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의 만남 (인연) 통변법
◎ 설정
⁜ 음양: 습∙한 = 난습현상 (동절생의 춘하향)
• 한의 외로운 감성과 습의 붙는 성질에 만나고 싶다는 욕망이 겨울태생한테 가장 많이 나타나는데 춘하운(인묘진 목과 사오미 화기운)이 오면 이성을 만나고 싶어 함
⇨ 동절생이 아니더라도 사주에 금수가 많은 사람은 한한 성격이 있으므로 외롭다는 성격, 술은 붙는 성격 때문에 이런 현상이 벌어짐
⇨ 겨울에 태어난 사람도 춘하절이면 남녀가 만날 확률이 높고 금수가 많은 사람도 목화운이면 남녀가 만날 확률이 높음
⁜ 오행
1) 합일: 토 + 수 (기계 무임 / 무계 기임) - 토수합일
• 합일이라는 것은 토가 수를 만나는 것
2) 동근: 토 + 화 (기정 무병 / 무정 기병) - 토화동근
• 동근이라는 것은 토가 화를 만나는 것
통변 방법)
• 대체적으로 토를 남자로 보고 수화를 여자로 보며 세운에서 통변을 해야 함
• 세운에서 합일의 기계 무임이나 동근의 기정 무병의 만남 형태는 지속적인 만남이 가능해서 나중에 결혼까지 가능하지만 세운에서 합일의 무계 기임이나 동근의 무정 기병으로 남녀가 만나면 지속 가능성이 거의 없음
⁜ 육신
1) 이성: 상극 관계
• 이성 관계를 상극 관계로 봄
2) 간합
➀ 육체: 식상 + 관살 (생산성)
• 식상과 관살의 이성 관계는 순수한 남녀적 만남으로 사랑하는 것임 (육체적 교감)
⇨ 정신적 교감이 부족함 (속궁합)
⇨ 여자를 만나면 벌벌 떠는 형
➁ 교감: 인성 + 식상 (정신성)
• 인성과 식상의 관계는 이런 운에 만났거나 이렇게 되어 있는 관계는 육체적인 선호도를 가지고 만나는 식상과 관살의 만남과 달리 정신적인 교감으로 만남 (정신적 교감)
⇨ 육체적 교감이 부족함 (겉궁합)
⇨ 쫌상형
③ 벌이: 비겁 + 재성 (생존성)
• 비겁과 재성이 합으로 된 만남의 형태는 상대의 벌이 능력으로 만나는 생존형 궁합임
➃ 조건: 재성 + 인성 (배경성)
• 재성과 인성의 합으로 된 만남은 상대의 배경을 보고 만나는 형태임
⁎ ③과 ➃에서 재성이 없는 무재 사주는 벌이 능력이나 상대의 배경에 대한 혜택이 없는 이성을 만나게 됨 (재성이 없으면 이성 상대의 조건을 바라지 말 것)
➄ 리더: 관살 + 비겁 (카리스마)
• 관살과 비겁의 합으로 된 만남은 카리스마 있는 사람을 선호함
⇨ 조직의 리더나 카리스마 있는 속칭 나쁜 남자 스타일을 원함
⇨ 잘못하면 나중에 신세 망칠 수 있음
⁎ 일지가 합과 충이 되는 현상으로 남녀의 만남을 본다는 것은 의미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