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지역아동센터협의회(이사장 박경양)가 올 7월부터 전면 확대되는 서울시의 결식아동전자카드 시행을 앞두고 이는 결식아동의 낙인감을 유발하는 것이라며 시행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서울시는 지난 4월부터 광진구, 성동구, 은평구 3개구에 결식아동전자카드를 시범사용했으며, 올 7월 사용지역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지역아동센터협의회는 “전자카드 발급으로 아동들은 종이쿠폰이 주는 낙인감 보다 더 큰 낙인감을 받게 되며,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이들이 센터에 대해 ‘엄마의 품속같이 따스한 곳’이 아니라 ‘식당과 같이 돈을 지불하고 이용하는 영리단체’로 인식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카드단말기보급비용, 건당이용수수료로 인해 오히려 급식의 질을 저하시킨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시범사업에 참여했던 한 지역아동센터는 “아동 1명 당 100원꼴의 수수료가 발생해 실제 수수료를 제하고 나면 카드발급이전 보다 급식의 질을 저하시킬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박영양 이사장은 “8살 아이들에게조차 카드를 발급해 소비의 주체로 인식하게 하는 이와 같은 방식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어둡게 하는 길”이라며 결식아동전자카드사용에 대한 중단을 촉구했다.
이향란 한국아동정책연구소장은 “이같은 방식은 결식아동들에게 낙인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며, 결식아동에 대한 급식지원은 단지 배고픔을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방임아동에 대한 인권보호 및 생활지도를 포함한 교육적 측면에서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