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HD방송의 화질을 제일 좋게 보려면 어떻게 보면 좋을까?
이 간단한 물음에 여러분은 어떻게 대답을 하실런지요?
정답은 안테나등을 이용해 지상파 HD방송을 직접 수신하는것이 현재로선
제일 좋은 화질로 보는 방법이 될것입니다.
그럼 지상파 HD방송을 직접 수신할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두가지 방법이 있을수 있을 것입니다.
1)안테나를 달아서 시청한다(적극 권장)
안테나를 달아서 보는 방법이라면, 옥상(실외용)이나, 배란다, 아니면,
HDTV 옆(실내용)에 안테나를 달거나 놓고, HDTV로 직접 안테나 선을
연결하면 될것입니다.
물론 아파트나, 연립(다세대 주택) 같은 경우는 안테나 하나를 옥상에
설치해서, 안테나 선을 분배해서 보는, 공청망 시설을 이용해 시청하는
방법도 있을 것입니다.
2)유선(CATV)의 지상파 재 전송(원 신호)으로 수신 한다.
안테나를 이용한 시청이 안되는 난시청지역의 경우는, 할수 없이 유선
(CATV)에 가입해서 지상파 HD방송을 시청을 할수 있을 것입니다.
유선(CATV)업체들은 현재 지상파 방송의 신호를 아나로그+디지털 신호를
신호 왜곡 없이 보내주고 있고, 또다른 신호는 지상파 방송 신호를 유선
업체 자체 포멧(H.264)에 맞게 신호를 변형 가공하여, SD급+HD급으로
지상파 방송을 재전송 하고 있습니다.
다만, 여기서 아쉬운 것은 유선(CATV)업체들이 가공한 자체 신호는,
지상파 원 신호 HD방송 화질보다 화질이 떨어지고, 단순 방송만 시청 할수
있습니다. 그래서 유선(CATV)을 통해 지상파 방송을 보더라도 반드시, 원
신호 그대로 보내주는 신호로 지상파 HD방송을 시청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유선(CATV)에서 나온 안테나 선을 HDTV에 연결하면, HDTV에 내장된
세탑(수신기)으로, 지상파 HD방송을 수신하게 됩니다. 그러면, 채널이
6-1(SBS)/7-1(KBS2)/9-1(KBS1)10-1(EBS)/11-1(MBC)번으로 나오면
정상적인 지상파 HD방송이 수신이 되는 것입니다.
이상과 같이 두가지 방법으로 지상파 HD방송을 수신하면, 제일 좋은 화질로
지상파 HD방송을 시청 하실수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과 같은 현실에서, 안테나를 통한 직접 수신은, 난시청 지역이
많아, 전국민의 75%가 유선(CATV)을 통해 지상파 HD방송을 보고 계십니다.
문제는 2013년 아나로그 방송 중단과 함께, 유선(CATV)업체들이 현재 재전송
하고 있는, 지상파 원 신호 재전송을 중단 한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는
것입니다.
지상파 HD방송 원 신호 재전송을 중단하면, 유선(CATV)업체에서 제공하는
전용 세탑(수신기)으로 지상파 HD방소을 시청해야 하는데, 화질이 떨어지고,
지상파 방송사에서 보내주는 데이터방송/EPG(방송안내)등의 정보를 이용할
수 없고, 더 큰 문제는 지상파 방송을 보기 위해서는 유선(CATV) 세탑을 켜고
HDTV를 켜서 TV의 외부입력을 HDMI등으로 바꾸어 준후 시청을 해야 하기
때문에, 지싱파 TV시청이 복잡하고, 불편해 진다는 것입니다.
결국 HDTV에 내장된 세탑(수신기)은 무용지물이 되어, HDTV는 유선(CATV)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모니터로 전락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정부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HDTV에는 지상파 세톱(수신기)를
의무 내장 하도록 되어 있는데, 바로 이 HDTV에 내장된 세톱(수신기)의 기능이
유명 무실해 질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된다면, 지상파 세톱의 내장은 HDTV의
가격 상승의 요인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지상파 HD방송은 안테나로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자, 그럼 지상파 HD방송 시청에 따른 회원님들의 궁금증 몇가지를 카페
게시판에 올라온 질문의 글을 참조로 문답 형식으로 풀어 보겠습니다.
질문1>HDTV용 안테나는 따로 있는지요?
답변1>아닙니다. 지상파 HD방송용 안테나는 기존 아나로그때 사용하던,
안테나를 그대로 사용 하셔도 됩니다. 우리나라의 지상파 HD방송
전파는 기존 UHF신호 대역에 전파를 실어 보내기 때문에, 기존
UHF안테로 충분히 수신이 되며, 수신이 잘 되는 곳은 HDTV뒷면에
철사만 꼽아 놓아도 지상파 HD방송이 수신이 됩니다.
