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영주중16회 원문보기 글쓴이: 無曲(김동혁)
민화의 따스한 아름다움
일월오봉(악)도 /왕권을 상징
까치 호랑이 /벽사의 구실
호작도 /벽사의 구실
삼족오 /전설의 태양새.불멸 번영
봉황 가래개 /군왕, 태평성대
쌍압도 /장원급제
연리도 /과거 급제
연화도 / 선비정신,부부애
연화도/ 선비정신, 다산
일월부상도 /우주 천지의 순행
일응도/ 축삼재(액 막음)
해학반도도 /장생도, 장수
황묘농접도 /장수 불멸
초충도/여성적인 미적 감각
어변성룡도/ 입신출세
어해도
어해도(魚蟹圖)는 어류와 게를 주제로 그린 수묵화를 말하기도 하지만 민화의 어해도에 등장하는 어류는 붕어, 잉어, 숭어, 방어, 병어, 피라미, 쏘가리, 송사리, 메기에서부터 상어, 고래, 도미, 가자미, 가오리, 홍어, 꼴뚜기와 게, 새우, 홍합, 전복, 조개, 대합 등이 있다. 민화의 물고기 그림은 단순히 물고기를 감상하고자 그려진 그림이라기 보다는 여러 가지 길상적 의미가 담긴 상징화이다. # 벽사의 의미 물고기는 낮이나 밤이나 눈을 뜨고 있기 때문에 항상 삿된 것을 경계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다락문에 물고기 그림을 붙여놓기도 했다. 다락에는 귀중한 것들이 많이 간직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지킨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쌀 뒤주에 물고기형의 자물쇠를 달거나 서랍의 물고기형 손잡이 역시 이와 같은 물고기의 상징성에서 온 것이다. # 다산의 상징 많은 알을 낳는 물고기는 다산의 상징이기도 하다. 특히 배가 부른 물고기 그림은 풍요를 상징하는 것이다. 부녀자들의 삼작노리개에 쌍어를 달아주는 것 역시 다복과 득남의 상징이다. # 부부의 금슬을 상징 이는 상상의 어류인 비목어(比目魚)와 관련된 것이다. 눈이 하나 뿐이어서 암컷과 수컷이 짝을 지어야만 헤엄을 칠 수 있다는 비목어는 암수 날개가 한 쪽 씩 밖에 없다는 '비익조'와 함께 금슬 좋은 부부의 상징이다. 그래서 물고기 두 마리가 금슬 좋게 나란히 헤엄치는 그림을 많이 그렸으며 이런 그림으로 병풍을 꾸며 부부의 방을 치장하는데 애용하기도 했다. 약리도 약리도(躍鯉圖 잉어가 뛰어 오르는 그림)라고도 부르고 어변성용도(魚變成龍圖 잉어가 용으로 변하는 그림)라고도 한다. 옛날 중국책에 용문(龍門)의 잉어 이야기가 실려 있다. 곤륜산에서 흐르는 물은 적석산을 통하고 나서 용문폭포에 이른다. 이 폭포 밑에는 해마다 봄이 되면 수천만의 잉어들이 모여와서 서로 폭포를 뛰어 넘는 내기를 한답니다. 이 폭포를 뛰어 오른 잉어만이 용이 된다고 하며 용이 되면 만사형통한다는 여의주를 갖게 된다. 이 과정을 잉어가 변하여 용이 된다고 하여 '어변성룡'이라 하고 여기서 비롯하여 잉어가 용으로 변하는 것처럼 과거에 급제하여 입신출세 하는 것을 '등용문'이라 하게 되었다. 이런 연유로 사람들은 과거급제를 위해 온갖 고초를 겪으면서 면학에 힘쓰는 선비들을 등용문에 오르기 위해 사투하는 잉어에 비유하였고 이런 뜻을 가지고 있는 잉어가 물위로 힘차게 뛰어 오르는 모습을 아침 해나, 거친 파도, 하늘과 여의주 등과 함께 그려서 과거를 앞둔 벗에게 출세를 기원하며 격려의 선물로 선사했던 경우가 많았고 또 스스로 자신의 책상위에 붙여두고 결의와 소망을 염원하였다. 약리도가 아닌 또 다른 잉어그림으로는 크기가 다른 두 마리 잉어를 함께 그려놓아 소과, 대과에 두 번 급제한다는 뜻으로 그리기도 했다. 살찐 쏘가리가 복숭아꽃과 함께 그려진 그림을 궐어도(闕魚圖)라고 부르는데 과거급제하여 대궐에 들어가기를 염원한다는 뜻이다. 이는 쏘가리 궐(魚+厥)자가 대궐 궐(闕)자와 동음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쏘가리 두 마리를 그리면 모반에 해당한다. 삼여도 삼여도(三餘圖)는 물고기 3마리를 그린 그림을 가리키며 "선비들의 면학하는 태도를 일깨운다"라는 의미가 있다. 이는 삼국지 위지 왕숙전에 나오는 내용이다. 어떤 사람이 동우에게 배움을 청하니 ‘책을 100권 읽으면 뜻이 저절로 통한다’며 거절했다.그러자 그 사람은 매일 쪼들리고 바쁘지 않은 날이 없어 책 읽을 시간이 없다고 하자 동우가 말하기를 세가지 여가만 있으면 충분하다고 했다. 밤과 겨울과 비 오는 날이 세가지 여유로운 여가에 해당하는데 "밤은 하루 나머지 시간이고, 비 오는 날은 평상시의 나머지 시간이며, 겨울은 일년의 나머지 시간"이라고 했다. 여기에서 물고기 3마리를 그리는 것은 중국어로 물고기 어(魚)의 소리음이 남을 여(餘)와 독음이 같기 때문에 세 가지의 여유,즉 삼여(三餘)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쏘가리는 한 마리를 그리는데 쏘가리 궐(魚+厥)자가 대궐 궐(闕)자와 동음이란 의미에서 장원 급제하여 궁궐로 들어가라는 기원을 담고 있다. 이때문에 쏘가리 두 마리를 그리면 모반에 해당한다.
