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6.20이후 적용 자세한사항은 공지확인하시라예
출처: 여성시대 중요한건능력
나 여시 힘차게 등장!

안녕! 여어시들!
내가 과제로 4대강 사업을 조사하게 되면서 이명박 정부가 얼마나 박근혜 정부에 뒤지지 않고
무능했는가에 대해 다시한번 느끼게 됐어
그래서 다시한번 얼마나 리더가 중요한지..^^
그 리더의 폭주를 막을 참모와 관료들은 중요성을..^^
느끼는 뜻 깊은 시간이였어
그래서 여시들과 함께 그 시간을 나누기 위해
이렇게 나타났읍니다.
그럼 시작!

2016년 박근혜가 아무 것도 안해서 문제를 만든다면, 2008년 이명박은 뭘 해서 문제를 만듬.
뭐 여러 문제가 있었지만 아무래도 메인인 4대강 사업을 빼놓을 수 없음
2012년 완공된 이후 4년이 지난 지금..
이제는 공공연히 실패한 사업으로 불리고 있지
사실 시작하기 전부터 그 실패가 너무 뻔히 예견 되어있었지만…
일단 왜 이명박은 4대강사업을 추진했을까

그는 서울시장 시절 청계천을 만들었고 그게 히트를 쳤어 (재앙의 서막)
물론 이 청계천도 자연적으로 흐르는 한강의 물을 가져다 쓰는게 아니라 펌프질 해서 되돌려쓰는 거라 돈도 욘나 깨지고 말 많았지만
적어도!
시민들이 나름 도시 속에 자연을 느끼고 관광명소로 자리 잡으면서 서울 도심의 랜드마크를 건설했다는,
암튼 언론에도 소개 많이되고 좋은 평 많이 받았음 (이때 망해서 싹을 잘랐어야 했는데…)

이때 탄력받은 이명박은 본인이 당선되자 한반도 대운하 건설이라는 이름부터 장엄한 프로젝트를 기획함
근데 이때 미국산 쇠고기 때문에 이명박 지지율 후두둑 떨어지고 있었음


나름 민심 수습을 위해 한반도 대운하 계획은 철회하겠다고함
끝인줄 알았지?

그 해 여름에 갔던 대운하 건설이 죽지도 않고 겨울에 4대강 살리기로 돌아옴
여당이 과반수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야당이였던 민주당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사업예산은 날치기 통과되었고
예산안에 대한 야당의원들의 이의를 묵살하며 일방적으로 가결을 선포
예산안이 통과된 이상 되돌릴 수 없는 강을 건넌거지

거친 여야간의 유혈사태와...

그걸 지켜보는 국민..그건 전쟁같은 4대강..
당시 여론은 ‘5 대 3’ 비율로 사업 반대에 기울어 있었어.
그럼 일반적인 상식으로 사업을 재검토한다던가, 국민의 여론에 귀 기울인다든가 설득을 한다든가 뭔가 액션이 있어야하잖아?

이명박은 그런 상식 밖의 인물이였음…
여론이 뭐라든 가이딩 못받은 센티넬마냥 폭주하기에 이름
여론 꺼져!!!!
언론 꺼져!!!!
난 ㅅㅂ 4대강의 길만을 간다!!
그리고 그 4대강의 결과…

녹조라떼...

물고기 떼죽음..

그 둘의 환장 콜라보..
사실 지금까지도 국민의 혈세 22조원이 들어간 최대의 국책사업은
실질적인 국민들에게는 어떠한 이로움을 주었는가에 대한 질문에 뚜렷히 답하기 어려움
(아시는 분은 알려주세요)
22조원이라니깐 실감이 안나는데
이 22조원이면 그렇게~ 예산없다고 안해주던 무상급식 하고도 남음.
암튼 이 어마어마한 예산 맞추려 국가부채는 늘어나고, 복지예산은 줄어듬
줄어든 복지예산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결손아동급식비, 영유아예방접종등 국민복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도와 더불어 고용유지지원예산, 취약계층일자리지원예산등 실질적 일자리 지원예산들이 대폭(약 60%) 삭감됨.
딱 22조원만 들어갔음 말을 안해 매년 따박따박 유지비는 또 겁나 듬
2015년 기준 4대강 사업 관련 예산

이렇게 늘어난 국가 빚과 줄어든 복지의 종착역은 어디?
바로 나, 여러분, 그리고 우리..찬성한 적도 없는 4대강 뒷수습을 우리가 합니다…
어떤 환경학자는 차라리 22조 건설사에 그냥 줘서 환경이라도 그대로 보존되는게 나았을거라고 말함
실제로 녹조 창궐하는 강….

이 녹조를 썩어가는 물을 또 소독하려고 과다한 소독약을 사용하고,
그럼 이 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부산과 대구시민등 약 1,500만명의 국민 건강까지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함
심지어 소독하는데 돈 드는거, 유지하고 보수하는데 돈 드는거 다 따지면
4대강 사업때 만든 16개의 보를 그냥 없애는 값이 훨~~씬 합리적이라고 함
결론:
내 세금...

아주 간단하게 설명하느라 빠진 22조원 국책사업의 이권다툼, 그 속의 비리, 언론통제와 민주주의 훼손등
4대강 사업은 실직적 관점을 벗어나서 그 명분적으로도 실패한 사업이라고 생각해
언제나 과거에 대한 만약이라는 가정은 힘이 없지만,
그래도 만약,
야당의원들이 이 밑빠진 독에 물 붓는 사업을 막을 수 있는 힘이 있었더라면..
이라는 아쉬움은 남는게 사실이야
끝으로 이 글에서 다루지 않은 4대강의 이로운 영향력에 대해서 알고 있다면, 알려줘!
나 또한 레포트가 너무 한쪽으로만 편향되서 괴로워하고 있어...
술술 읽혔으면 좋겠다ㅠ!
문제시 수정!
@2016년모든것이이뤄졌다 헐 대박 ㅠㅠ
@2016년모든것이이뤄졌다 대박
엄청 잘읽혀!!!!! 짜증나 죽겄어.. 맹뿌어디서 모하냐 ㅡㅡ
죽은 물고기들 다 이명박집 마당에 갖다묻었으면 좋겠다
내 무식과 무관심을 혼내주고 싶다ㅠ 엄마가 작년 봄? 보령인가 어디 단수되었는데 사대강 사업으로 단수극복했다고 하는데 반박할 말이 없어서 고구마 먹은 기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