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 - 입관 - 장례식 - 발인 - 영결식 - 화장(매장)의 장례절차
사람이 죽으면 그냥 묻어버리고 그냥 끝나는 것이 아니다.
고인에 대하여 최고의 예우로 장례를 치루게 되는데
그 절차는 인종에 따라 지역에 따라 종교에 따라 다르다.
현재 한국의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유교의 예에 따라
장례식을 치루고 있으나 여기에서는불교식 장례절차를 설명한다.
장례의식절차를 다른말로 상례절차 혹은 상례작법이라고도 하여
불교의 장례의식절차를 다비식(茶毘式)이라고 한다.
사람의 목숨이 끊어져 몸뚱이는 죽었으나
영혼은 살아 아직 몸뚱이를 떠나지않고 있기때문에
갑자기 몸뚱이를 건들이면 영혼(불가에서는 이 영혼을 하나의 인격체로 여겨 영가라고 함)이
놀랠 수 있으므로 시신을 관에 넣거나 손톱을 깍이는등 시신을 어떻게 하기전에
미리 영혼에게 어떻게 한다고 스님이 염불로 하나하나 알려준다.
(스님을 청하지않고 장례식을 치루는 경우에는 보통 장의사가
영혼에게 알려주는 절차없이 그냥 목욕시키고 손톱을 깍는다)
유언 - 임종 - 사망 - 염습 - 입관 - 장례식 - 발인 - 운구 - 영결식 - 화장(매장)
- 49재(탈상)의 장례절차
1. 유언(遺言) - 장례절차1
환자의 생명이 얼마가지못할것 같거나 위독한 상태라고 생각되면 주위를 조용히 하게하고
환자가 마지막 말을 할 수 있도록 환자의 몸을 편안히 해주고 마지막으로 남길 말을 듣는다.
만약 재산분배등의 유언에 대한 유언장이 없을 경우에는 환자가 하는 마지막의 말을
녹음을 하거나 제삼자가 다른사람이 보는 앞에서 대리로 유언의 내용을 글로써 적어
기록하도록 한다.
(상세한 설명보기 - 바로가기 - 장례절차1 )
2. 임종(臨終) - 장례절차2
살아있는 사람이 마지막 숨이 넘어가는 것을 임종이라 하고 다른말로 목숨이 다했다는
뜻으로 운명(殞命)이라고도 한다.
환자의 생명이 다하여 임종이 다가왔음을 알았으면 누구나 가는길이고
누구나 겪는일이므로 환자를 비롯하여 모두 침착히 임종을 맞이해야 한다.
생명이 다한 환자는 죽음을 두려워하지않고 편안한 마음으로 갈 수 있도록
위로의 말을 전해주고 가족은 순순히 죽음을 받아들이고 모든 친지에게 알리고
장례를 치룰 마음의 준비를 해야 한다.
또 환자에게는 새 옷을 갈아 입힌다.
(평상시 입었던 흰색이나 옅은 색의 가벼운 옷도 가능하며 속옷까지 전부 갈아 입힘)
(상세한 설명보기 - 바로가기 - 장례절차2 )
3. 사망(死亡) - 장례절차3
목숨이 끊어져 사망이 확인되면 고인의 명복을 빌어주고
환자의 시신을 반듯이 누인다음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흰천으로 덮어서
병원영안실이나 장례식장에 안치한다.
(상세한 설명보기 - 바로가기 - 장례절차3 )
4. 염습(殮袭) - 장례절차4
염습은 시신을 단장하는 일로써 보통 장의사측에서 수의로 갈아입히고 시신의 몸을 깨끗이 닦아내고
시신의 임. 코. 귀에 솜으로 막고 손톱과 발톱을 깍고 시신의 발과 손을 주물러 반듯하게 펴서 두 팔을
배위에 올려놓는등 시신의 단장을 위하여 여러가지 절차를 거친다.
이런일은 여자시신(女者屍身)에 대하여는 여장의사(女葬儀社)가하고 남자시신(男者屍身)은
남장의사(男葬儀社)가 한다.
