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1일 “지난해 12월20일 한울 5호기에서 발생한 원자로 냉각수 누설 사고는 최초 냉각수 유출을 안 시점에서부터 36시간이 지나서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보고됐다. 더욱이 초기 서면보고서에는 이런 방치 상황이 제대로 기술되지 않아 축소·은폐한 의혹이 있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12월19일 밤 10시55분에 한울 5호기 원자로헤드 측면 수위계측기(HJTC) 연결부에서 냉각수가 새는 것이 확인돼 20일 오전 8시를 기해 원자로를 수동 정지했다고 원안위에 보고했다. 그러나 한수원이 우 의원실에 제출한 사고 관련 일지를 보면, 냉각수 유출을 최초로 확인한 시점은 일요일인 18일 낮 12시로 담당직원은 오전 11시부터 분당 0.05리터의 냉각수가 새고 있음을 알아냈다. 그러나 이런 사실은 발전소장 등 간부에게 보고조차 되지 않았으며, 24시간이 지난 19일 오전 11시6분부터 고장부위를 찾기 시작해 밤 11시가 다 돼서야 원인을 찾아냈다. 그동안 냉각수는 888리터가 누설됐다. 이는 최근 5년 동안 발생한 원자로 냉각수 누설 사고 가운데 가장 많은 누설량이다.
우 의원 쪽은 “원자력 이용시설의 사고·고장 발생 시 보고·공개 규정에 사고가 나면 초기 서면보고를 하게 돼 있는데, 한수원은 보고서에 19일 오후 22시55분에 사고원인을 확인해 10분 뒤 원안위 지역사무소에 보고했다는 사실만 기록해 최초 유출 인지 시점부터 36시간 동안 방치한 사실을 은폐·축소했다”고 주장했다. 한수원 쪽은 냉각수 유출이 분당 0.05리터(gpm)로 기준치(1gpm) 이하여서 누설 증상에 대한 지속적 감시만 했다고 밝히고 있다.............
첫댓글 제2의 후쿠시마 만들려고 장난하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