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천
백일해 감기 기침 해수 천식 두통 구강염 식중독
▶ 기침을 멈추는 작용, 심혈관계통에 대한 작용, 평활근에 대한 작용, 중추 신경 계통을 가볍게 마취시키는 작용, 소아천효, 삼음학, 하감이 오래도록 화농하지 않는 증세(납촉감), 비소중독, 비소를 잘못먹고 빈사상태에 빠졌을 때, 팔각슬, 유화풍질(열풍관절염), 습열비, 좌골신경통, 타박상, 기폐훈궐, 회충, 눈이 빨갛고 충혈되어 아픈데, 머리가 약간 아프고 몸이 노곤한 감모한사, 돌림병, 풍화열종, 치루적통, 소아감병, 초기나력, 청열제습, 통경활락, 지해평천, 양치액, 목욕제, 습진, 가려움증, 감모발열, 폐열해수, 습열황달, 급성위장염, 해수효천, 통풍, 각기, 편도선염, 구강염, 인두염, 눈의 피로, 시력강화, 백내장, 불에 덴데, 종기, 벌에 쏘인데, 개에물린데, 식체, 생선중독, 백일해, 급성전연성간염, 급성위장염, 안구충혈, 두통, 폐열로 인한 해수, 감기, 기침, 해수, 천식을 다스리는 남천
남천(南天)은 매자나무과의 늘푸른 상록 관목이다. 인도에서 동아시아에 걸쳐 1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남부 지방에서 재배하여 가꾸는 나무이다. 키는 약 2~3미터까지 자란다. 잎은 가죽질이며 3회 깃골 겹잎이다. 잎줄기에 마디가 있으며 작은잎에는 잎자루가 없으며 타원상 피침형이다. 잎의 길이는 3~10센티미터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가지 끝에 지름 6밀리미터의 흰색이 6~7월경에 핀다.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중국에서 들여와 관상용으로 심고 있다. 길거리나 공원, 화단에서도 쉽게 볼 수 있을 정도로 많이 재배하여 가꾸고 있다. 봄에는 어린순이 푸르게 올라오고 열매가 열려 겨울철에는 잎 전체가 붉으스레한 모습을 뛰고 있다. 봄에 흰꽃이 핀 다음 가을에 빨간색의 둥근 열매가 열려 있는 모습이 마치 포도송이가 열려있는 것처럼 느껴져서 보기에도 매우 아름답다. 노란열매가 열리는 남천도 있다.
중국의 <도경본초(圖經本草)>에서는 남천의 열매를 '남천촉(南天燭)'이라고 부르는데, 그 이유는 남천의 방울모양의 빨간 열매가 줄기 끝에 달린 모습이 마치 햇불처럼 보인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또한 잎이 대나무와 아주 비슷하다고 하여 '남천죽(南天竹)'이라고도 부른다.
남천의 열매를 남천죽자[南天竹子: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뿌리를 남천죽근[南天竹根: 복건민간약초(福建民間藥草)], 토황련[土黃連: 광서중약지(廣西中藥誌)], 찬석황[鑽石黃, 산황련:山黃連: 중경초약(重慶草藥)], 계조황련[鷄爪黃連, 산황금:山黃芩: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줄기와 가지를 남천죽경[南天竹梗: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잎을 남천죽엽[南天竹葉: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이라고 하여 모두 약용한다.
남천의 여러 가지 이름은 남전죽[藍田竹: 죽보상록(竹譜詳錄)], 양동[楊桐: 본초강목(本草綱目)], 난천죽[闌天竹: 군방보(群芳譜)], 대춘[大椿: 화경(花鏡)], 남천죽[南天竹, 묘아산:貓兒傘, 소철수:小鐵樹, 노서자:老鼠刺, 진주개량산:珍珠蓋凉傘: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남천 등으로 부른다.
남천죽 열매의 여러 가지 이름은 남천죽자[南天竹子: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홍파자[紅杷子: 왕찬계(王瓚桂), 불약양방(不藥良方)], 천촉자[天燭子: 삼기방(三奇方)], 홍구자[紅枸子: 현대실용중약(現代實用中藥)], 남죽자[南竹子: 광서중약지(廣西中藥誌)], 찬석황[鑽石黃: 상해상용중초약(上海常用中草藥)], 남천촉[南天燭: 도경본초(圖經本草)], 남천실(南天實) 등으로 부른다.
