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공통수학)도형의 방정식에서 원에 관련한 문제 중에 나오는 말이예요. x축 또는 y축과 '만나는 것' 과 '접하는 것' 의 차이가 있나요? 어떤 문제집에 보면 '만나는 것'은 접하는 것과 축을 넘어서는 것까지 가능한 것으로 풀이되어 있기에..
: '만나는 것'과 '접하는 것'에 말의 차이를 두는지 궁금해요.
말하자면 접하는 경우가 만나는 경우에 포함된다고 말할수 있습니다.
만난다는 것은 교점을 가지는 것을 말하져.
접한다는 것은 어떤 것인지 아시져?
접하는 것은 만나는 경우 중에서 특이한 경우라고 할수 있습니다.
: Q. (수학 I) 무한등비수열의 범위 나누기에 관련한 질문이예요. 주로 {rⁿ}에서 공비 r의 범위를 네가지로 나누지요.
: ① IrI<1
: ② r=1
: ③ r>1
: ④ r≤-1
: 이렇게 범위를 나누는 것은 충분히 이해가 가는데, 가끔
: ① IrI<1
: ② r=1
: ③ r= -1
: ④ IrI>1
: 이렇게 나누던데..이때 이 수열은 rⁿ을 '포함한' 식의 극한을 구할 때라고 하던데요. 두번째로 나누는 방법에 대한 이해는 되는데, 굳이 이렇게 나누어야 하는지..실제로 문제를 풀면 두번째로 나누어야 정확한 답을 얻을 수 있는 경우도 있기에 그냥 지나칠 수가 없네요.
글쎄... 이건 명확한 답이 될지 모르겠지만...
문제에 따라서는 공비 r이 양수인지 음수인지가 중요한 경우가 있고
공비 r이 1보다 크냐 작으냐가 중요한 경우도 있는거 같아요(예를 못들어 드려서 지송)
그렇기 때문에 위와 같이 두가지가 생기는데... 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