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화(鄭致和.1609.광해군 1∼1677.숙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성능(聖能)이며, 호는 기주(棋洲)이고, 본관은 동래(東萊)이다. 영의정 정광필(鄭光弼)의 5대손으로 형조판서 정광성(鄭廣成)의 아들로, 어머니는 황근중(黃謹中)의 딸이다. 정치화는 영의정을 지낸 정태화(鄭太和)의 동생으로 정치적으로는 서인(西人)이다. 부인은 오위장 남정(南瀞)의 딸 의령남씨(宜寧南氏)로 아들을 얻지 못하여 형 정태화의 막내아들 정재륜(鄭載崙)을 입양하였는데, 이가 효종(孝宗)의 딸 숙정공주(淑靜公主)의 남편인 동평위(東平尉)가 되어 효종과는 사돈관계가 되었다. 1628년(인조 6) 별시문과에 을과 4위로 급제하여 여러 문한(文翰)의 관직을 거치다가 동래부사가 되어 당상관에 오르기까지 주로 3사의 청요직을 역임하였다. 1638년에서 1641년에는 충청도, 함경도, 황해도의 암행어사로 각 도정(道政)을 염찰(廉察)하였고, 1640년에는 세자시강원보덕이 되어 심양(瀋陽)에서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모시기도 하였다. 이때 세자가 서양문물을 완호(玩好)하는 것을 크게 북돋운 것으로 전한다. 1645년 동부승지가 되었으나 이듬해 일어난 소위 강옥(姜獄: 소현세자의 부인 강씨에게 죽음을 내린 사건)때 패초(牌招)에 나가지 않아 파직되었다가 1647년에 평안도관찰사로 승진, 기용되었다. 평양에 부임한 지 1년 반 만에 아버지의 병으로 잠시 사직하였다가, 1650년(효종 2) 광주부윤(廣州府尹)이 되고, 뒤이어 경기도관찰사·도승지·강화부유수를 거쳐 1657년 형조판서에 올랐다. 1667년(현종 8) 우의정이 되기까지 10년 동안 육조의 판서와 대사헌을 두루 역임하면서, 1660년과 1664년 동지사(冬至使)로 두 차례나 중국 연경(燕京)에 다녀왔다. 그러나 이때는 효종이 죽고 현종이 즉위하면서 서인과 남인 사이에 예송논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던 시기여서 중도적 노선을 지키고자 하였던 그와 그의 일문(一門)에게는 적지 않은 시련이 있었다. 그리하여 이 10년 동안에 무려 5차례나 벼슬에서 물러나는 곤욕을 겪다가, 형 정태화가 영의정을 내놓고 중추부판사로 물러앉으면서 우의정 겸 의금부판사가 되었다. 우의정에 오른 이듬해 송시열(宋時烈)이 우의정에 임명되면서 좌의정에 올랐지만 곧 형 정태화가 영의정으로 복귀함에 따라 중추부판사로 물러났고 1677년(숙종 3) 9월 중추부영사로 죽었다. 【정치화 청덕거사비(鄭致和 淸德去思碑)】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부산진구(釜山鎭區) 양정동(楊亭洞) 산 73-28 화지공원 내에 있는 선정비(善政碑). 정치화(鄭致和)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숙종 대 좌의정까지 올랐던 인물이다. 이 비석은 그의 9대손인 행부사 인학(行府使寅學)이 공덕을 기리며, 을미년(乙未年)에 세웠고 비석의 왼쪽에 쓰여 있다. 이수는 첨부석으로 위쪽 중앙에서 여러 갈레가 나뉘고 양쪽 끝은 그 갈레가 말려 올라가며 보주형 꼭지가 꼭대기에 얹혀 있다. 대석 또는 첨부석으로 가장 위쪽은 양각으로 심엽형이 거꾸로 반만 새겨져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4개의 잎을 가진 꽃모양으로 양각되어 있다.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부산진구(釜山鎭區) 양정동(楊亭洞) 화지산(華池山)에 있는 조선 후기 동래 부사 정치화(鄭致和)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 정치화(鄭致和: 1609~1677]는 숙종 대 좌의정까지 오른 문신으로, 1635년(인조 13)부터 1642년(인조 20)까지 동래 부사를 역임하였다. 정치화 청덕거사비(鄭致和淸德去思碑)는 비석에 9세손인 행부사(行府使) 정인학(鄭寅學)이 공덕을 기리며 을미년(乙未年)에 세웠다고 쓰여 있다. 비의 재질은 화강암이며, 이수(螭首)는 첨부석으로 위쪽 중앙에서 여러 갈래가 나뉘고 양쪽 끝은 그 갈래가 말려 올라가며 보주형 꼭지가 꼭대기에 얹혀 있다. 받침돌 또한 첨부석으로 가장 위쪽은 양각으로 심엽형(心葉形)이 거꾸로 반만 새겨져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4개의 잎을 가진 꽃 모양으로 양각되어 있다. 비의 앞면에는 ‘부사 정공치화 창덕거사비(府使鄭公致和淸德去思碑)’라는 비제(碑題)가 적혀 있고, 좌측에는 “을미 오월 일 구대손 행부사 인학 건비(乙未五月日九代孫行府使寅學建碑)(9세손 행부사 정인학이 을미년 5월에 세웠다)”라고 되어 있는데, 을미년은 1895년으로 추정되며 우측에 쓰인 글자는 작아서 읽기 어렵다. ▲청덕거사비 [출처] 조선 문신 정치화(鄭致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