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할아버지, 할머니께,
올해는 참 많은 일이 있었어요! 제 연구가 큰 진전을 이뤄서 새로운 방향으로 흘러가게 됐고, 덕분에 담당교수님도 아주 기뻐하세요. 아마 앞으로 몇 년 안에 제 연구 결과를 발표할 수 있을지도 몰라요. 오타와에서 열린 학회에도 다녀왔는데, 제 분야에 대한 새 지식도 많이 배웠고, 세계적인 연구자들이 여전히 과학에 대해 얼마나 뜨거운 열정을 가진지도 느낄 수 있었어요. 저랑 악수 했던 노벨상 수상자 필립 샤프 씨가 “내가 당신 나이라면 얼마나 좋을까요, 지금 이 분야엔 새롭고 흥미로운 것들이 너무 많아요!”라며 힘주어 말하던 모습이 참 인상 깊었어요. 그리고 올해 8개월 동안 준비한 풀 마라톤도 완주했어요! 기록도 꽤 괜찮아서 뿌듯해요. 다시는 이렇게 먼 거리를 뛸 것 같진 않지만, 즐겁고 보람 있는 경험이었어요.
그리고 요즘 끝에 대해 너무 걱정하지 않으셨으면 해요. 시간이 빨리 흐르고, 건강이 조금씩 변하는 건 피할 수 없지만, 마음과 몸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잖아요. 계속 '끝이 다가온다'고 생각하면 정말 그렇게 반사될지도 몰라요. 할아버지 할머니가 저희 곁에 오래 계셔 주시길 바라는 마음이 조금 이기적일 수 있다는 것도 알아요. 아마도 저희한텐 아직 죽음에대한 두려움이 둘러싸여있다고 느끼기 때문이겠죠 – 할아버지, 할머니 나이에는 다르게 느껴지실 거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이 주제에 대해 굳이 위로가 필요하진 않으실 것 같아요. 다만 제가 바라는 건 두 분께서 앞으로도 인생을 최대한 풍성하게 누리시는 거예요. 어릴 때 두 분이 늙지 않게 해 줄 약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던 게 아직도 기억나요. 어린아이의 순진한 낙관이었지만, 그때의 마음이 여전히 두 분께 닿았으면 좋겠어요.
빅토르 위고의 작품과 추천해 주신 다른 것들도 찾아볼게요. 읽고 싶은 책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 것 같아요. 저도 책을 많이 읽는 편이지만, 할아버지 할머니가 지금까지 읽고 들으신 것에 비할 수는 없을 거예요. 그래서 이렇게 지식과 이야기를 나눠 주시는 게 정말 감사하고, 존경스럽기도 해요. 내년에는 꼭 한국에 제대로 가서 뵐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볼게요!
William Falkner (윌리엄 포크너)
As I Lay Dying (내가 죽어 누워 있을 때)
“젊었을 때는 죽음이 신체의 현상이라고 믿었어요. 이제는 그것이 단지 마음의 기능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죠 – 그리고 그건 슬픔을 겪는 사람들의 마음 속에 있는 기능일 뿐이라는 것도요. 허무주의자들은 그것이 끝이라고 말하고, 근본주의자들은 시작이라고 말해요. 하지만 실제로 죽음은 마치 세입자나 가족이 한 집이나 마을에서 이사 나가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에요.”
Hermann Hesse (헤르만 헤세)
Demian (데미안)
첫댓글 李東燁군 28세, 카나다 토론토대학 자연과학 연구소 연구원, -태여나서 부터 9세까지 한집에서 살았음 초2떄 카나다로 이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