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오늘의 역사(1월26일) 오늘은 그레고리력으로 26번째(윤년일 경우도 26번째) 날에 해당한다. |
1800년대 | |
☯1880년(조선 고종 17) 유구인 6명, 방답진 앞 바다에 표류 | |
☯1898년(조선 고종 35) 이근배 김두승, 한성전기회사 설립(고종이 일화 30만 엔을 출자하여 극비리에 추진한 황실기업) 우리 나라에 전기가 처음 들어온 것은 1884년. 미국 에디슨 전기주식회사에 발주하여 경복궁에 16촉광 백열등 750개 켤 수 있는 동양 최대 발전소 설치, 백열등을 보고 묘하다고 하여 '묘화(妙火)'라 부르기도 하고 꺼졌다 켜졌다 제멋대로 한다고 하여 '건달불'이라 부르기도 함 | |
1900년대 | |
📌11년 전러시아 공사 이범진(1853∼)이 러시아에서 자결함. 📌39년 제1회 전국 빙구선수권대회 열림 📌50년 한·미간 군사고문단 설치협정 및 상호방위 원조협정 체결 📌51년 해병대 인천 상륙 📌60년 서울역 구내에서 집단압사사건 발생...사망 31명, 부상 41명 | |
📌61년 충주 비료 공장 준공 : 최초의 비료 공장. 1961년 1월 26일 오늘 충주 비료 공장 준공 : 최초의 비료 공장. | |
📌65년 비둘기 부대 2000명 월남 파병동의안 국회 통과 📌70년 신민당 임시 정당대회, 2차 투표끝에 유진산을 당수로 선출 📌71년 일본과 북한 적십자 대표, 모스크바서 재일교포 북송 재개에 합의 📌80년 해왕 6ㆍ7호, 서해상서 어로중 북한에 피납 (11월12일 인천에 귀환) 📌84년 서울대총장, 제적학생 재입학을 앞둔 회견에서 복교 대상자들의 집단행동은 불허 언명 | |
📌85년 테레사 수녀 내한 1985년 1월 26일 오늘 테레사 수녀 내한 | |
📌87년 천주교 신도 2000여명, 명동성당서 인권회복 미사후 침묵시위 1987년 1월 26일 오늘 천주교 신도 2000여명, 명동성당서 인권회복 미사후 침묵시위 | |
📌88년 일본 정부, KAL기폭파사건과 관련해 인적교류 제한등 대 북한 제재조치 발표 📌88년 동독등 서울에 무역사무소-사회주의국가 첫개설 📌88년 미국, 한국에 대한 일반 특혜관세제도(GSP) 제외 확정 📌88년 철도박물관 개관 📌89년 파나마선적 캐더린로즈호, 일본 시모노세키 앞바다서 싱가포르 유조선과 충돌. 한국선원 17명 사망 📌89년 국회 광주특위, 의정사상 처음으로 전두환· 최규하 두 전직 대통령에 동행명령장 발부 📌91년 농림수산부, 90년 북한산 감자 1만 2000t을 수입한데 이어 91년 명태 6500t, 땅콩 300t을 수입키로 📌91년 보사부, 레지던트 시험 부조리 예방 위해 지역별 공동관리제 실시 📌92년 대통령선거전에 패배, 정계를 은퇴한 김대중씨가 연구활동차, KAL편으로 영국으로 출국 📌93년 국방부,`팀스피리트'한-미연합군사훈련재개발표, 미군 5만등 12만명 참가 📌93년 닌텐도 증후군 잇따라 발생-전자오락 게임 광 과민성 간질 발작 📌93년 은행감독원, 6개 시중은행의 순익 전년대비 20.3% 늘어난 7736억원, 10개 지방은행은 13.1% 줄어. 📌93년 노동부, 작년 한해동안 경영난으로 휴·폐업한 업체가 544개, 실업자는 7만 6000명이라고 국회 보고. 📌96년 국회 내무위, 통합 선거법개정안 통과 📌97년 김영삼 대통령, 하시모토 류타로 총리와의 회담 (일본 벳푸) 📌98년 정부조직개편심의위,기획예산처와 중앙인사 위원회를 신설, 7개 부처를 통폐합 정부조직개편안 확정 | |
2000년대 | |
✿2001년 대법원, 16대 총선에서 총선시민연대가 벌인 `낙선운동`은 위법이라고 판결 총선시민연대가 집중낙선대상자의 이름과 전력이 적힌 피켓과 플래카드를 이용해 낙선운동을 벌이고 있다. | |
✿2005년 1월 26일 일본 유학생 이수현, 도쿄 전철노선에 떨어진 일본인 구하려다 사망 일본에 유학중이던 고려대 이수현씨가 2001년 1월 26일 아르바이트를 마치고 퇴근하던 중 도쿄의 한 전철역 철로에 떨어진 취객을 구하려다 사망했다. 일본 마이니치 신문과 NHK 등 일본의 신문과 방송들은 이씨의 의로운 죽음을 속보로 계속 전했다 |
1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번째(윤년일 경우도 26번째) 날에 해당한다.
