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2;37
베드로가 복음을 선포하자 예루살렘 거주민을 포함해 신도의 수가 삼천 이상이나 더해졌어요. 놀라운 일입니다. 그러나 숫자보다 중요한 것은 복음을 들은 자들의 반응과 그 이후 삶입니다. 첫 선포를 들은 사람들은 어떻게 반응했고, 그들은 어떤 삶을 살았는가? When Peter proclaimed the gospel, the number of believers, including the residents of Jerusalem, increased by more than three thousand. It is surprising. But what is more important than the number is the reaction of those who heard the gospel and their lives thereafter. How did those who heard the first proclamation react, and what kind of lives did they live?
-
“식탁마다 큰 접시에 여러 가지 고기가 담겨 나왔고, 또 다른 접시에는 온갖 채소가 담겨 나왔다. 틀림없이 오늘을 위해 한 주 내내 아껴두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중략) 아리스도 볼로가 자기 종의 접시 위에 음식을 덜어주는 것을 보고 나는 놀랐다. 음식을 덜어주는 데서 그치지 않고 자기 것과 정확히 똑같은 종류를 똑같은 양으로 담았다. 내가 자라면서 본 경험에 의하면, 해방 노예라 할지라도 그에게는 귀빈에게 주는 것보다는 덜 좋은 음식과 포도주를 주고, 그릇마저도 다른 그릇을 냈다. 종들은 식당 밖에서 먹는 것이 상례였다(로버트 뱅크스, 1세기교회 예배이야기). “ "Each table served a variety of meat on a large plate, and another was served with all kinds of vegetables. It occurred to me that I must have saved it all week for today." (Omittedly) It surprised me to see Aris do Bolo offering his own kind of food on his own plate. It did not stop at relieving it, but contained exactly the same kind as his own. From the experience I saw growing up, even a liberating slave gave him less good food and wine than a VIP, and served him another bowl. It was customary for the servants to eat outside the restaurant (Robert Banks, 1st Century Church Service Story)."
-
수 십 년 전에 읽었던 1세기 교회이야기가 어제 읽은 것처럼 떠오릅니다. 저자가 말한 것처럼 교회는 차별이 없어야 합니다. 누구나 하나님의 자녀로서 평등한 대접을 받는다는 것이 교회가 세상과 다른 모습입니다. 세상에서는 힘없고 가난하고 병약하다는 이유로 차별을 받는 사람이라도 교회에서만큼은 동등한 대접을 받아야 할 것입니다. The story of a first-century church I read decades ago comes to mind as if I read it yesterday. As the author said, the church should be free from discrimination. The fact that everyone is treated equally as a child of God is different from the world. In the world, even those who are discriminated against for being weak, poor and sick should be treated equally in the church.
-
초대교회가 그랬습니다. 기득권을 누리는 인간의 욕망이 강하게 저항 하기 때문에 이런 모습은 흔히 혁명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러나 굳이 혁명을 말하지 않는다 해도 가능했던 건 복음 때문입니다. 앞서 베드로가 관찰, 해석한 내용(34-36)을 적용합니다. This was the case with the First Church. Some people say that such a situation is often possible only through revolution because human desire to enjoy vested interests strongly resists it. However, it was possible even if we didn't talk about revolution because of the gospel. This applies what Peter observed and interpreted earlier (34-36).
-
“ 37 저희가 이 말을 듣고 마음에 찔려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에게 물어 가로되 형제들아 우리가 어찌할 꼬 하거늘 38 가로되 너희가 회개하여 각각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 사함을 얻으라. 그리하면 성령을 선물로 받으리니 39 이 약속은 너희와 너희 자녀와 모든 먼데 사람 곧 주 우리 하나님이 얼마든지 부르시는 자들에게 하신 것이라."
-
유대인들은 자신들이 메시아 예수를 죽였다는 사실을 듣고 마음에 찔려 사도들을 향해 ‘어찌할 꼬‘합니다. 뼈아픈 착각에 애통해한 것입니다. 그들에게 말씀은 지식이 아니었습니다. 전 존재를 흔들고 삶의 전환을 요구하는 준엄한 명령이었습니다. 이에 베드로는 회개하고 세례를 받으라고 촉구합니다(40). 이는 예수가 저주받아 죽은 자가 아니라 ‘주와 그리스도’가 되신다는 사실을 인정하라는 뜻입니다. When the Jews heard that they had killed the Messiah Jesus, they were stabbed in the heart and 'took what to do' to the apostles. They were saddened by the painful illusion. To them, words were not knowledge. I was a stern order that shook existence and demanded a change of life. In response, Peter urged them to repent and be baptized (40). This means to admit that Jesus is not cursed and died, but that he is "Lord and Christ."
