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필리핀 투자청(BOI), 산업별 주요 발전방향을 담은 로드맵 발표: ③ 가구 제조 산업 | |||||||||||||||||||||||||||||||||||||||||||||||||||||||||||
---|---|---|---|---|---|---|---|---|---|---|---|---|---|---|---|---|---|---|---|---|---|---|---|---|---|---|---|---|---|---|---|---|---|---|---|---|---|---|---|---|---|---|---|---|---|---|---|---|---|---|---|---|---|---|---|---|---|---|---|---|
작성일 | 2014-03-24 | 국가 | 필리핀 | 작성자 | 허진원(마닐라무역관) | |||||||||||||||||||||||||||||||||||||||||||||||||||||||
--> -->
필리핀 투자청(BOI), 산업별 주요 발전방향을 담은 로드맵 발표: ③ 가구 제조 산업 - 가구 산업 현황 · 규모 · 장/단점 등 -
□ 정부는 투자유치기관인 투자청(BOI)에 국가경쟁력 강화와 산업별 발전을 위해 약 20개 분야의 중장기 발전방향을 담은 로드맵 구축을 지시함. 현재 biodiesel, cement, ceramic tiles, chemicals, furniture, IT-BPM, mass housing, paper, petrochemicals, plastic, rubber 등 11개 분야의 로드맵이 작성되어 공개되었으며 나머지 분야도 연내 발표되어 시행에 들어갈 예정임. KOTRA 마닐라 무역관은 해당 내용을 정리하여 시리즈 형태로 제공함.
□ 개요
○ 필리핀 정부는 자국의 풍부한 가구 원자재와 노동 경쟁력을 토대로 가구 제조 산업을 주요 육성산업으로 선정하여 국내외 투자 유치 및 가구 산업 발전 로드맵을 발표함.
○ 로드맵 주요 내용 - 가구 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디자인 및 마케팅 교육을 지원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친환경 원자재 사용을 적극 권장할 계획임. - 가구 산업 종사자 간의 긴밀한 협조 체제를 구축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생산하고 현대식 가구 제조 설비(장비) 보급을 위한 정부 예산 지원을 제도화함.
□ 산업 현황
○ 필리핀 가구 시장은 가구협회(CFIP/ www.cfip.ph)와 세부지역 가구협회(CFIF/ www.furniturecebu.com)를 중심으로 운영됨. - 상기 가구 협회들은 정부의 소규모 재정 지원을 받고 있음.
○ 필리핀 가구협회에 따르면 현지 업체들은 대량생산 능력이 부족하여 중소규모 형태의 주문생산 및 소매판매 위주의 영업을 하고 있으며 수출 비중은 미미하다고 함. - 현지에서 생산되는 가구 대부분이 등나무, 버드나무, 대나무를 원자재로 사용하고 있고 직조술, 세공술 및 라미네이팅(동물뼈, 나무껍질, 가죽 등을 장식) 기술을 이용해 외관 장식을 하나 기술력, 실용성, 완성도 등이 부족해 대부분의 제품들이 중저가로 판매됨.
○ 이에 정부는 아세안 경제공동체(AEC) 출범에 앞서 필리핀 가구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민간부문과 협력 및 발전방향을 담은 로드맵을 발표함. -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우수한 제품 생산력을 갖춘 가구 제조 단지를 조성하고 전략상품을 개발하여국내시장은 물론 해외로도 수출할 계획임. - 호텔 및 숙박시설, 사무실, 학교, 전시회 등 특정 산업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전문 가구를 타깃으로 선정 및 판매함.
○ 또한 최근 필리핀의 소득수준 증가와 부동산 시장 호황으로 가구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상류층이 거주하는 마카티, 올티가스, 보니파시오, 알라방 지역을 중심으로 고급 가구의 수요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음.
□ 산업 규모 및 장단점
○ 필리핀 가구 시장은 인구 대비 가구 생산 및 수출 규모가 인근 국가인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에 비해 낮은 편임.
자료원: 투자청(BOI), 2012년 기준
○ 2013년 1~9월 기준 필리핀 통계청(NSO) 자료에 따르면 필리핀에서 수입한 가구(HS 9403)는 2012년 대비 35.66%가 증가한 8,200만 5,000달러를 기록하였고 국가별로는 중국이 전체 수입 중 53.77%(4,400만 4,000달러)를 차지했으며 그 뒤로는 말레이시아(14.61%, 1,200만 달러), 한국(4.56%, 300만 7,000달러), 일본(4.48%, 300만 6,000달러) 순임.
가구(HS 9403) 수입동향 (단위: %, 백만 달러)
자료원: 필리핀 통계청(NSO)
○ 외국기업이 비즈니스 수행 시 참고해야 할 장단점 - 장점: 부동산 경기 호황과 관광산업 발달로 호텔, 리조트의 건설이 활발해 가구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공장 설립 시 투자 인센티브 혜택을 받을 수 있음. - 단점: 페소화 불안정, 정부의 부족한 정부 지원 제도, 제한적인 원자재 공급망, 높은 내륙 운송비 등이 단점으로 꼽히고 있음. * 필리핀 기업 중 산림인증(FSC, Forest Stewardship Council) 및 가공/유통 관리인증(CoC, Chain of Custody)을 취득한 기업은 4개 기업으로 베트남(177개 기업), 중국(500개 기업)에 비해 굉장히 적은 숫자임.
□ 시사점
○ 필리핀의 중소규모 가구 제조업체 판매 방식은 수작업을 이용한 소량 주문생산 방식에 의존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어려워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있음. - 한국 기업들이 필리핀 가구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선 제품품질 및 가격경쟁력 확보와 함께 신뢰할 수 있는 현지파트너 발굴이 중요함.
○ 최근 필리핀의 부동산 경기 호황으로 구매력 있는 중상류층을 중심으로 고급 가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이들을 타깃으로 한 상품차별화 및 개발 진출 전략이 필요함.
자료원: 투자청(BOI), 마닐라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