[채취]
<열매>
가을에 열매가 익은 후 혹은 이듬해 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건조한 곳에 보관하여 좀이 쓸지 않도록 한다.
[약재]
말린 열매는 거의 공같이 둥근 모양으로 지름이 6~9mm이다. 열매의 겉표면은 적갈색이거나 암홍색이고 광택이 있거나 조금 광택이 있으며 맨 끝에는 약간 돌기한 암술대 밑둥이 남아 있고 밑부분에 열매 꼭지나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열매 껍질의 질은 바삭바삭하여 쉽게 부스러진다. 씨는 동글납작하며 한복판이 약간 움푹하다. 맛은 시큼하고 떫다. 건조하고 붉은 빛깔이며 온전한 것이 좋다. 중국의 강소(江蘇), 절강(浙江), 광서(廣西) 등지에서 난다.
[성분]
<열매>
alkaloid를 함유하고 있는데 주로 O-methyldomesticine이고 그밖에 protopine, isocorydine, nandinine, domesticine 등도 함유되어 있다. 또한 pelargonidin-3-xylosylglucoside, callistephin이 들어 있다.
<뿌리>
알칼로이드(alkaloid)를 함유하고 있는데 주로 domesticine과 o-methyldomesticine이다. 또 nandazurine, berberine, jatrorrhizine도 함유되어 있으나 nandinine은 발견되지 않았다.
<줄기와 가지>
줄기에 magnoflorine, berberine, jatrorrhizine, menisperine(N-methyll isocorydinium), domesticine, O-methyldomesticine, nandazurine, isoboldine이 함유되어 있으나 nandinine은 발견되지 않았다.
<잎>
미량의 magnoflorine을 함유하고 있다. 여린 잎에는 ascorbic acid가 들어 있다(10mg%이하). [중약대사전]
[약리작용]
<열매>
1, 중추신경계통에 대한 작용: domesticine과 nandinine은 냉혈동물(개구리)에 대하여 morphine과 유사한 마취 작용을 일으킨다. 온혈동물(mouse, 개)에 대하여 소량에서는 경미한 마취작용이 있고 대량에서는 경련(間代性:간대성 또는 강직성:强直性)을 일으키며, 개는 침을 흘리고 딸꾹질을 하며 대변실조를 보인다. 이는 척수의 반사성이 높아져 최종적으로 마비되기 때문이다. nandinine의 작용은 domesticine보다 약하다.
2, 심혈관계통에 대한 작용: domesticine과 nandinine은 모두 심장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개구리나 rabbit의 적출 심장에 대하여 직접저인 마비작용이 있는데 atropine은 이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strophanthin은 상당한 길항 작용이 있고 adrenaline도 길항 작용은 있으나 strophanthin보다 못하다. 혈관에 대한 domesticine의 작용에 관한 보고는 일치하지 않는다. 어떤 보고는 두꺼비의 적출한 하지혈관에 관류(灌流)하면 혈관확장 작용이 있다고 하였으나 다른 보고는 두꺼비나 rabbit의 적출 혈관에 관류하여도 이런 영향이 뚜렷하지 않아 아마 추출한 알칼로이드중의 불순물이 일으키는 작용일 것이라고 하였다. nandinine은 rabbit의 적출한 귀혈관인개구리의 적출한 하지혈관에 대하여 영향을 일으키지 않는다. rgbbit에게 정맥 주사하면 혈압이 하강하는데 이는 심장을 억제하기 때문이고 결국 심장마비로 죽는다.
3, 평활근에 대한 작용: domesticine은 모르모트의 in situ 장관의 긴장도를 높이지만 적출한 장관에서는 작용이 상반된다. rabbit의 적출 자궁에 대하여 소량일 때에는 흥분시키고 대량일 때에는 마비시킨다.
nandinine은 토끼의 적출장관 및 자궁, 개의 장관에 대하여 소량에서는 흥분, 대량에서는 억제한다. rabbit의 in situ 장관 및 자궁에 대해서는 흥분 작용밖에 보이지 않는데(처음에 일시적인 억제작용이 있다) 작용 강도는 투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강해진다. 이 작용의 작용점은 자율신경말초와 근육에 있다.