영수도(靈獸圖)
|
개 |
집을 지켜주고 재난을 예방, 집안의 행복 |
다람쥐 |
근면, 성실, 풍요, 재복 |
돼지 |
재물, 풍요 |
말 |
신성함, 위대함, 의리와 충절 |
사슴 |
장수, 우애, 福祿 |
소 |
富, 번창 |
양 |
평화, 온정 |
토끼 |
달과 함께 장수, 부부애 |
호랑이 |
벽사, 용맹. |
기린 |
뛰어난 재주와 기량, 사회의 안정 |
봉황 |
고귀함, 상서로움 |
용 |
권위, 벽사, 고귀함, 신령함 |
해태 |
정의, 뛰어난 판단력 |
공작 |
화려함과 부귀 |
금조 |
고귀함 |
기러기 |
평안, 부부애. 갈대와 함께 그려지면 노후의 안락함 |
까치 |
기쁜 소식 |
꿩 |
화려함, 지조 |
딱따구리 |
길상, 벽사 |
매 |
용맹, 벽사 |
물총새 |
多子 |
백로 |
고고함, 쌍으로 그려지면 부부애, 연밥과 함께 과거 합격 |
부엉이 |
70세 장수, 도둑을 물리침 |
수대조 |
장수 |
수탉 |
출세, 벽사. 암탉/병아리와 함께 그려지면 부부애/가족의 화목함 |
앵무새 |
부부애 |
오리 |
부부애, 다산 |
원앙 |
부부화합 |
제비 |
福 |
참새 |
기쁨 |
팔과조 |
孝, 의리 |
학 |
吉祥, 장수 |
나비 |
꽃과 함께 쌍으로 그려져 부부애, 80세 장수 |
방아깨비 |
남녀간의 사랑에 있어서 정절, 예의 |
벌 |
성실, 꽃과 함께 그려지면 남성 |
거북이 |
장수, 하늘과 땅의 조화 |
게 |
장원급제, 출세 |
두꺼비 |
복, 행운 |
메기 |
입신출세 |
복어 |
福 |
붕어 |
多産 |
새우 |
부부가 해로함, 순조롭게 잘 풀린다. |
소라 |
웅변, 학식 |
쏘가리 |
장원급제, 성공 |
숭어 |
多子 |
잉어 |
孝, 多産. 뛰어오르는 모습은 과거급제/출세 |
어해도 |
여러 가지 어류를 함께 그려 평화, 다복, 다산을 상징 |
조개 |
多産 |
국화 |
장수, 높은 절개, 고상함과 품위 |
나리꽃 |
풍요, 마음의 안정, 다산, 화합 |
매화 |
행복, 장수 |
난초 |
자손번창, 군자의 기상 |
모란 |
부귀영화, 장수 |
목련 |
선비, 군자 |
복숭아꽃 |
미인, 불로장생 |
연꽃 |
군자의 고고함, 청빈함. 원앙/물고기와 함께 그려지면 부부화목과 행복을 의미, 연밥을 쪼는 새는 다산 |
원추리 |
득남 |
장미 |
영원한 젊음 |
패랭이 |
청춘, 절개 |
해당화 |
미인, 모란과 함께 집안 가득한 부귀(富貴玉堂), 팔가조/목련과 함께 귀한 집에 효자가 난다는 의미(玉堂啼鳥) |
화조도 |
꽃과 새가 함께 그려져 부부화목, 부귀, 장수 |
귤나무 |
부귀영화, 효 |
단풍나무 |
대궐, 조정 |
대나무 |
절개, 바위와 함께 그려지면 장수 |
등나무 |
부부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