구 분 | 내 용 |
사건 | 1531년 - 1531년 리스본 대지진: 포르투갈의 리스본에서 지진이 발생, 약 3만 여명이 사망했다. 1699년 - 카를로비츠 조약: 도나우강변의 카를로비츠에서 신성 동맹 전쟁에서 패한 오스만 제국과 유럽 동맹국들 사이에 조약이 체결되다. 이 조약에 따라 오스만 제국이 도나우 강 이북의 영토를 기독교 국가들에 영구적으로 할양하다. 1837년 - 미시간주가 미국의 26번째 주가 되었다. 1960년 - 서울역 압사 사고가 일어났다. 1962년 - 일본에 체류하고 있던 덕혜옹주가 근 30여년 만에 김포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하다. 1965년 - 베트남 전쟁 전투병력 파견안이 국회에 가결됨. 2008년 삼성 특검:특검 수사팀은 제일모직 원종운 전무 등 그룹 내 간부급 인사 3명을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하여 조사하였고, 이번 사건의 수사 단서를 제공한 김용철 변호사도 참고인으로 불러서 조사했다. 성재기 등에 의해 대한민국의 남성단체 겸 인권운동단체 남성연대가 창립되다. 2012년 - 트위터가 '국가별 차단' 정책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2015년 - 로스 야노스 공군기지 추락사고: 그리스의 F-16 전투기 한 대가 스페인 남부에 있는 로스 야노스(Los Llanos) 군사기지에 추락해 9명이 사망하는 등 30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다. 2018년 - 밀양 세종병원 화재 2020년 - 코비 브라이언트가 헬기 사고로 사망하다. 2021년 - 이탈리아에서 주세페 콘테 총리가 사임했다. 2022년 - 영국과 오스트레일리아는 자국 외교관 일부를 철수시켰다. |
문화 | 1898년 - 전차, 전등, 전화의 독점 사업권을 가진 한성전기회사 설립. 1962년 - KBS TV, 개국 이후 첫 드라마 《나도 인간이 되련다》 방송. 1974년 - 던전 & 드래곤 출시 1982년 - 대한민국의 프로야구단 MBC 청룡 (現 LG 트윈스) 창단. 1988년 - 앤드류 로이드 웨버의 오페라의 유령이 뉴욕 브로드웨이 머제스틱 극장에서 개막하다. 2000년 - XHTML 1.0이 W3C의 권고안이 되다. 2017년 - 걸그룹 원더걸스가 데뷔 10년만에 전격 해체하였다. 2018년 - 동해선 영덕역 ~ 포항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2021년 - 신세계 이마트가 SK 와이번스를 1,352억에 인수하기 위하여 SK텔레콤과 MOU를 체결했다. |
탄생 | 183년 - 위나라의 초대 황제 조비의 정비 문소황후. (~221년) 1497년 - 제105대 일본의 천황 고나라 천황. (~1557년) 1562년 - 사보이아 공국의 공작 카를로 에마누엘레 1세 디 사보이아 공작. (~1630년) 1657년 - 캔터베리의 대주교 윌리엄 웨이크. (~1737년) 1763년 - 스웨덴의 국왕 칼 14세 요한. (~1844년) 1880년 - 미국의 군인 더글러스 맥아더. (~1964년) 1892년 - 미국의 첫 흑인 여성 비행사 베시 콜먼. (~1926년) 1898년 -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교수 최규남. (~1992년) 1917년 - 미국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 루이스 잠페리니. (~2014년) 1918년 - 루마니아의 정치인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1989년) 1925년 - 미국의 배우 폴 뉴먼. (~2008년) 1928년 - 프랑스의 영화 감독, 영화 제작자, 극작가, 작가, 배우, 언론인 로제 바딤. (~2000년) 1929년 - 미국의 작가 줄스 파이퍼. (~2025년) 1934년 - 미국의 야구선수 출신 스포츠해설가 밥 유커. (~2025년) 1936년 - 대한민국의 작곡가 백병동. 1940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우식. 1945년 - 미국의 경제학자 제러미 리프킨. 1947년 - 대한민국의 정치가, 대학교수 박준홍. 1950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기초자치단체장 정현복. (~2023년) 1953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정수. (~2014년) 1955년 스웨덴의 배우 비에른 안드레센. 미국의 음악가 에디 반 헤일런. (~2020년) 대한민국의 스포츠인 이기흥. 1957년 - 케냐의 배우 딥 로이. 1958년 - 미국의 희극인 겸 방송인 엘런 드제너러스. 1959년 - 튀르키예의 영화 감독, 사진가, 배우 누리 빌게 제일란. 1960년 -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로드 워리어 애니멀. (~2020년) 1962년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강성곤. 대한민국의 의사 주석중. (~2023년)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오스카르 루헤리. 1963년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주제 모리뉴. 1964년 - 대한민국의 기자 최효찬. 1967년 일본의 성우 모리카와 토시유키.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김인호. 1970년 - 대한민국의 기자, 앵커 박장범. 1973년 북아일랜드의 전 축구 선수, 축구 감독 브렌던 로저스. 일본의 만화가 신조 마유. 1976년 - 대한민국의 의사 임연정. 1977년 - 대한민국의 배우 박해일. 1979년 대한민국의 가수 김범수. 일본의 성우 키모토 오리에.