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경이라는 경전이 있는데 화엄경을 총정리 집약해 놓았다는 화엄경약찬게를 봉송하다보면 건달바, 긴나라, 야차, 구반다 ... 등이 나오는데 도대체 어떤 종류의 신이었는지 궁금하였습니다. 그래서 찾아 보았습니다.
팔부중과 팔부는 다른의미를 지닙니다. 팔부중은 흔히 팔부신중 혹은 천룡팔부신중이라고해서 불법을 수호하는 8종류의 신장을 일컫는 말입니다. 팔부는 팔부귀중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사천왕에게 귀속되어있는 8가지 귀신을 일컫는 말입니다.( 건달바(乾闥婆), 비사사(毘舍闍), 구반다(鳩槃茶), 아귀, 제용중, 부단나(富單那), 야차(夜叉), 나찰(羅刹)) <팔부신중> 1. 천은 천계에 거주하는 신들을 뜻하는 말입니다. 이러한 제신들 중 우두머리가 불법 수호의 신으로 유명한 제석천(인드라)입니다. 2. 용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상상의 동물인 용입니다. 물 속에 살면서 바람과 비를 부리는 능력을 가진 존재로 나라를 지키는 신으로 여겨집니다. 3. 야차는 원래 인도의 신화인 베다에 나오는 존재입니다. 초자연적 힘과 무서운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악한 신으로 여겨졌으나 불교로 건너오면서 야차는 사람을 도와 이익을 주며 불법을 수호하는 신이 되었습니다. 4. 마후라가는 인도 신화에 나오는 음악의 신으로 뱀의 머리를 지닌 음악의 신입니다. 땅속의 모든 요귀를 쫓아내는 임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5. 건달바 역시 인도 신화에서 나오는 신으로 천상의 물인 소마를 지키는 신입니다. 소마는 모든 병을 회복시켜주는 신령스러운 물이었기 때문에 의사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또, 술과 고기를 먹지않고 향을 먹고 산다고해서 향신으로 불리우기도 한답니다. 6.아수라는 수많은 얼굴과 팔을 가진 신으로 인도신화에서는 악한 신으로 여겨졌으나 불교로 넘어오면서 선한 신으로 여겨집니다. 7.긴나라는 인도신화에 나타나는 음악의 신으로 부처를 만날때만 사람의 모습을 취하는 존재입니다. 말의 머리로 표현되기도 한답니다. 8. 가루라는 새벽과 태양을 상징화한 존재로 새로서 나타납니다. 금시조라고도 불리우는데 모습은 독수리와 비슷하고 날개는 봉황의 날개와 같고 한번 날개를 펴면 360리나 펼쳐진다고 합니다. 뱀뿐만 아니라 용도 잡아먹을 수 있어서 풍우를 그치게 하고 번개를 피하는 힘이 있다고 믿어졌다. 불교에 수용된 이후에는 수명을 늘리는 능력이 더해졌고 불법을 수호하는 신들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팔부귀중> 1. 비사사는 팔부의 하나로 지국천왕에 속해있으며 사람의 정기나 피를 먹는다는 귀신입니다. 2. 구반다는 팔부의 하나로 사람의 정기를 빨아먹는다는 귀신으로, 사람의 몸에 머리는 말의 모양을 하고 있는 남방 증장천왕의 부하입니다. 3. 부단나는 팔부의 하나로 동방을 수호하는 귀신입니다. 4. 나찰은 팔부의 하나로 푸른 눈과 검은 몸, 붉은 머리털을 하고서 사람을 잡아먹으며, 지옥에서 죄인을 못살게 군다고 합니다. 용, 야차, 건달바만 같고 나머지는 이름부터 다릅니다 천용팔부에서의 팔부중은 天의 경우 28천의 천상사람들이 모두 포함됩니다 넓은의미로는 사천왕마저도 포함되죠 또 가루라라는 새의 경우 크고 용맹스러워 용을 잡아먹고 산다고 합니다 천용팔부에서 팔부중은 인도신화나 불교에서 말하는 대표적인 모든 神衆들이 포함된데 비해 사천왕 팔부중은 사천왕아래 예속되어 있어 사천왕이 부릴 수 있는 신중들로 국한됩니다
천용팔부신중(天龍八部神衆)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천(天) ·용(龍) 등 8종의 신장(神將).
팔부중 ·천룡(天龍)팔부중이라고도 한다. ① 천:천계에 거주하는 제신(諸神). 천은 삼계(三界:欲界 ·色界 ·無色界) 27천으로 구분되나, 지상의 천으로는 세계의 중심에 있는 수미산(須彌山) 정상의 도리천(利天:三十三天)이 최고의 천이며, 제석천(帝釋天)이 그 주인이다.
② 용:물 속에 살면서 바람과 비를 오게 하는 능력을 가진 존재. 호국의 선신(善神)으로 간주되며 팔대용신(八大龍神) 등 여러 종류가 있다.
③ 야차(夜叉):고대 인도에서는 악신으로 생각되었으나, 불교에서는 사람을 도와 이익을 주며 불법을 수호하는 신이 되었다.
④ 건달바(乾達婆):인도신화에서는 천상의 신성한 물 소마(Soma)를 지키는 신. 그 소마는 신령스런 약으로 알려져 왔으므로 건달바는 훌륭한 의사이기도 하며, 향만 먹으므로 식향(食香)이라고도 한다.
⑤ 아수라(阿修羅):인도신화에서는 다면(多面) ·다비(多臂), 즉 얼굴도 많고 팔도 많은 악신으로 간주되었으나, 불교에서는 조복(調伏)을 받아 선신의 역할을 한다.
⑥ 가루라(迦樓羅):새벽 또는 태양을 인격화한 신화적인 새로서 금시조(金翅鳥)라고도 한다. 불교 수호신이 되었다.
⑦ 긴나라(緊那羅):인간은 아니나 부처를 만날 때 사람의 모습을 취한다. 때로는 말의 머리로 표현되기도 한다. 가무의 신이다.
⑧ 마후라가(摩羅迦):사람의 몸에 뱀의 머리를 가진 음악의 신. 땅속의 모든 요귀를 쫓아내는 임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룡팔부중’에 관한 기록은 《법화경(法華經)》 등의 대승불교 경전에 보이며, 사천왕(四天王)의 전속으로 기술되고 있다. 경주 석굴암의 조각은 경전의 묘사와는 달라 신라시대 신앙의 한 모습을 보여주는 빼어난 작품이다.
사천왕 팔부중은 사천왕에 딸려 있는 8가지 종류의 신중을 말한다.
1.지국천왕-건달바, 부단나
건달바는 제석의 음악을 맡은 신 . 지상(地上)의 보산(寶山)중에 있으며, 술과 고기를 먹지않고 향기만 먹는다.
부단나는 취(臭), 취예(臭穢-고약한 냄새가 나고 더러움)라 번역되어진다.
2.증장천왕-구반다, 폐례다
구반다는 사람의 정기를 빨아먹는 귀신. 말머리에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다.
폐례다는 아귀를 말한다.
3. 광목천왕-용, 비사사
용은 본래 인도에 사는 용 종족들이 뱀을 숭배하는 신화에서 나온곳으로 신력이 있어 구름과 비를 변화시킨다고 한다.
비사사는 식혈육귀(食血肉鬼)라고 번역하며 아귀의 모습을 하고 있다.
4.다문천왕-야차, 나찰
야차는 번역하면 위덕(威德), 용건(勇健), 귀인(貴人)이라 함. 천야차, 지야차, 허공야차의 3가지가 있다.
나찰은 지옥에 있는 귀신이라고도 한다. 여성은 나찰녀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