4, 기타 작용: domesticine과 nandinine은 횡문근을 직접 마비시키지만 curare와는 다르다. 처음에는 국소마취 작용이 있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후에 부정되었다. 이 두가지 알칼로이드는 호흡중추를 억제하거나 마비시킨다. domesticine은 morphine처럼 phenanthrene계에 속하고 신경계에 대한 작용이 비교적 강하다. nandinien도 protoberine계에 속하고 원형질독에 속하며 심근과 골격근에 대한 작용은 강하나,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은 비교적 약하다는 보고도 있다. 이전에 추출 보고한 알칼로이드는 일종의 혼합물이기 때문에 그 작용도 비교적 복잡하다.
5, 독성: nandinine의 개구리에 대한 M. L. D는 5mg/10g이고, mouse에 대한 M. L. D는 3mg/10g, rabbit에 대한 M. L. D는 70mg/kg이다(원문에 투약 방법을 밝히지 않았는데 아마도 주사제에 의한 투약일 것이다). domesticine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총 알칼로이드는 독성이 비교적 강한데 개구리(흉부림프강 주사)의 LD50은 1.0~1.5mg/10g이다. [중약대사전]
[성미]
<열매>
맛은 시큼하고 달며 성질은 평하다.
1, <현대실용중약>: "맛은 시큼하고 달다."
2, <복건민간초약>: "맛은 쓰고 시큼하고 떫으며 독이 없다."
3, <광서중약지>: "맛은 시고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있다."
4, <상해상용중초약>: "맛은 씁쓸하고 떫으며 조금 달고 성질은 평하다."
<뿌리>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1, <중경초약>: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2, <복건중초약>: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잎>
<광서중약지>: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약효와 주치]
<열매>
염폐(斂肺), 지해(止咳), 청간(淸肝), 명목(明目)한다. 만성 해수, 천식, 백일해, 학질, 하감궤란(下疳潰爛)을 치료한다.
1, <왕성유수집(王聖兪手集)>: "눈을 밝게하고 수염을 까맣게 하며 기열(肌熱)을 풀고 청간화(淸肝火)하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산체(散滯)한다."
2, <과학적민간약초(科學的民間藥草)>: "진해약(鎭咳藥)으로 기관지 천식에 쓴다."
3,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지설제신(止泄提神), 강근익기(强筋益氣)한다."
4, <약재학(藥材學)>: "염폐(斂肺)한다. 구해자한(久咳自汗)을 치료하고 음위(陰萎)를 치료한다."
<뿌리>
거풍(祛風), 청열(淸熱), 제습(除濕), 화담(化痰)한다. 풍열두통(風熱頭痛), 폐열해수(肺熱咳嗽), 습열황달(濕熱黃疸), 풍습비통(風濕痺痛), 급성 결막염, 부스럼, 나력을 치료한다.
1, <민간상용초약회편>: "회식병(回食病)을 치료한다."
2, <중국토농약지>: "경력(頸癧), 담해(痰咳)를 치료한다."
3, <야생약식도설>: "창선개라(瘡癬疥癩)를 치료한다."
4, <중경초약>: "청열제습(淸熱除濕)한다. 열증화안(熱症火眼), 토혈, 풍열두통(風熱頭痛), 풍습퇴통(風濕腿痛) 혹은 노동 후의 요퇴통(腰腿痛)을 치료한다."
5, <복건중초약>: "청열(淸熱), 조습(燥濕), 해독한다. 폐열해수(肺熱咳嗽), 습열황달(濕熱黃疸), 습열비(濕熱痺), 좌골신경통을 치료한다."
<줄기와 가지>
<귀주민간방약집>: "진해지천(鎭咳止喘)하고 흥분강장(興奮强壯)한다."
<잎>
감기, 백일해, 눈이 빨갛게 충혈되고 아픈 증상, 나력, 요혈, 어린이의 감질(疳疾)을 치료한다.