-
베드로는 회개와 세례의 의미를 패역한 세대로부터의 구원이라고 말합니다. 패역한 세상으로부터 해방이며, 사단의 미혹에 빠져 죄와 사망가운데로부터 건짐을 받고 예수의 길을 따라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베드로의 설교를 듣고 무려 3,000명이 예수께 돌아오는 기적이 일어났습니다(41). 한때 우리 교회는 역촌동에 있는 작은 건물 교회이었습니다. 교인이라고 해봐야 어른 30명에 아이들20명 정도 되기 때문에 가정교회에 가까울 겁니다. Peter describes the meaning of repentance and baptism as salvation from the defeated generation. It is liberation from the defeated world, and it means falling into the fascination of the division, being saved from sin and death, and living along the path of Jesus. A miracle occurred in which as many as 3,000 people returned to Jesus after listening to Peter's sermon (41). At one time, our church was a small building church in Yeokchon-dong. As many as 30 adults and 20 children, it would be close to a family church.
-
장로 회이면서도 장로가 아직 한 분(목사) 밖에 없어서 실행 위원(안수 집사)들이 살림을 하는 복수 리더십 체제로 교회를 운영하였습니다. 물론 지금은 교회 개척15년 차가 되어 목사, 장로의 치리를 받을 만큼 성장했다고 듣고 있습니다. 아브라함이 우르-하란-가나안-애급을 경유한 것처럼 우리 교회는 봉천동 광야-미아리 박 훈-이강 미술 학원- 봉천동-역촌동- 삼송역 믿음의 교회를 거쳐 지금의 처소까지 옮겨 다녔습니다.Although it is a Presbyterian Church, there is only one elder (pastor), so I ran the church under a plural leadership system in which the executive committee members (Ansu butler) manage the house. Of course, I heard that it is in the 15th year of the church's founding and has grown enough to receive the care of pastors and elders. Just as Abraham passed through Ur-Haran-Canaan-Ae class, our church moved through Bongcheon-dong Gwangya-Miari Park Hoon-Igang Art Academy-Bongcheon-dong-Yeokchon-dong-Samsong Station Church of Faith to the current place.
-
어디든 하나님이 계시는 곳이 성전이라고 하셨고 그 옛날 메이 플라워 호를 타고 떠났던 청교도들처럼 신앙을 찾아 떠난 것을 울 주님이 다 아실 것입니다. 교회 공동체는 하나님 나라를 찾아 자신의 삶의 방식을 바꾸는 자들의 모임입니다. 세례를 받은 자들이 사도의 가르침을 받고, 서로 물질을 나누면서 교제하고 성찬을 하고 기도하는 공동체 이어야 합니다. Our Lord will know that wherever God is, he said that the temple was the place where God was, and that he left in search of faith like the Pilgrims who left in the May Flower in the old days. A church community is a group of people who find God's kingdom and change their way of life. It should be a community where the baptized are taught by the apostles, who share materials with each other, socialize, communicate, and pray.
-
통용하고 내 재산과 소유를 필요에 따라 나누어 주는 일도 누군가는 해야 합니다. 나는 아직 티칭도 목회도 하지 않지만 언젠가 내가 목회에 일조하게 된다면 가끔 이런 교회를 꿈꾼답니다. 모이기를 힘쓰는 교회, 만나면 손잡고 기도하며 서로 떡을 떼는 공동체를 지향하는 교회, 쉬는 시간에 자유롭게 아카펠라로 찬양하며 노는 교회, 문턱이 낮아 365일 열려있고 새로 나온 성도를 온 교인이 식구처럼 대해주는 교회 누구든 열람하면 볼 수 있는 책자가 있는 교회, 우리 아이들이 맘 것 놀고 컴퓨터도 할 수 있는 교회, 탁구장, 당구장, 볼링장, 스크린 골프장도 설치하고 싶습니다. Someone has to use it and share my property and possessions as needed. I don't teach or ministry yet, but if I contribute to ministry someday, I sometimes dream of a church like this. I want to set up a church that works hard to gather, a church that aims to be a community where people hold hands and pray when they meet, a church that freely praises and plays with a cappella during breaks, a church that is open 365 days a year due to low thresholds and treats new members like family members. I also want to set up a church with brochures for anyone who can read, a church where our children can play whatever they want and play on the computer, a table tennis room, a billiard room, a bowling room, and a screen golf course.
