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꿀샘식물 꽃피는 시기
지역에 따라 계절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지역의 밀원을 조사하여 기록해 두는 일은 참 필요한 일입니다.
3000평에 밀원이 조성되면 약 1톤(1000kg)의 꿀이 생산된다고 합니다.
꿀벌의 경제거리는 2km입니다.그 넓이는 3,799,400평입니다.
전부를 밀원조성한다면 1,267톤가량의 꿀이 생산된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꿀벌이 부담없이 일할 수 있는 거리는 300~800m라고 합니다.
동향과 남향으로 일하러 많이 갑니다.
이 도표가 양봉인과 집행기관에 참고가 되기를 바랍니다.
어느 지역에서는 빈꽃나무를 밀원식물이라고 많이 심은 곳도 있습니다.
소중한 세금으로 심은 나무인데
묘목업자가 책임자에게 밀원식물이라고 속였습니다.
꽃은 좋으나 꿀이 나오지 않는 나무들을 우리는 빈꽃나무라고 합니다.
여기 빈꽃나무를 밝혀둡니다.
개나리, 연산홍, 라일락, 붉은아까시, 거향수, 이팝나무, 조팝나무,
배롱나무, 산딸나무 .......
빈꽃나무는 관상수로 조금만 심기를 바랍니다.
가로수로 적당한 꿀샘식물에는
모감주 나무, 쉬나무, 헛개나무, 칠자화, 피나무, 백합나무,
아까시. 벚나무도 좋습니다.
나무 사이에는 바이텍스 유채 천년초 등을 심어도 됩니다.
아름다운 경관식물이며 꿀 꽃가루 기름 겨울채소 새싹채소 사료작물입니다.
꿀 담을 그릇이 부족할 정도로 꿀이 들어오는 녹비 작물 자운영 (사진 구글 검색)
피나무꽃 : 목재와 꿀을 위하여
아까시꽃 : 한국 꿀 생산의 70%이상 차지하는 꿀샘식물, 항거리에서는 20일 이상 피도록 육종해다고 합니다. 한국양봉농협에서도 육종에 도전하고 보급하고 있습니다.
하이트크로버(사진 산신령) 땅이 비옥해지는 식물이며 흙이 있는 곳에는 클로버로 융단을 깔면.......
복분자(사진 : 한결)
토종 복분자 금정은 번식력이 왕성하고 아까시 다음에 꽃이 피며 열매도 귀한 식품이며 약재이다.
심은 다음해부터 꽃이 피고 수확이 되며
산림과학원의 김세현 박사님은 아까시꽃만큼 꿀이 분비된다고 한다. 물론 기능성꿀!
헛개나무 : 간에 특효약. 기능성 꿀! 잎 가지 줄기 열매 모두 약이 되는 나무. 속성수 좋은 목재가 됨.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 으로 꽃이 20일 이상 핀다. (2915년에는 6월 10일 부터 피었습니다)
쉬나무( 사진 : 산신령)
벌투성이 꿀벌나무, 바이오 연료가 생산되는 산업화의 가능성. 이 나무 많이 심으면 우리도 산유국이 된다.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이 있어 한달 동안 꽃이 피는 것을 참나무창작(옥천) 오과영님이 발견.
쉬나무 열매에서 나오는 기름은 불이 밝고 맑으며 그을음이 적어 책 읽는 공부방을 밝혔기에 선비들이 소중하게 여겼다. 옛날 쉬나무가 많은 동네에는 글을 읽는 선비들이 많았다고 한다. 북하에서는 식용유로 사용된다고 한다.
음나무 (Kalopanax pictus)(사진 : 산신령) 하루 종일 꿀벌이 찾아오는 나무. 영양이 풍부한 새순 때문에 큰 나무가 드물다. 목재는 악기 공예 가구재 건축재의 고급목이다. 뿌리는 해동피라는 약재.
바이텍스 :
7월부터 3개월 꽃이 피는 밀원식물
아니스 히솝은 숙근초입니다.
메밀
메밀은 지난날 주요한 밀원식물이었습니다.
벼농사보다 수익이 많은 작물입니다. 추수기계만 개발되면 됩니다.
연백초(사진 : 한결)
꿀과 꽃가루가 많은 가을 꽃. 겨울먹이가 절약되는 밀원식물
출처: 자연꿀동호회 (친환경 유기농 양봉) 원문보기 글쓴이: 한결(예천)7749-3091
첫댓글 좋은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꽃소식 첫번째 자료입니다.
많은도움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수정할 부분도 있습니다.
지기남 감사합니다.지금 피어있는 이꽃은 어떤가요?
댕강나무로 밀원식물이라고 하는데 너무 늦게까지 피면 월동벌에 지장이 있다고 봅니다.월동벌은 산란육아도 그치고 내역을 멈추고 정태에 리르러야 하는데 일을 하게 하면 수명이 단축된다고 합니다.
개나리는 뭔가로 대체해야한다고봅니다 봄꽃으로 뭐가 좋은지 개나리를 대체해야합니다
개나리가 밀원식물이라면 얼마나 좋을까요..
@한결(예천)7749-3091 예 이거 뭐로 바꿔야하는지 고민중입니다 개나리필때 다른꽃이 확피면 좋은데 개나리를 유전자를 바꿔서 꿀이나오게하면 또 어떤지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내년에는 농장뒷쪽에 묵밭에 많이 심을겁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
좋은자료 항상 감사 힙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지기님 좋은 자료입니다.
이 표의 출처를 혹시 알 수 있을까요?
제가 첵을 참고하고 직접 관랄하여 만든 지료입니다만........
선생님 이 좋은자료를 전국의 시군에 보내서 가로수 조성에 협조를 요청하면 좋을듯 합니다.70년대에 우리 논산에서는 자운영씨앗을 채취하여 일본으로 수출하여서 논에 많이 재배하여 양봉가들이 방문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자운영꽃은 예뻐서 경관작물로도 좋고 녹비작물로도 좋은식물인데 요즘은 보기도 어려워 아쉬워요.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첫댓글 좋은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꽃소식 첫번째 자료입니다.
많은도움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수정할 부분도 있습니다.
지기남 감사합니다.
지금 피어있는 이꽃은 어떤가요?
댕강나무로 밀원식물이라고 하는데 너무 늦게까지 피면 월동벌에 지장이 있다고 봅니다.
월동벌은 산란육아도 그치고 내역을 멈추고 정태에 리르러야 하는데 일을 하게 하면 수명이 단축된다고 합니다.
개나리는 뭔가로 대체해야한다고봅니다 봄꽃으로 뭐가 좋은지 개나리를 대체해야합니다
개나리가 밀원식물이라면 얼마나 좋을까요..
@한결(예천)7749-3091 예 이거 뭐로 바꿔야하는지 고민중입니다 개나리필때 다른꽃이 확피면 좋은데 개나리를 유전자를 바꿔서 꿀이나오게하면 또 어떤지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내년에는 농장뒷쪽에 묵밭에 많이 심을겁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
좋은자료 항상 감사 힙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지기님 좋은 자료입니다.
이 표의 출처를 혹시 알 수 있을까요?
제가 첵을 참고하고 직접 관랄하여 만든 지료입니다만........
선생님 이 좋은자료를 전국의 시군에 보내서 가로수 조성에 협조를 요청하면 좋을듯 합니다.
70년대에 우리 논산에서는 자운영씨앗을 채취하여 일본으로 수출하여서 논에 많이 재배하여 양봉가들이 방문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자운영꽃은 예뻐서 경관작물로도 좋고 녹비작물로도 좋은식물인데 요즘은 보기도 어려워 아쉬워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