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욕 칠정
오욕이란? 재욕(財欲) ·성욕(性欲) ·식욕(食欲) ·명예욕(名譽欲) ·수면욕(睡眠欲)
칠정이란? 희.노.애.락.애.오.욕 을말한다.
희-기쁨(喜), 노-성냄(怒), 애-슬픔(哀),
락- 즐거움(樂), 애-사랑(愛), 오-미움(惡),
욕-욕망(欲)들을 말한다
오욕은 불경에서 인간의 욕망 전체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습니다.즉, 오관의 감각을 통해 느끼고 그로 말미암아 생기게 되는 욕망을 말합니다.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을 이름이죠.
칠정은 여러가지로 분류되죠.
일반적인게 희노애락애오욕...
.한의학에서는
희노우사비경공(喜怒憂思悲驚恐)....입니다.
유가 에서는 칠정 중 락(樂)대신 구(懼-두려움)를 넣기도 합니다...
불교에서는
인간을 오욕칠정( 五慾 七情 )의동물 이라고 말한다.
오욕이란 재물욕(財物慾)• 명예욕(名 譽慾)•식욕(食慾)• 수면욕(睡眠慾)• 색욕(色慾 )을말하고
칠정이란 기쁨(喜)ㆍ성냄(怒)ㆍ근심(憂)ㆍ두려움(懼)ㆍ사랑(愛)ㆍ미움(憎)ㆍ욕심(欲))을 말한다.
인간 이라면 누구나 오욕칠정을 추구하고발산한다. 그런데 인간이 오욕을 충족 시키지 못하거나 칠정을 적절히 발산하지 않으면 병이 오게 되어 있다.
한의학에서 말하는 오욕 칠정이라 함은
*과노상간 (過怒傷肝) ;성을 많이 내면 氣가 모두 위로 오르고 심하면 피를 토하고 또한 성을 자주 내거나 심한 감정의 흥분은 오장 중 피를 저장하는 간(肝)을 상하게 한다.
따라서 간(肝)이나 담(膽)의 기능이 이상 흥분되면 행동이 동적이며 용감해지고 감정적으로는 성을 잘 내고 흥분되기 쉽다.
또 간담이 약해지면 겁이 많아져서 불안해하고 결단력이 없어 우유부단 해진다.
*과우상폐 (過憂傷肺); 근심이나 걱정 혹은 우울감이 있으면 氣의 순행이 막힌다고 했다.
그래서 氣가 폐색되면 폐(肺)와 비(脾·소화기 계통)를 상한다고 했으며,
근심·걱정 등의 감정적 갈등은 호흡 기능과 소화 기능을 해치게 된다.
*과사상비 (過思傷脾); 한 가지 일을 골똘히 생각하면 氣가 순행치 못하고 한곳에 맺히게 되는데 그러면 오장 중 소화기능을 주관하는 비(脾)를 상한다고 했다.
*과비상폐 (過悲傷肺); 슬픈 감정이 있으면 氣가 가슴속에 막혀 열기 로 변하면서 폐(肺)와 심(心)의 장기를 모두 상하게 되며, 또한 호흡기나 순환기에 병이 생기면서 감정도 감상적 혹은 비관적으로 변한다고 했다.
*과공상신 (過恐傷腎); 두려운 마음이 있으면 氣가 하강해 오르지 못하며, 생식기와 내분비 기능을 주관하는 신(腎)을 상 한다고 했다.
따라서 두려운 마음은 정력을 약하게 하는 요인도 된다.
공수래 공수거
(空手來 空手去)
인생은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간다는뜻으로 인생의 시작이나 끝이 모두 허무하다,
허망하다는 말이다.
첫댓글 오욕이란 재물욕(財物慾)• 명예욕(名 譽慾)•식욕(食慾)• 수면욕(睡眠慾)• 색욕(色慾 )을말하고
칠정이란 기쁨(喜)ㆍ성냄(怒)ㆍ근심(憂)ㆍ두려움(懼)ㆍ사랑(愛)ㆍ미움(憎)ㆍ욕심(欲))을 말한다.
소식 감사드리며 늘 건강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