1, <광서중약지>: "눈이 빨갛게 충혈되고 아픈 증상, 학질, 타박상을 치료한다."
2, <상해상용중초약>: "출혈과 기침을 멎게 한다. 요혈, 백일해를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열매>
내복: 7.4~18.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짓찧어 바르거나 약성이 남게 태워서 갈아서 가루내어 개어서 바른다.
<뿌리>
내복: 37.3~74.6g을 물로 달여서 먹거나 술에 담가 먹는다.
외용: 달인 물로 씻거나 점안(點眼)한다.
<잎>
내복: 11.1~18.5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 짓찧어 바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금기(주의사항)]
외감풍열해수(外感風熱咳嗽)에는 좋지 않다.
남천에 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남천(Nandina domestica Hostedt)
식물: 높이 약 2미터 되는 사철푸른 떨기나무이다. 잎은 깃겹잎이며 쪽잎은 버들잎 모양이다. 꽃은 가지끝에 흰색으로 모여 핀다. 꽃보기 식물로 심는다.
성분: 열매에 '도메스틴' C21 H21 O4 N, 나무껍질에는 '난디닌' C19 H10 O4 N, '베르베린', '도메스티신' C19 H19 O4 N등이 들어 있다. 최근에는 마그노플로린이 분리되었다.
응용: 민간에서 열매를 남천실 또는 남천자 라고 부르는데, 기침약, 열내림약으로 백날기침에 쓴다.]
남천에 대해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권 46면 66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남천죽(南天竹 )
기원: 소벽과(小檗科=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식물인 남천죽(南天竹=남천: Nandina domestica Thunb.)의 뿌리, 줄기, 열매이다.
형태: 상록성 관목으로 높이는 2m에 이른다. 잎은 어긋나며 2∼3회 우상복엽(羽狀複葉)으로 각각의 우상엽(羽狀葉)이 모두 마주나고, 가장 끝에 있는 소우편(小羽片)은 소엽(小葉)이 3∼5장이며 타원형(橢圓形)의 피침형(披針形)이고, 소엽(小葉)의 아래쪽 및 잎자루의 기부(基部)에는 마디가 있어 줄기를 감싸는 모양이다. 꽃은 원추화서(圓錐花序)로 달리고, 꽃받침잎은 여러 개가 중첩되어 있으며, 꽃잎은 6장이고 백색(白色)으로 주상(舟狀) 피침형(披針形)이며, 수술은 6개이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구형(球形)이고 성숙하면 선홍색(鮮紅色)을 띤다.
분포: 산비탈의 잡목림 속 또는 관목이 모인 곳에 자란다. 중국의 長江의 중하류에 있는 각 지역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뿌리와 줄기는 연중 채취가 가능하며 절편하여 햇볕에 말리고 열매는 가을과 겨울에 따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뿌리- domesticine 또는 nandianine 등.
기미: 뿌리와 줄기-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열매-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조금 있다.
효능: 뿌리와 줄기- 청열제습(淸熱除濕), 통경활락(通經活絡). 열매- 지해평천(止咳平喘).
주치: 뿌리와 줄기- 감모발열(感冒發熱), 폐열해수(肺熱咳嗽), 습열황달(濕熱黃疸), 급성 위장염(急性 胃腸炎). 열매- 해수효천(咳嗽哮喘).
용량: 뿌리와 줄기-10∼30g. 열매- 10g.
참고문헌: 회편(滙編), 상권 580면.]
남천에 대해서 일본에서펴낸 <건강, 영양식품사전> 613~614면에서는 이렇게 알려주고 있다.