(상세한 설명보기 - 바로가기 - 장례절차4 )
5.입관(入冠) - 장례절차5
고인의 시신이 맞는지 얼굴을 보고 가족이 확인한 다음 상주가 보는앞에서
시신을 관에 넣는 과정을 입관이라하고 절차에 의하여 입관의식(입관식)을 거행한다.
(보통 장의사측에서 이 일을 전담함)
(상세한 설명보기 - 바로가기 - 장례절차5 )
6. 장례식(葬禮式) - 장례절차6
장례식이란 사망에서 화장(매장)까지의 상(喪)을 치루는 전과정을 일컷는 말이며
장례기간은 보통 3일장으로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5일장 또는 7일장으로 할 수 있다.
이 기간중에는 아침 저녁으로 고인의 영전앞에 상식(음식)을 올리고 상주는 곡을 한다.
그리고 문상온 손님을 정성껏 맞이하고 음식을 접대한다.
(상세한 설명보기 - 바로가기 - 장례절차6 )
7. 발인(發靷) - 발인제(發靷祭) - 발인식(發靷式) - 장례절차7
발인이란 고인의 살아생전의 집이나 거처를 떠나면서 하직(下直)을 한다는 뜻으로
발인식(발인제)을 지내고 영안실이나 장례식장을 떠나 영구차에 시신이 실려
화장이나 매장 할 장소로 떠나는 절차이다.
(상세한 설명보기 - 바로가기 - 장례절차7 )
8. 운구(運柩) - 장례절차8
운구란 망자의 시신을 넣은 관을 상여나 운구차(영구차)에 실어 화장장이나 매장지로 옮긴다는 뜻이며
가는 도중에 생전에 살았던 집앞에 들러 길거리에서 노제(路祭)를 지내는 경우도 있다.
(상세한 설명보기 - 바로가기 - 장례절차8 )
9. 영결식(永訣式) - 장례절차9
영결식이란 산자(生者)와 망자(亡者)가 영원히 이별한다는 뜻으로
화장하는 경우에는 화장장에 도착하여 시신을 넣은 관을 화장수레에 싣기전에
화장장에서 마련한 방한칸 정도의 영결식장에서 하고
매장하는 경우에는 산소에 도착하여 시신을 넣은 관을 땅에 묻기전에 새로만들 무덤 앞에서
영결식을 한다.
(상세한 설명보기 - 바로가기 - 장례절차9 )
10. 화장(火葬) 또는 매장(埋葬) - 장례절차10
미리 세워놓은 계획에 의하여 시신을 불에 태우는 화장을 하거나
공원묘지등에 땅에 묻는 매장의 절차를 한다.
화장을 하는 경우에는 유골(遺骨)을 납골당에 안치하거나 산이나 물에 뿌리고
매장하는 경우에는 시신을 묻은 후 평토제(平土祭)를 지낸다.
(특히 여러사람이 억울하게 한꺼번에 죽은 경우에 고인의 넑을 위로하기 위하여
위령제를 지내는 경우도 있음)
(상세한 설명보기 - 바로가기 - 장례절차10 )
11. 49재(탈상) - 장례절차11
불교에서는 돌아가신분이 좋은곳으로 가도록 49일간 7번의 재를 올려드리고
49일되는 마지막날에 상복을 벗고 탈상제문을 읽은 후 탈상을 한다.
일반가정에서 유교에 의한 장례를 치루는 경우에는 1년 또는 3년후에 기일날 탈상을 한다.
(100일후 탈상하는 경우도 있음)
그러나 요즈음에는 상복을 보통 장의사측에서 장례기간동안 대여상복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런경우에는 화장이나 매장 당일날 아무런 의식절차없이 탈상하는 경우가 허다하여
탈상에 대한 의미가 많이 사라졌다.
그리고 화장이나 매장 후 3일째가 되는 날 삼우제를 지내는 경우가 있다.
(특히 매장을 한 경우에는 무덤이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하는 차원에서
묘지에서 삼우제를 지내는 것이 좋음)
(상세한 설명보기 - 바로가기 - 장례절차11)
출처 : [무진스님의 극락왕생] 블러그
http://blog.daum.net/mujins/567
첫댓글 나무아미타불 _()_
_()_
나무아미타불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