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간 100여회 이상 공직자 대상 갑질방지 및 청렴윤리 교육을 하고 있는 김 박사는 이날 고압적이고 우월적인 지위에서 행해지는 부적절한 갑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직사회부터 인식개선과 더불어 솔선수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김 박사는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특혜요구, 채용비리, 직장괴롭힘, 인격모독 등의 갑질은 공직은 물론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생활적폐로 시급히 청산되어야 한다”며“ 고용세습 등 공공부문 갑질부터 방지하는 캠페인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자”고 제안했다.
김 박사는 최근 개정된 갑질방지 주요내용과 공무원행동강령 청탁금지법 ‘9대 생활적폐’ 등을 비교해 가면서 동영상을 이용한 최근 위반사례와 도표를 곁들여 쉽고 재미있게 설명했다.
9대 생활적폐는 유치원비리, 채용비리, 불공정갑질, 보조금부정수급, 지역토착비리, 변칙탈세, 요양병원비리, 재건축비리, 안전부패 등이 있다.
갑질 방지와 관련 공무원행동강령에 포함된 새로운 조항은 크게 다섯 가지로▲사적 노무 요구 금지▲민간에 대한 부정청탁 금지▲직무 관련 영리활동 금지▲가족 채용 제한과 수의계약금지▲공직자의 사적 이해관계 자진신고 등이다.
한편 강원도 홍천 출신의 김 박사는 헤럴드경제신문에서 기자 생활을 하다가 국민권익위원회의 전신인 부패방지위원회에 개방형공무원으로 공채돼 7년간 반부패 국가정책을 홍보, 청렴교육 전문서인 ‘물질풍요에서 정신풍요로’와 ‘청렴선진국 가는 길’ 등을 저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