[남천(南天)
남천은 매자나무과의 식물인데 별명을 남천죽(南天竹)이라 한다. 생약명은 '남천실(南天실)', '난(難)을 돌려서 복(福)으로 한다'라는 연유에서 널리 친숙하게 알려졌다. 예를들어 적반(赤飯)에 남천의 잎을 첨가하고 있는 것은 <식중독(食中毒)의 걱정은 없습니다>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주요성분은 난디닌, 과실에는 알칼로이드인 도메스틴이 함유되어 있고, 아세톤, 베르베린 등도 함유하고 있다. 도메스틴은 기침을 멈추는 작용이 있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그외의 효용으로서는 ① 통풍이나 각기에 뿌리를 달여서 먹는다. ② 편도선염, 구강염, 인두염에는 잎과 열매를 진하게 달여서 사용한다. ③ 눈의 피로, 시력강화, 백내장에는 열매를 달여서 쓴다. ④ 불에 덴데, 종기, 벌에 쏘였을 때, 개에 물렸을 때 등에는 잎의 생즙을 바른다. ⑤ 식체, 생선중독에는 잎을 씹고 있으면 독물을 토한다.
위와 같은 효능을 가지고 있다.]
◆ 남천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소아천효(小兒天哮)
서리 맞은 남천열매, 납매화(蠟梅花) 각 11g, 수연유(水蜒蚰: Agriolimax agrestis Linnaeus) 1마리를 미리 준비하였다가 쓸 때에 달여서 복용한다. [삼기방(三奇方)]
2, 백일해
남천 열매 말린 것 11~18.5g을 물로 달여서 빙당(氷糖)을 넣어 먹는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3, 삼음학(三陰瘧)
남천의 여러 해 묵은 열매를 푹 쪄서 아침마다 한 개씩 끓인 물로 먹는다. [문당집험방(文堂集驗方)]
4, 하감(下疳)이 오래도록 화농하지 않는 증세 일명 납촉감(蠟燭疳)의 치료
남천 열매(약성이 남게 태운 것) 3.73g, 매화빙편(梅花氷片) 0.25g을 참기름에 개어 바른다. [왕찬계(王瓚桂), 불약양방(不藥良方)]
5, 비독(砒毒)을 없애며, 비소(砒素)를 잘못 먹고 빈사상태에 빠진 것의 처방
남천 열매 148g을 갈아서 즙을 짜내서 마신다. 신선한 것이 없으면 말린 것 37.3~74.6g을 물로 달여서 먹어도 된다.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6, 팔각슬(八角虱)
남천열매를 수은(水銀)과 같이 찧어 문지른다. 술에 담가 쓰면 풍비(風痹)를 치료한다.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7, 폐열해수(肺熱咳嗽)
신선한 남천의 뿌리 37.3g, 신선한 비파잎(털을 제거한 것) 37.3g을 물로 달여서 하루에 3번 나누어 먹는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8, 습열황달(濕熱黃疸)
신선한 남천의 뿌리 37.3~74.6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9, 유화풍질(流火風疾: 속칭, 열풍:熱風 관절염)
신선한 남천의 뿌리 37.3~74.6g, 돼지 족발 1~2개에 홍주(紅酒)와 끓인 물을 적당히 붓고 2시간 가량 고아 2~3번에 나누어 먹는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10, 습열비(濕熱痺)
신선한 남천의 뿌리 37.3~74.6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11, 좌골신경통
남천의 뿌리 37.3~74.6g을 물로 달여서 술을 넣어 먹는다. [복건중초약(福建中草藥)]
12, 타박상, 기폐훈궐(氣閉暈厥)
남천의 뿌리 1마디에 백주(白酒) 18.5g을 부어가며 갈은 진한 즙에 끓는 물을 타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호남농촌상용중초약수책(湖南農村常用中草藥手冊)]
13, 회충을 없애는 처방
남천의 뿌리와 연수피(楝樹皮)를 함께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항주약식지(杭州藥植誌)]
14, 눈이 빨갛게 충혈되고 아픈 증상
남천의 줄기와 가지 18.5g, 노변형(路邊荊), 마란(馬蘭), 동상엽(冬桑葉) 각 11.1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농촌상용중초약수책(湖南農村常用中草藥手冊)]
15, 머리가 약간 아프고 몸이 노곤하면 감모한사(感冒寒邪)인데 바로 이 약을 복용하여 발산시키면 좋다. 전경(傳經: 상한이 육경:六經의 순서대로 감염되어 전해지는 것)하여 돌림병이 되지 않게 해야 한다.