-
성도가 직접 성경을 읽을 수 있도록 되도록이면 많은 기회를 주는 교회, 설교 말고 토론하는 성경 공부를 하는 교회를 만들고 싶습니다. 시험 때는 교회 기도 실에 남아서 맘 맞는 친구들 끼리 밤새워 공부도 하는 교회, 그러나 공부는 잘못해도 큐 티 하는 사람들이 판치는 교회, 자유롭게 지목 헌금을 하면서 교회의 사정을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교회, 두 달에 한 번은 야외 예밸 드리고 축구도 하는 교회, 한 달에 두 번은 교회에서 밥을 먹고 나머지 두 번은 도시락을 가져와서 나눠 먹는 교회. 큐 티 적용하려다 실업자가 된 청년들에게 실업 보험을 들어주는 교회, 촛불 집회에 나가 찬양도 부르고 떡 꼬치도 사 먹으면서 온 교인이 사회 참여를 지향하는 교회, 사모님에게 수녀 캐서린이 아니었다면 루터의 종교개혁이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살짝 귀 뜸 해 주는 교회를 우리가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 주께서 허락하시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복음에 대한 바른 반응의 결과는 무엇인가? 나는 마음에 찔림이 올 때 어떻게 하는가? I want to make a church that gives many opportunities for saints to read the Bible in person, and a church that discusses the Bible other than preaching. During exams, we want to make a church that stays in the church's prayer room and studies all night with friends who like it, but also a church where people who study hard can find out about the situation of the church by freely donating their money to others, a church that anyone can freely pick and play soccer, a church that eats at the church twice a month and brings and shares lunch boxes the other two times a month. We want to make a church that provides unemployment insurance to young people who became unemployed after trying to apply QT, a church that encourages church members to participate in society while going to candlelight vigils and eating rice cake skewers, and a church that makes people listen a little bit if it weren't for Catherine, a nun. Wouldn't it be possible if the Lord allows it? What is the result of the right response to the gospel? What do I do when I feel a pain in my heart?
-
회개 촉구와 복음 선포(37-41)
a.무리가 마음의 찔림:37
b.회개를 촉구하고 복음을 선포함:38-40
c.삼천 명이 세례를 받음:41
예루살렘 교회의 초기 모습(42-47)
a.새 신자들의 교회 생활:42
b.많은 기사와 표적이 나타남:43
c.재산과 소유를 유무상통함;44-45
d.초대교회의 역동적인 신앙:46-47
-
그들이 이 말을 듣고(37a)
마음에 찔려(37b)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에게 물어 이르되(37c)
형제들아 우리가 어찌할꼬 하거늘(37d)
-
베드로가 이르되(38a)
너희가 회개하여(38b)
각각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38c)
세례를 받고(38d)
죄 사함을 받으라(38e)
그리하면 성령의 선물을 받으리니(38f)
-
이 약속은(39a)
너희와 너희 자녀와 모든 먼 데 사람(39b)
곧 주 우리 하나님이(39c)
얼마든지 부르시는 자들에게(39d)
하신 것이라 하고(39e)
-
또 여러 말로 확증하며(40a)
권하여 이르되(40b)
너희가 이 패역한 세대에서(40c)
구원을 받으라 하니(40d)
-
그 말을 받은 사람들은(41a)
세례를 받으매(41b)
이 날에 신도의 수가(41c)
삼천이나 더하더라(41d)
-
그들이(42a)
사도의 가르침을 받아(42b)
서로 교제하고(42c)
떡을 떼며(42d)
오로지 기도하기를 힘쓰니라(42e)
-
사람마다 두려워하는데(43a)
사도들로 말미암아(43b)
기사와 표적이 많이 나타나니(43c)
_
믿는 사람이(44a)
다 함께 있어(44b)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44c)
-
또 재산과 소유를 팔아(45a)
각 사람의 필요를 따라(45b)
나눠 주며(45c)
-
날마다 마음을 같이하여(46a)
성전에 모이기를 힘쓰고(46b)
집에서 떡을 떼며(46c)
기쁨과 순전한 마음으로(46d)
음식을 먹고(46e)
-
하나님을 찬미하며(47a)
또 온 백성에게 칭송을 받으니(47b)
주께서 구원 받는 사람을(47c)
날마다 더하게 하시니라(47d)
-
주께 대한 회개와 믿음_ repentance and faith in the Lord_
교회에서의 바른 관계_ the right relationship in the church_
세상에서의 다른 삶_ A different life in the world_
-
주님과 함께 이 땅에 임하신 하나님 나라를 환영합니다. 알지 못해서 내 손으로 못 박았던 예수님은 내 생명이며 왕이신 것을 부활을 통해 자세히, 자세히 설명해 주셨으니 나도 부활의 증인으로 살겠습니다. 어찌할 꼬 할 수밖에 없는 내 인생을 유쾌하게 바꾸는 일이 지금 회개하고 주님을 받아드리는 일임을 깨닫고서 내 주를 나의 왕으로 내 주인으로 고백하나이다. 특별히 성령 론과 관련해 예수를 주로 고백하면 성령을 선물로 받을 수 있음을 믿고 감사를 드립니다. I welcome the kingdom of God who came to this land with the Lord. I will also live as a witness of the resurrection because you explained in detail through the resurrection that Jesus, who was not aware of it and nailed it with my hand, was my life and king. I confess my Lord as my king, realizing that it is now to repent and accept the Lord, which I have no choice but to do.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the Holy Spirit, I believe that if I confess Jesus mainly, I can receive the Holy Spirit as a gift and thank you.
2024.5.5.sun.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