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봉의 조망은 사방이 막힘없이 시원스럽다.
남동쪽으로 지리산 주능선이 보이고 지나온 고남산과 백두대간길이 조망된다.
서쪽으로 동화호와 팔공산(1,149 m) ,북쪽으로는 가야 할 봉화산,월경산,백운산,장안산이 조망된다.






12:15 봉화산(烽火山,919m)
한국의 산하 인기명산 172위
(봄에는 51위로 껑충 뛰어 오른다)



봄철 붉게 피는 철쭉군락이 이름난 곳으로
매년 4월 하순에서 5월 중순 사이에 철쭉제가 열린다.
또한 가을철에는 넓게 드리워진 억새평원이 장관을 이룬다.







12:47 무명봉(945봉) 연비지맥 분기점에 올라섰다.
연비지맥(鳶飛枝脈)은 백두대간 봉화산(△919.8m) 북쪽 1km 지점.
전라북도 남원시와 장수군 그리고 경상남도 함양군의 꼭짓점이 되는 945봉에서
남동방향으로 전북과 경남도계를 따라 분기하여 옥잠봉(690m), 연비산(842.8m), 오봉산(879m), 투구봉(1,020m),
삼봉산(1,186.7m), 오도봉(1,035m), 화장산(586.4m)을 일으킨 뒤 임천(臨川)이 남강에 합류하는
함양군 유림면 장항리에서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약 38.2km의 산줄기다.
산줄기를 중심으로 좌측은 경북 함양군 우측은 전북 남원시 로 구분된다.

임천지맥(연비지맥)능선 우측 남원시 아영면 일대 풍경
벌써 논에는 곡식이 익어가 노란빛이 돈다.
올해 가뭄이 심했다던대 풍년이 들었으면 좋겠다.

지나온 대간길
봉화산,고남산이 보인다.



능선 바위지대에서 ~~


장안산과 영취산.백운산 방향

대간 산행 중 불가피하게 탈출을 하게 된다면
좌측 1번 버스정류장(중고기재),2번 버스정류장(중치)에서 하산해야 한다.
944봉을 지나면서 부터 대간길은 점차 고도를 낮추게 되어 광대치에 이르게 된다

광대치에서 다시 오름길을 재촉하면 '약초 시범단지' 에 이르게 된다.
백두대간길은 약초 재배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한 철책을 따라 이어간다.

14:30 월경산 갈림길(고도 981m)

15:10 중치(배발 650 m)

16:05 중고기재



17:42 이정목에 '수고하셨습니다'라고 쓰여있다. 정상까지 0.1 km
하산길은 중봉,끝봉을 거쳐 4.2 km을 내려가면 신촌마을(신촌정류장)이다.

17:45 백운산(1,278 m)
백운산 (白雲山, 1,278 m) 인기명산 211위(겨울에는 185위)
백운이라는 이름을 가진 산이 많다.
그 중에서"흰구름 산"이라는 이름값을 제대로 하는 산이 바로 함양의 백운이다.
높이도 1,000m가 훨씬 넘는 준봉인데다 산정에서의 조망도 으뜸이다.


진행방향 북쪽으로 어머니 품처럼 넉넉한 덕유산 희미하게 보인다.

우측으로 눈을 돌리면 백운산 정상에서 빼빼재로 이어지는 능선길이 보이고
그 뒤로는 월봉산, 거망산,황석산으로 이어지는 마루금이 희미하다.

다시 우측은 백운산 중봉 ,끝봉을 거쳐 4.3 km를 내려가면 신촌마을(신촌정류장)이다.
날씨만 좋다면 중봉,끝봉 뒤로 지리산 주능선을 볼수 있는데 오늘은 아니다.

그리고 지나온 백두대간을 조망된다.
월경산(981 m) , 봉화산(919 m), 속금산(907 m)

백운산 부터 영취산까지는 지리한 숲길이다.


석양으로 붉게 물들기 시작하는 장안산
곧 어두어 질텐데 영취산까지는
1시간을 더 가야하기에 마음이 급하다.

18:15 영취산과 이어지는 백두대간길

우측으로 눈을 돌리니
남덕유산으로 이어지는 마루금이 희미하게나마 보인다.

19:05 영취산(1,075 m)
영취산은 금남호남정맥이 갈라지는 분기점이며
전국에 영취산이라는 이름을 가진 산이 많은데
그 중에서도 백두대간 상에 위치한 장수군과 함양군 경계에 있는 영취산이 최고 높은 봉우리다.


19:25 무룡고개 벽계쉼터
영취산에서 급비탈길을 20분을 내려와
날머리 무룡고개 벽계쉼터 주차장에서 9구간 산행을 끝맺었다

후미까지 닭갈비와 라면을 챙겨 주신 회원님들 !
정말 맛있게 먹었습니다.
이 자리를 빌어서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첫댓글 수고하셨습니다 남산애님 영상과 글귀가 머리속에 쏙쏙들러오네요
다소 긴 대간 상행길이여셔 결국 후미로 들어오게 되었네요
즐거운 산행길이였습니다.
후기 감사히 즐감했습니다
하늘이 넘 이쁘네요~
수고 하셨습니다
노을 지는 장안산의 하늘이 너무 이쁘더라구요
시간만 넉넉하다면 좀더 하늘을 감상하고 싶었는데
시간이 없어 지나칠 수 밖에 없었던것이 아쉬웠네요
대간산해을 하시는 분들의 산행실력이 너무 높아
따라가기가 너무 힘드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