남천의 잎 300개, 오매(烏梅), 붉은대추 각 3개, 등심(燈心) 30뿌리, 원수경(芫荽梗: 고수풀줄기) 3마디(고수풀 줄기가 없으면 대신에 총백:蔥白 3개를 쓸 수 있다), 감초, 맥문동 각 11.1g, 시호(柴胡) 7.4g에 물 2컵을 붓고 1컵이 되게 달여서 아무 때나 따뜻하게 데워서 복용하고 약간 땀을 내면 낫는다. [행협검비(行篋檢秘), 각역방(却疫方)]
16, 풍화열종(風火熱腫), 치루적통(眵淚赤痛)
남천의 잎을 달인 물로 눈을 씻는다.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17, 소아감병(小兒疳病)
남천의 잎을 달여서 차 대신 마신다.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
18, 초기 나력
남천의 잎, 위령선, 하고초, 금은화 각 148g을 오래 묵은 술 네 항아리에 담근다. 그런 다음 물에 중탕해서 하루에 세 번씩 먹는다. 약주를 먹을 때 아래의 환을 먹는다.
환약 조제법: 강잠(僵蠶: 볶아 갈은 것) 500g을 설탕으로 벽오동 열매만한 크기의 환을 만들어 한 번에 3.7g씩 먹는다. [백초경(百草鏡)]
19, 감기, 기침
감기 등의 기침을 멎게 하려면 1일 남천의 열매 10g을 물 3컵을 붓고 반으로 줄 때까지 뭉근한 불로 졸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식사 사이에 3회 나누어 마신다. [약용식물대사전 43면]
20, 아이들의 백일해
남천의 열매를 1일 5g오로 하고 꿀이나 설탕을 넣어서 먹기 좋게 만들어 먹인다. [약용식물대사전 43면]
21, 편도선염 등으로 목이 아플 때, 입욕제
8~9월에 잎을 따서 햇볕에 말린 것을 '남천엽(南天葉)'이라고 한다. 1일 남천엽 10g에 물 3컵을 붓고 반으로 졸여 찌꺼기를 건져내고 식혀서 편도선염 등으로 목이 아플 때 양치질을 한다. 잎은 목욕제로도 이용할 수 있다. [약용식물대사전 43면]
남천에 대해서 중국의 <죽보상록(竹譜詳錄)>에서는 말하기를 "남전죽(藍田竹)은 곳곳에 있으며, 정원에 많이 심는다. 원줄기에서 작은 가지가 돋아나고 잎이 마주 나는데 대나무와 비슷하다. 봄에 꽃이 피고 이삭이 패는데 색은 희고 약간 붉은 빛을 띤다. 열매는 완두만 하고 짙푸른 빛깔인데 겨울이 되면 홍옥(紅玉)처럼 빨갛게 되며 동그랗고 곱다. 일반적으로 종자가 벽옥(碧玉) 같다고 하여 남전죽(藍田竹종옥)의 뜻에 따라 이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또 원래 남천축국(南天竺國)에서 왔는데 원래 남천축(南天竺)이라 하던 것을 사람들이 잘못 불러 남전죽(藍田竹)이라 하였다고 한다."라고 기록한다. 또한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에서는 "남천죽자의 흰 것을 옥산호(玉珊瑚)라 한다."라고 적고 있다.
중국이 원산인 늘푸른 떨기나무가 이제 남천은 우리나라 중남부 지방의 공원이나 길가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가 되었다. 집안마당 화단에도 관상용으로 많이 심겨지고 있다. 햇가지가 붉은빛으로 올라오는 모습도 아름답고 열매가 노랗게 또는 빨갛게 열려 있는 모습도 대단히 아름답다.
원산지가 대만인 <뿔남천(Mahonia japonica)>이 있는데, 꽃은 3월에 노란꽃이 피고 6월에 타원형 흑자색의 열매를 맺는다. 잎의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가시가 드문드문 있는 것이 독특하다. 사철푸른나무지만 기후변화로 날씨가 따뜻해져서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도 잘 자라고 있다.
첫댓글 감사드립니다!!!
감사드립니다>>>>>>
감솨합니다.
감사드려요^&^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