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과 신미대사의 한글 창제 비밀 이야기 -
[전남인터넷신문=문정민]‘한글은 절에서 태어났다’라는 규명적 주제로 세종과 신미대사의 훈민정음 창제 비밀 이야기를 밝힌 정찬주 작가의 장편소설 《천강에 비친 달》(작가정신)이 한글날을 앞두고 때맞춰 출간됐다.
지금까지 한글은 세종이 집현전 학사들과 함께 창제했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로 사실화 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집현전 학사들이 한글 창제에 주도적으로 기여했다는 기록은 『세종실록』어디에도 없다.
이 소설은 천 개의 강에 달빛이 비치듯 부처의 가르침이 온 백성에게 드리우길 바랐던 세종과 신미 대사가 이룬 한글 창제의 진실을 다루고 있다.
한글 창제에 얽힌 사실과 진실 사이에는 과연 어떤 괴리가 있을까?
이 소설에 따르면 집현전이 사실은 한글 창제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으며, 훈민정음 해례 서문을 쓴 대제학 정인지조차 “그 깊은 연원과 정밀한 뜻이 묘연하여 신(臣)등은 능력을 발휘한 것이 아니다.” 고 고백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글 창제는 세종 혼자의 힘으로 이룬 것일까? 훈민정음이 반포되기 8년 전에 이미 훈민정음 언해본 『원각선종석보』가 발간된 것은 무슨 의미일까? 세종은 왜 문종에게 ‘우국이세(祐國利世:
나라를 도와 세상을 이롭게 함) 혜각존자(慧覺尊者)’란 존호를 신미 대사에게 내리도록 유언했을까?
정찬주 작가는 이 모든 의문들이 “신미 대사의 훈민정음 창제라는 공을 빼버리면 설명이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작가는 이 소설을 통해 범어(산 스크리트어)를 통달한 신미 대사가 세종을 도와 훈민정음을 탄생시켰음을 보여준다.
『대장경』을 무지렁이 백성들 모두가 읽을 수 있도록 우리 글자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것이 바로 세종과 신미가 꿈꾸던 조선의 글자, 훈민정음이었다.
소설은 수수께끼로 가득 찬 한글 창제의 진실을 야사가 아닌 정사, 즉 『조선왕조실록』을 바탕으로 낱낱이 풀어나간다. 이는 단순히 역사적 사실에 문학적 상상력을 가미한 픽션의 재미를 넘어, 역사적 진실에 새롭게 눈뜨게 하는 놀라운 지적 감동을 선사해준다.
작가는 한글 창제를 유불 갈등 및 왕권과 신권이 대립한 결과물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본다. 강단의 학자들이 앞으로 종교적 ․ 정치적 관점에서 더 연구해야 할 과제라는 것.
세종과 신미가 배불숭유의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도 의기투합해 한글을 창제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모든 백성이 인간다운 권리를 누릴 수 있는 세상을 이룩하고자 한 뜻이 통했던 까닭이었다. 태조 이성계 곁에 무학 대사가 있었다면, 세종 곁에는 신미 대사가 있었다.
작가는 “조선왕조의 건국이념은 숭유억불(崇儒抑佛)이었다. 따라서 세종은 유학을 숭상해 한자가 아닌 다른 글자는 ‘언문’이라고 천시하던 사회적 분위기 속에 훈민정음을 드러내놓고 만들 수 없었다”고 말했다.
유신들의 극렬한 반대에 부딪칠 것이 뻔했기 때문이다. 작가는 “하지만 세종은 훗날 문종이 되는 세자, 수양대군, 안평대군, 정의공주 등의 도움을 받아 끝끝내 훈민정음 스물 여덟자를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글자를 모르는 백성들을 가엾이 여겼던 두 사람은 우리 글자를 만들어, 천 개의 강에 비치는 달빛과 같이 만백성의 고통을 어루만져 낫게 해주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만큼 백성들이 행복한 삶을 살아가길 바랐던 것이다.
작가는 “우리가 날마다 쓰는 한글 속에 세종대왕은 물론 많은 이들의 노고가 깃들어져 있다. 한글처럼 과학적인 문자를 쓰는 나라도 드물다. 한글에 대해 자부심을 가질만하다”면서 “신미대사가 한글창제를 도왔다는 것이 정설은 아닌데 이 소설을 계기로 학계에 연구의 불을 지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조정래 소설가는 “『천강에 비친 달』은 소설적 허구가 아닌 역사적 진실의 올곧은 복원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정찬주 작가가 “소설의 존재 이유를 새롭게 확대시키는 동시에 지적 감동에 취하는 큰일을 해냈다.”고 평하고 있다.
한승원 소설가는 “한글이 불교 사상의 한 유산이라는 해석은 우리 삶의 미래에 찬란한 이정표를 제시해준다.”며 “한글이 한문 문화에 억눌려 있던 우매한 민초들의 삶을 해방시키고 자유와 문명의 찬란한 꽃을 피우게 한 위대한 자산”이라고 규정했다.
정찬주 작가는 “18년 전 속리산 복천암에서 월성 스님으로부터 한글 창제의 공이 많은 신미 대사 이야기를 처음 듣고 반드시 진실을 밝히겠다고 결심했다”며 “이제야 그 약속을 지키게 돼, 복천암 신미 대사 부도 앞에 이 소설을 바친다 ”고 집필 배경을 털어놨다.
전남 화순군 이양면 쌍봉사 옆 이불재(耳佛齋)에서 불교적 사유가 배어있는 소설과 산문을 꾸준히 발표해 온 정찬주 작가는 『소설 무소유』『산은 산 물은 물』『다산의 사랑』등 주옥같은 작품들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1996년 행원문학상, 2010년 동국문학상, 2011년 화쟁문화대상을 수상했다.
첫댓글 나무아미타불()()()
비기 실쿠로 사진은 무어님까요..?
_()_
나무아미타불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