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사전 음·한자
通
통할 통
부수辶(책받침) 획수10획
중학용읽기 6급쓰기 5급
1
통하다(通--)
2
내왕하다(來往--)
3
알리다
자세히 보기
精
정할 정,찧을 정
부수米(쌀미) 획수14획
중학용읽기 4급II쓰기 3급II
1
정하다(精--: 정성을 들여서 거칠지 아니하고 매우 곱다)
2
깨끗하다
3
정성스럽다(精誠---)
명사
1.
=통심정(通心情)(서로 마음을 주고받음).
병직 군은 사실 이 세상에 그 알몸뚱이 하나밖에 없는 고아요 가까운 친구라고도 통정을 하고 지내는 사람은 나 하나밖에 없다고 할 만한 처지였다.
출처 <<주요섭, 미완성>>
2.
=통사정(通事情)(2. 남에게 자기의 의사를 표현함).
기탁은 내게 인탁에게도 통정은 말라고 일렀다.
출처 <<김구, 백범일지>>
3.
남녀가 정을 통함.
남의 여편네와 통정을 하면 새해에 일이 잘 풀리고….
출처 <<유재용, 성역>>
4.
세상 일반의 사정이나 인정.
번연히 내일모레면 다 알게 될 값이라도, 되도록 그런 기색을 숨기려고 드는 것이 통정이었다.
출처 <<채만식, 논 이야기>
)【권지 1장 11절】
‘이 길이 남조선 뱃길이라. 짐을 많이 실어야 떠나리라’고 말씀하시고 다시 길을 재촉하여 30리(三十里) 되는 곳에 이르러 ‘대진(大陣)은 일행 삼십리(三十里)라’ 하시고 고부 송월리(松月里) 최씨(崔氏)의 재실에 거주하는 박공우(朴公又)의 집에 유숙하셨도다. 공우와 경석에게 가라사대 ‘이제 만날 사람 만났으니 통정신(通精神)이 나오노라.’
ᆞᆞᆞᆞᆞᆞᆞ ᆞᆞᆞᆞᆞᆞᆞ
공우와 경석이 만났는데 통정신이 나온다 하신다.
사전 적 의미의 통정은 남녀 의 관계에서나 사용 할수 있는 단어 이다.
첫댓글 ''알면 쉽고 모르면 어렵다''고 하셨죠^^
이렇게 쉽고 단순한 진리를 왜 깨치지 못하는지? 욕심에 눈멀고 귀 멀면 알수 없죠.
웬만하면 댓글을 안달려고 하는데 안 달 수가 없군요.
공우와 경석은 친구지간인데 무슨 통정신을 말합니까?지금 공우와 경석이 만났습니까?...
원평에서 상제님께서 남조선 뱃길을 말하셨고 대진일행삼십리 되는 곳에서 만난 겁니다
元平이 가지고 있는 의미 자체가 원위의 완성을 뜻하는 것이고 그래서 경오신미까지 엽전을 사용하게
된 것인데... 다음 날 떠나시면서 상제께서 만났을 적에 하니 공우가 바로 알아 듣고 따라 나서게 되는
겁니다.이게 통정신 아니고 뭐겠습니까?교운편에도 공우에게 만날 사람 만났으니라는 가사를 아느냐고
묻는 대목이 나오고요....
교화집에서 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주해가 나와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부정하고 이치에도 맞지 않는
주장을 계속 하니....위에 댓글을 그대로 옮겨와도 되겠네요.다시 잘 생각해 보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