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캐나다, 기능성 신발 인솔 시장 현황 | ||||||||||||||||||||||||||||||||||||||||||||||||||||||||||||||||||||||||||||||||||||||||||||||||||||||||||||||||||||||||||||||||||||||||||||||||||||||||||||||||||||||||||||||||
---|---|---|---|---|---|---|---|---|---|---|---|---|---|---|---|---|---|---|---|---|---|---|---|---|---|---|---|---|---|---|---|---|---|---|---|---|---|---|---|---|---|---|---|---|---|---|---|---|---|---|---|---|---|---|---|---|---|---|---|---|---|---|---|---|---|---|---|---|---|---|---|---|---|---|---|---|---|---|---|---|---|---|---|---|---|---|---|---|---|---|---|---|---|---|---|---|---|---|---|---|---|---|---|---|---|---|---|---|---|---|---|---|---|---|---|---|---|---|---|---|---|---|---|---|---|---|---|---|---|---|---|---|---|---|---|---|---|---|---|---|---|---|---|---|---|---|---|---|---|---|---|---|---|---|---|---|---|---|---|---|---|---|---|---|---|---|---|---|---|---|---|---|---|---|---|---|---|
게시일 | 2015-01-22 | 국가 | 캐나다 | 작성자 | 오진영(밴쿠버무역관) | ||||||||||||||||||||||||||||||||||||||||||||||||||||||||||||||||||||||||||||||||||||||||||||||||||||||||||||||||||||||||||||||||||||||||||||||||||||||||||||||||||||||||||||
품목 | 기타 | ||||||||||||||||||||||||||||||||||||||||||||||||||||||||||||||||||||||||||||||||||||||||||||||||||||||||||||||||||||||||||||||||||||||||||||||||||||||||||||||||||||||||||||||||
품목코드 | 640690 | ||||||||||||||||||||||||||||||||||||||||||||||||||||||||||||||||||||||||||||||||||||||||||||||||||||||||||||||||||||||||||||||||||||||||||||||||||||||||||||||||||||||||||||||||
--> -->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시장규모 - 2013년 기준, 캐나다의 기능성 신발 인솔(HS Code 6406.90기준) 수입 시장규모는 약 4000만 달러임.
□ 시장전망
○ 수요증대 예상요인 - 캐나다 스포츠 용품시장은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며 특히 스포츠 신발 관련 제품은 연 5%의 높은 성장율을 보임. - 북미 지역 내 노령층 인구 증가 및 소득수준의 향상과 함께 기능성 깔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임.
○ 수요감소 예상요인 - 2013년 기준 캐나다의 신발 판매 수는 약 2억 켤레로 최근 몇년간 캐나다 내 신발 판매는 감소함. - Ecco, Rockfort, SAS, Birkenstock, SoftMoc 브랜드 등 깔창이 불필요한 편안한 신발(comfort shoes)의 판매가 높은 편임.
○ 무역관 전망 - 현지 수입업체는 한국산 신발 인솔에 대해 품질이 우수하며 고가의 산업용 및 특수 기능성 신발 제품에 적합하다고 언급, 한국산과 중국산은 현재 일반특혜관세(GPT)를 적용 받아 4%의 관세가 부과되나 한-캐 FTA 발효 시 무관세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인솔의 경우 일반신발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지난 몇 년간 교정용 신발인솔(Orthotic insoles) 시장이 늘어나는 추세임. - 캐나다인은 통증완화, 자세교정 보조 등 다양한 이유로 기능성 인솔/깔창을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한편, 캐나다내 노령층 인구 증가로 신소재를 사용한 신발 인솔 등의 수요는 향후 지속 증가할 전망임.
○ 일반 신발 인솔은 주로 신발 구매가 많은 8월(개학기간)과 12월(쇼핑시즌)기간에 가장 많이 판매된다고 함.
○ 캐나다에서 판매되는 인솔은 종류에 따라 크게 여성 하이힐용, 어린이용, 아이스 하키용, 의료·치료용, 작업화(워크부츠)용, 스포츠용(런닝용)으로 나뉨.
□ 수입동향
○ 개관 - 캐나다 신발 인솔을 포함하는 HS Code 640690군의 수입 실적은 2013년도 기준 약 4천만 달러로 중국산이 전체 수입시장의 약 56%, 미국산이 12%를 점유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 한국산은 2013년 기준 약 2백만 달러로 전년대비 4.49% 증가함.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캐나다 신발 인솔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640690기준) (단위: US$백만, %)
자료원: WTA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관세율 - 6406.90.90기준 현재 4%의 관세가 부과됨.
□ 주요 유통채널
○ 신발 인솔은 주로 아래의 경로를 통해 캐나다내 유통됨. - 제조사→수입∙유통업체→스포츠 전문점/신발매장/하드웨어 전문점/생활용품 전문 체인
○ 캐나다 스포츠 신발관련 제품은 스포츠용품 전문매장(40%)과 일반 신발매장(30%)을 통한 판매가 보편적임. - 스포츠 용품 전문 시장 외에도 대형 생활 잡화 체인점, 하드웨어 전문 용품점 및 안전관련 용품 판매점에서 판매되고 있음.
○ 스포츠 용품 전문 취급점에서 직접 수입을 하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주로 해당제품 전문 수입업체 또는 유통업체로부터 소량을 구매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많음. - 판매수량이 많지 않아 소량주문을 선호하는 까닭에 직수입이 쉽지 않다는 의견임.
3. 경쟁동향
□ 경쟁 제품
자료원: 현지 바이어 인터뷰
□ 한국 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 90년대까지 한국산 인솔은 품질과 가격 면에서 월등히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최근 몇 년 간 중국산과의 가격경쟁에서 밀림. - 현지 다수의 아웃도어 용품 관련 바이어가 한국산을 취급한 경험이 있다고 언급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전문 전시회 정보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 현지 바이어는 주로 중국, 한국, 베트남 업체들 및 유럽 업체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함. - 특히 일부 신상품 혹은 높은 정교한 기술이 요구되는 제품의 경우에는 한국에서 제조된 제품이 인정받고 있다 함.
○ 일부 업체는 자체 브랜드를 제작, 해외 제조사를 통해 OEM생산을 하는 업체도 있음.
○ 최근 일반인솔 외에 교정기능이 있는 기능성인솔의 보급이 더욱 확산되고 있으며 기능성인솔의 경우 물리치료실, 발 전문 클리닉이나 교정기기 업체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마케팅 방안 및 타깃 고객층
○ 기능성 제품의 경우 바이어는 샘플을 통해 품질을 직접 확인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함. 바이어에게 제품을 최대한 노출시키면서 제품의 기능과 장점을 홍보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임.
○ 또한 마케팅을 위해 북미에서 개최되는 관련 전시회나 박람회 등에 참가하여 소비자 및 바이어들이 제품을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함.
○ 인솔의 경우 일반신발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캐나다의 경우 현재 교정기기 시장이 확장되는 추세이므로 교정용품을 주로 판매하는 취급점 등 틈새시장을 노려 시장진출을 하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음.
○ 중고가의 한국산은 품질이 우선시되는 작업화, 스포츠 신발 등을 타겟으로 해야 할 것이라는 바이어 의견이 있었음. - 한편 일부 바이어는 한국산 제품은 동양인 발 형태에 맞게 작은 사이즈로 제작된 경우가 많다고 지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