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행크럽 일행은 화개장터에서 재첩국으로 점심식사를 한 후
지리산 칠불사와 남해 노량대교를 둘러본 후 대구로 돌아왔다
1).칠불사는 지리산 반야봉(般若峰) 남쪽 해발 830여m 고지에 있는 사찰이다.
가락국 수로왕(金首露)의 일곱 왕자가 외숙인 범승(梵僧) 장유보옥(長遊寶玉) 화상(和尙)을 따라와
이곳에서 동시 성불한 것을 기념하여 김수로왕이 국력으로 창건한 사찰로서 가야불교의 발상지이다.
신라 효공왕 대에 이르러 금관[현재의 김해]의 승려 담공 선사가 이 절에 와서
벽안당 선실을 아자형의 2중 온돌방으로 축조하였으니 이것이 유명한 아자방(亞字房)이다.
한 번 불을 지피면 여러 날 보온이 된다는 불가사의한 수법으로 인해 『세계건축사전』에 올라 있다
. 1948년 여수·순천반란 사건으로 완전 소실되어 오랫동안 재건되지 못하였으나
1978년 이후 문수전(文殊殿)·보광전(普光殿) 등이 중창되었으며,
1982년에 아자방(亞字房)건물이 복원되었다.
아자방은 온돌방으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44호이다.
가락국 수로왕은 60년 동안 나라를 다스려 태평성세를 이루었는데
그의 아들 10명중 한 명은 태자가 되고
두 명은 어머니인 허황후의 성씨를 잇게 하였으며,
나머지 7명은 속세와 인연을 끊고 외삼촌인 장유보옥(長遊寶玉) 화상을 스승으로 모시고
출가하여 수도할 것을 결정하였다.
일곱 왕자는 가야산,·수도산(修道山),·와룡산(臥龍山),·구등산(九等山)을 거쳐
칠불사에 정착하여 일심으로 정진한 지 6년 만에 정각 성불하였다

칠불사 가는길


단풍도지고 초겨울을 맞는 계곡

명상의길을 따라 오르다보면 만나는 정자

영지
-이 연못은 1세기경 가락국 김수로왕 부부가
출가 수도중인 일곱왕자의 모습을 그림자로나마 보기 위해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봄을 기다리는 백목련

칠불사 전각

동국제일선원 편액이 보이는 보설루

대웅전
-왼편이 유명한 아자방인데 지금 대수선중이다

문수전

원음각

범종

설법당


칠불사 전경

단체 기념사진

탑비 옆으로 내려가는 회원들

일주문
칠불사 답방을 마치고 노량대교로 향한다
2),노량대교는 남해군 설천면 덕신리와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를 잇는 현수교이다
2009년 10월 26일 착공하여 9년 간의 공사 끝에 2018년 9월 13일 완공과 함께 개통되었다.
건설 당시에는 '제2남해대교'라는 이름이었으나 2018년 2월 11일 '노량대교'라는 이름으로 확정되었다.
총 연장 3.1km, 주탑은 148.6m로 50층 건물의 높이와 같으며,
주탑은 'V'자 형태로 8도의 경사각을 적용하여, 세계 최초의 경사 주탑 현수교로 기록되었다.
노량대교가 건설된 해협은 이순신 장군의 노량해전이 벌어졌던 곳으로,
주탑의 경사는 이순신 장군의 승전을 기념하는 의미가 반영된 것이다.
또한 현수교의 케이블을 유선형 모양의 3차원으로 배치하여 해풍에 견디는 힘을 최대로 키웠다.
또한 바다 위에 건설된 현수교이지만 주탑을 육지에 두어,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인접한 청정 해역인
이 지역의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했다

석양녁의 노량대교

철새들이 집을찾아 다리위로 날아간다


광양제철과 노량대교

노량대교를 지탱하는 철봉과 노을지는 광양만

노량대교 전망대에서 보는 남해대교

광양제철

노량대교 홍보관
-노량대교를 부지런히 보고나니 해는 이미 서산에 기울어 진다
여기서 이동식 저녁식사를 한 후 모든일정을 마무리하고 대구로 향한다-
첫댓글 안천님 칠불사와 노량대교 및 주위경관 촬영 잘 했습니다. 철새 날으는 귀중한 순간을 잘 포착했고 정말 행운인것 같습니다.
여행클럽의 영원한 추억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즐겁고 건강한 한주되세요
칠불사..
못 가본곳...
구경 잘했읍니다
고맙습니다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