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DOALNARA.COM

3.1일에 관하여는 아래와 같이 정의를 하고 있습니다.
{3·1절(三一節)의 역사적 의의} 삼일절은 해방 이후 지금까지 가장 중요한 국가 기념일로 평가받는다. 이는 3·1운동이 한국 독립운동사에서 차지하는 역사적인 의의 때문이다. 이 점은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민국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라고 밝히고 있는 대한민국 헌법 전문(前文)에도 잘 나타나 있다.
일제의 철통같은 무단통치를 뚫고 전국 각지에서 자발적이고 열정적으로 전개된 3·1운동은 일제의 식민통치에 대한 분명한 거부와 문화적, 역사적 민족 개념에 기반한 이상적 국가 건설이라는 지향이 한국 민족 개개인에게 뿌리 내리게 되는 결정적 계기였다. 비록 3·1운동을 통해 일제 식민 통치를 극복하지는 못했지만 3·1운동은 비로소 한국 민족을 한국 민족으로 각성시켰던 것이다.
3·1운동 이후 활동한 거의 모든 독립 운동 세력은 3·1 운동을 자신들의 모태로 간주하였으며, 독립 운동의 역사적 당위성과 그들 활동의 역사적 논거로서 3·1운동을 꼽았고, 따라서 매년 이날을 기념하면서 독립을 향한 의지를 새롭게 했다. 1920년 3월 1일 상해 올림픽대극장에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주최한 제1회 삼일절 기념식에서 안창호는 “과거 일년간 일인은 이날을 무효화하려 하였고, 우리는 이날을 유효하게 하려 싸웠소. 일인의 최대 문제는 이날을 무효로 돌리는 것이고, 우리의 최대 의무는 이날을 영원히 유효하게 함이외다. …… 그리하기 위하여 우리는 작년 3월 1일에 가졌던 정신을 변치 말자 함이요.” 하고 연설했는데, 이는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을 했던 모든 세력들에게 3·1운동이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적절히 함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 민족을 한국 민족으로 각성시킨 결정적 사건이었던 3·1운동은 당연히 해방 이후에 전 민족적으로 기념해야만 하는 가장 중요한 사건이었다. 특히 1946~1948년까지 해방 정국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 다투었던 각 정치 세력은 자신들이 3·1운동의 진정한 계승자라는 점을 부각시키기 위해 삼일절 기념식을 자신의 주도로 치르기 위해 격렬한 경쟁을 전개하기도 했다.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듬해인 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 관한 법이 제정, 공포되면서 3월 1일은 ‘삼일절’이라는 명칭으로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국경일이 되었다. 매년 3월 1일에는 3부 요인을 비롯해서 광복회와 독립 유공자 유족들이 참석한 가운데 삼일절 기념식을 거행한다. 또 각 지역별로 1919년 3·1운동 당시 각 지역 만세 운동 광경의 재현을 비롯한 다채로운 행사를 열기도 한다.
3.1절이 되면 태극기가 휘날리게 됩니다.
3.1절 독립운동의 상징이라면 항상 빼놓을수 없는 인물, 바로 유관순열사입니다.
어린 꽃다운 나이에 조국의 독립을 위해서 목숨을 바쳤던 그녀,
이날을 맞이하면서 다시 한번 독립을 위해 음지에서 양지에서 묵묵히 자기의 몫을 다한 열조들에게 깊은 감사의 뜻을 표합니다.
WWW.DOALNARA.COM
첫댓글 오늘의 내가 있기까지 죽음으로 지켜온 선조들의 대한 고마운 마음 다시금 .....
벌써 3월 달이네요.
삼일절 과 광복절은 절대 잊어서는 안되는 날이죠.
희생하신 분들이 있었기에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는거죠.
감사드립니다.
기미년 3월1일 만세운동 일본군 총칼
앞에 맨손 맨몸으로 대한민국 독립을
왜쳐더날 기억하자 일본강정기를.
정말 의미가 깊은 달이네요
조국을 위해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바쳤기에 지금에 우리가 있을수가 있지요
3월1일 뜻깊은날 또한번 새김니다
목숨 걸고 조국을 지켜온 분들이 계셔기 때문에
오늘에 대한민국이 있는 것이죠
목숨 바쳐 싸운 구국의 정신을
본 받아야겠습니다.
아 어찌 잊으리요 그날의 그 정신을......
삼일절노래가사가 생각 나네요 이날은 우리의 의요 생명이요 교훈이다
그들의 정신을 뜻깊게 새겨야 되겠어요
어르신 벗님들의 희생 감사합니다
목숨바처. 지켜준 나라 그분들께 항상 감사한 마음 잊지말아야 겠습니다
이나라가 그양주어진 나라가아니내요!!~~^^감사합니다
3월은 애국에 정신을 다시금 마음에
새겨봅니다~
3...1 절이 되면 마음으로 묵렴이 저절로 됨니다.
이나라을 찾기위해서 얼마나 모진 고문과 그 뼈아품들...
애국 정신에 오늘날이 내가 존제하고있다는것에 늘 감사합니다
나라와 조국을 위하여 충성하는 분들께 진심한 맘으로 감사드립니다
열조들의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
다시금 새겨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