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주요 국제공항들의 활주로 동체 착률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방지할 수 있는 짧은 공항은 국제공항이름 폐기하세요.-국민신문고 답변-
개인적 질문내용.....
대한민국 주요 국제공항들의 활주로 동체 착률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방지할 수 있는 짧은 공항은 국제공항이름 폐기하세요.
공항명 활주로 길이 (m) 활주로 수 비고
인천국제공항 3,750 ~ 4,000 4개
김포국제공항 3,200 ~ 3,600 2개
제주국제공항 3,180 1개 (보조 활주로 1개)
김해국제공항 3,200 2개
대구국제공항 2,755 1개
청주국제공항 2,744 1개
무안국제공항 2,800 1개
결론: 4000~5000까지 되지 않으면 국제공항 폐지 부탁드립니다.
참조자료
동체 착륙이란?
먼저 동체 착륙이 무엇인지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동체 착륙은 항공기의 랜딩 기어(바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기체 하부(동체)로 활주로에 착륙하는 비상 착륙 방식입니다. 이 경우, 동체와 활주로의 마찰 때문에 제동 거리가 일반적인 착륙보다 훨씬 길어질 수 있습니다.
안전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동체 착륙 시 필요한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공기 종류 및 크기: 대형 항공기일수록 무게와 속도가 더 크기 때문에 더 긴 활주로가 필요합니다.
착륙 속도: 동체 착륙 시에도 가능한 한 낮은 속도로 착륙해야 하지만, 상황에 따라 속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착륙 속도가 높을수록 더 긴 거리가 필요합니다.
활주로 상태: 활주로의 길이, 폭, 표면 상태, 경사, 마찰 계수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활주로가 젖어 있거나 눈이 덮여 있을 경우 마찰력이 감소하여 제동 거리가 훨씬 길어집니다. 바람: 바람의 방향과 세기도 착륙 거리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뒷바람이 불 경우 착륙 거리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조종사의 숙련도: 조종사의 숙련도에 따라 착륙 기술과 제동 능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대략적인 안전 거리
위와 같은 여러 요인들을 고려했을 때, 대형 민간 항공기가 비상 동체 착륙 시 필요한 활주로 길이는 최소 3,000미터 이상, 경우에 따라 4,000미터 이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인 착륙에 필요한 활주로 길이보다 훨씬 긴 거리입니다.
예를 들어, 보잉 747이나 에어버스 A380과 같은 대형 항공기는 정상적인 착륙 시에도 2,500~3,000미터 이상의 활주로가 필요합니다. 동체 착륙 시에는 마찰로 인한 제동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에 훨씬 더 긴 거리가 필요한 것입니다.
실제 사례
실제로 발생했던 동체 착륙 사례들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경우 공항의 활주로 길이가 충분했기 때문에 큰 문제 없이 착륙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활주로 길이가 짧거나 기상 조건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활주로를 벗어나는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결론
정리하자면, 대형 민간 항공기의 비상 동체 착륙 시 필요한 안전 거리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최소 3,000미터 이상, 경우에 따라 4,000미터 이상의 활주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제공항의 활주로는 이러한 비상 상황을 고려하여 충분한 길이로 건설됩니다.
처리기관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 공항정책관 공항건설팀)처리기관
접수번호2AA-2412-0994987
접수일시2024-12-30 15:55:55
담당자(연락처)신동희 (044-201-4144)
처리예정일2025-01-17 23:59:59
1. 평소 국토교통행정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드리며, 귀하께서 국민신문고를 통해 신청하신 민원(신청번호 1AA-2412-0953496)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2. 귀하의 민원 내용은 '항공사고 발생시 위험을 낮추는 방안'과 관련한 질의 사항으로 판단됩니다.
ㅇ 모든 활주로는 개방식으로 전방에 완충장치 즉, 갯벌이나 물로 만든 호가 있어서 비상 착륙시 충분한 완충으로 기체나 승객애게 최소한의 경미한 부상이나 사망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시행되어야 합니다. 차후 개선책을 국토부나 행안부에서 논의하여 반드시 개선해주십시요!!
3. 질의 및 답변
가. 최근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관련하여 우리부에서는 운영중인 공항을 대상으로 특별안전점검을 시행하고 있으며 항공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강화 방안을 마련중에 있습니다. 민원인께서 제안하신 의견은 전문가 회의 또는 연구 추진시 논의 대상에 포함하여 검토할 계획임을 알려드립니다.
4. 답변 내용에 추가문의 사항이 있을 경우 공항건설팀(☏044-201-4144)로 연락주시면 친절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