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최정화. 1980년 - 일본의 성우 고바야시 사나에. 1981년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차일목. 베네수엘자의 지휘자 구스타보 두다멜. 1982년 대한민국의 가수 KCM. 대한민국의 배우 김근현. 일본의 가수 무라카미 싱고 (SUPER EIGHT). 1983년 대한민국의 격투기 선수 이수환.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이재진. 1984년 대한민국의 성우 정혜원. 대한민국의 래퍼 제리케이.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이현욱. 1985년 - 일본의 성우 nao. 1986년 대한민국의 가수 김재중 (JYJ). 대한민국의 성우 김디도.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정재홍. (~2019년) 대한민국의 필드하키 선수 박미현. 대한민국의 배우 염승현. 1987년 -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세바스티안 조빈코. 1988년 -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김모아. 1989년 대한민국의 기타리스트 겸 싱어송라이터 적재. 대한민국의 배우 진기주. 잉글랜드의 배우 해나 아터턴. 1990년 대한민국의 배우 김민영.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선수 나와프 알아베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찬헌. 1991년 대한민국의 배우 김동범. 대한민국의 배우 김해림. 1992년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사샤 뱅크스. 독일의 축구 선수 마르빈 플라텐하르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탁구 선수 리명순. 1993년 대한민국의 가수 김진아. 일본의 성우 후지타 아카네.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도영. 1994년 영국의 배우 조셉 퀸.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선수 스테프 캐틀리. 대한민국의 기상캐스터 백지원. 1995년 중국의 가수 선의 (우주소녀). 러시아의 레슬링 선수 세르게이 세묘노프. 1996년 대한민국의 래퍼 아이엠 (몬스타엑스).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황희찬.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김진휘. 1997년 - 대한민국의 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폰. 1998년 대한민국의 가수 정찬우 (iKON). 대한민국의 가수 문빈 (아스트로). (~2023년)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김우성. 미국의 배우 데빈 드루이드. 1999년 - 대한민국의 모델 이진이. 2000년 스페인의 배우 에스테르 엑스포시토. 대한민국의 가수 서령 (공원소녀). 대한민국의 가수 안솜이.(다이아) 2001년 대한민국의 배우 정다은. 중국의 가수 정단니. 2004년 - 대한민국의 가수 설윤 (엔믹스). 2008년 - 대한민국의 포스트 포철고 제라드 구도현. |
사망 | 910년 - 당나라의 시인 나은. (883년~) 1210년 - 중국 남송의 시인 육유. (1125년~) 1656년 - 조선 14대 국왕 선조의 아들 능원대군. (1598년~) 1823년 -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 (1749년~) 1893년 - 미국의 군인, 남북 전쟁 북군의 장군 애브너 더블데이. (1819년~) 1911년 - 대한제국의 정치가 이범진. (1852년~) 1949년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홍병기. (1869년~) 1951년 - 대한민국의 군인 심일. (1923년~) 1962년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전형필. (1906년~) 1963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연병호. (1894년~) 1971년 - 독일의 군인 헤르만 호트. (1885년~) 1978년 - 일본의 정치인 호시노 나오키. (1892년~) 1991년 - 대한민국의 대중음악 작곡가, 가수 한복남. (1919년~) 1994년 - 대한민국의 언론인 김상만. (1910년~) 1995년 - 대한민국의 법조인 김갑수. (1912년~) 1996년 - 미국의 스피드스케이팅 선수 찰스 주트로. (1900년~) 2001년 - 대한민국의 일본인 유학생 이수현. (1974년~) 2004년 - 대한민국의 언어학자 허웅. (1918년~) 2011년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안춘생. (1912년~) 2013년 - 일본의 의학자, 세계 보건 기구의 제4대 사무총장 나카지마 히로시. (1928년~) 2018년 - 일본의 정치인 노나카 히로무. (1925년~) 2019년 - 프랑스의 음악가 미셸 르그랑. (1932년~) 2020년 - 미국의 농구 선수 코비 브라이언트. (1978년~) 2021년 - 콜롬비아의 정치인 카를로스 홀메스 트루히요. (1951년~) 2023년 - 오스트레일리아의 인류학자 피오나 그레이엄. (1961년~) 2024년 - 미국의 야구 선수, 야구 지도자 지미 윌리엄스. (1943년~) |
기념일 | 오스트레일리아의 날: 오스트레일리아의 날이 토요일 또는 일요일과 겹치면 다음 월요일을 공휴일로 정한다. 인도의 제헌절 (Republic Day in India) 대한민국 대체공휴일 - 2039년 |
첫댓글 소중한 역사 잘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