 목적을 가지고 도구를 활용하려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


과거의 인재가 신언서판 중 하나 씩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면, 현재의 인재는 신언서판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미래의 인재는 신언서판이 모두 융합될 것이다.



「서(書) 2.0」과「판(判) 2.0」


디지털 시대에서 유용한 도구들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점을 바꾸거나 정비할 필요가 있다. 외장 하드디스크를 이용하여 컴퓨터의 내장 하드디스크를 가볍게 만드는 것처럼, 외뇌(外腦)의 시대에는 머리를 가볍게 만들 필요가 있다. 굳이 외우려 들 것이 아니라, 사정거리(射程距離) 내(內)의 어딘가에 항상 기억해 두어야 할 무언가를 저장해 두면 되는 것이다.


즉, 무엇을 기억하고 있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어디에 기록하여 두었는지만 기억하면 되는 것이다. 알다시피 노하우(know-how)의 시대가 아니라 노웨어(know-where)의 시대다.

그렇게 해서 두뇌를 가볍게 만들어 두어야 비로소 창의적인 사고가 활개 칠 공간이 만들어진다. 특히 이 글에서는 도구의 서(書) 2.0와 관점의 판(判) 2.0에 대하여 짧게 이야기한다


스마트하게 업무를 처리하고 디지털 기기를 활용함에 있어서, 무언가 대단한 기기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미 잘 알고 익숙한 기본적인 프로그램들을 더 잘 활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메일(e-Mail)이라는 도구를 단순히 의사소통의 도구로 사용하는 것을 넘어서서, 답장하기를 통하여 서로 오고 간 긴 논의의 타래(thread)들을 잘 정리하여 둔다면 그것만으로도 협업의 과정과 결과를 저장하고 기록하는 도구로도 충분히 활용가능하다.


또한 정보가 있는 곳으로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정보가 내게 오게 만드는 방법으로서, 웹페이지에서 새로 갱신되고 추가된 정보만을 모아서 볼 수 있게 해주는 RSS 피드(feed)도 그 중 하나다.

보다 진화된 피드(feed)라 할 만한 이프(IF)라는 서비스도 쓸만하다.
만약 이렇다면, 이렇게 하라(If This, Then That)의 약자인 이프트(IFTT) 서비스는 최근 이프(IF)라는 더 간
단한 이름으로 바꾸었다.


예를 들어, 「뉴욕 타임즈 테크놀로지 분류의 여러 기고문들 중에서 그날 가장 많이 읽힌 10가지 글들만 나에게 이메일로 보내도록 하라」라는 레시피(recipe)를 이용한다면, 피드가 긁어 오는 수많은 게시물들을 좀 더 효율적으로 취사선택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즉,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정보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선택하게 만들어 둠으로써, 직접 정보를 선별하는데 시간을 쏟는 것을 막아준다. 이렇게 절약한 시간은 창의적인 무언가에 몰두할 때 사용하면 된다.


우리가 하루에도 몇 번씩 검색어를 입력하는 포털 사이트의 검색창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 특정 웹사이트내 검색(특정 사이트 또는 사이트 유형에서 결과를 얻고 싶을 경우에는 검색어 앞에 site:를 붙이면 된다. 예를 들어 site:nytimes.com으로 검색하면 검색어를 뉴욕타임즈 사이트 내에서만 해당 검색어로 검색하게 된다)」이나「파일 형식별 검색(검색어 다음에 filetype:를 붙여서 파일 확장자 약어를 추가하면, 예를 들어 검색어 다음에 filetype:pdf를 붙이면, pdf 파일이 첨부된 게시물을 검색해준다)」등은 알아두면 요긴하게 쓰이는 팁들이다.

뿐만 아니라 브라우저 자체에도 여러 애드온(add-on) 기능을 설정하여 두면, 게시물 갈무리나 팝업(pop-up) 사전 등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좀 더 특별한 용도에 특화된, 에버노트(evernote), 드랍박스(dropbox), 각종 마인드맵(mindmap) 프로그램, 스캐플(scapple), 스크리브너(scrivener), 트렐로(trello) 등의 소프트웨어들도 시간을 절약하게 해 주는 아주 유용한 도구들이다.


“현대의 지식인들에게 ICT가 꼭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라는 물음에 대하여는, “그것이 크리에이티브(creative)의 시작이기 때문이다”라고 대답할 수 있다. ICT는 시간과 공간을 절약하게 해 주는 도구(tool)이자 현재와 미래를 예측할 수 있게 해 주는 관점(frame)이다.

도구 자체가 중요한 것은 아니고, 지식과 목적을 가지고 도구를 활용하려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 과거의 인재가 신언서판 중 하나 씩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면, 현재의 인재는 신언서판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미래의 인재는 신언서판이 모두 융합될 것이다.


예를 들어 똑같이 침입(侵入)이라는 단어를 쓰고 있지만, 주거 침입과 정보통신망 침입은 단어의 용례의 양과 질이 다르다. 침입의 차원이 다르다. 말하자면, 1.0 시대의 침입과 2.0시대의 침입이랄 수 있을 것이다.

 미래를 대비하는 시작은 과거와 현재의 법과 사회현상의 재해석을 끊임없이 시도하는 것이다.

서 2.0이라는 이름의, 여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잘 활용하는 기량이 다가올 미래(3.0)를 더 잘 대비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감사원 : 계간·감사

2015·여름호

http://www.bai.go.kr/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16.09.13 11:27

    첫댓글 감사와고마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