하지만, 수신이 안되는 지역은 아무리 좋은 안테나를 설치해도 수신이
안되기 때문에 안테나를 탓하진 마시기 바랍니다.
또한 전파라는 특징은 지형 지물에 약해서, 같은 동네라 해도 아파트
1층은 지상파 HD방송을 수신하지 못해도, 10층 이상부터는 수신이
가능한 지역이 많습니다. 즉, 전파는 주변의 지형 지물에 따라 그 특성을
많이 타기 때문에, 수신 여우는 직접 해봐야 정확히 알수 있습니다.
질문2>우리집이 지상파 HD방송 전파가 수신이 될수 있는지 미리 알수는
없는지요?
답변2>있기는 합니다만, 100%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먼저 지상파 DMB방송이 집에서 수신이 된다면, 지상파 HD방송이
수신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다음으론, 집에 가지고 계신 아나로그TV로 UHF채널(13번~69번)로
KBS/MBS/SBS/EBS 같은 지상파 방송이 잘 나온다면, 지상파 HD
방송 수신 가능성이 높습니다.
질문3>지상파 HD방송 신호가 좋게(강하게) 잡히면, HD방송 화질이 더
좋게 나오는지요?
답변3>아닙니다. 지상파 HD방송은 디지털 신호이기 때문에, HD방송이
이상 없이 수신만 된다면, 화질은 전파의 신호 세기에 관계없이동일
합니다. 다만, 전파의 신호 세기가 너무 약하면, 방송 화면이나
음성이 끊기는 등의 문제는 있을수 있습니다.
질문4>유선(CATV)으로 재전송해서 받아 보는 화질과 안테나로 보는 화질이
같은지요?
답변4>위에서 이야기 했듯이 유선(CATV)으로 지상파 HD방송 원 신호를
그대로 HDTV에 내장된 세톱(수신기)으로 시청을 한다면(6-1/7-1/
9-1...), 안테나로 직접 수신해서 보는 화질과 동일합니다.
유선에서 보내주는 원 신호 재전송은 안테나로 받은 신호를 유선에서
그대로 유선에 실어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화질은 동일 한 것입니다.
질문5>최근 지상파 HD방송의 화질이 많이 안 좋아 졌다고 합니다. 왜 그런지요?
답변5>다음과 같은 3가지 원인으로 화질이 안 좋아 졌을 가능성이 큽니다.
①전송 비트레이트를 낮추어서 그렇습니다.
HD방송의 화질중 제일 중요한 부분은 압축 전송 비트레이트 입니다.
그런데 지상파 방송사들은 HD방송 압축 전송 비트레이트 규격인
19Mbps를 잘 지키지 않고, 최근들어서는 MMS(다채널)방송을 대비해서
인지는 모르겠으나, 전송 비트레이트를 16Mbps전후대로 낮추어 방송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화질이 많이 떨어지는 느낌입니다.
②방송용 HD카메라로 촬영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방송용 HD카메라는 대당 1억원을 호가 합니다. 그렇지만, 방송사들은
비싼 방송용 카메라가 아닌, 업무용 HDV카메라(대당 500만원 내외)로
촬영을 합니다. 그래서 화질 저하 이야기가 나오는 주범입니다.
③조명이 어두워서 화질이 떨어져 보입니다.
HD화질에 있어서 조명은 선명함을 표현해주는 아주 중요한 요소 입니다.
그런데, 촬영중 조명 설치는 시간적, 금전적 부담으로, 촬영시 줄이거나
소홀히하는 경우가 많아, HD화질의 선명함과 질감이 떨어져 깨끗함이
덜하게 됩니다.
또한 편집하는 과정에서 일부 화질 열화도 생길수 있는데, 이러한 복합
적인 부분이 잘못되어, 화질 열하가 생기는 것입니다.
첫댓글 결론은 난시청 지역이 문제군요
2013년 되면...수도권에 디지털무인중계소(DTVR)가 늘어날거고, 각 기초자치단체별로 있는 KBS, MBC의 아날로그 TVR도 DTVR로 전환할 예정이어서 난시청은 많이 해소될 겁니다...문제는 귀찮아서 케이블에 가입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는거죠...
실외안테나의 경우는 꼭 지구안테나를 구매하지 않아도 되지만...되도록이면 최소한 동양안테나 정도는 써줘야 합니다... 화성안테나의 경우 디지털방송 수신에 문제가 많다고 하더군요...
질문 5에 대한 답변에서 전송비트 레이트 문제는 아닙니다. 대역안에 나올수 있는 최대 대역폭이 8메가 인데 그때의 bit rate이 19M가 이고 그안에는 여러 방송이 들어가 있습니다. 데이터 소스의 문제이지 그것을 보내는 전송률의 차이는 화질과 상관없습니다.
글쎄요. 처음 듣는 경우라... MMS(다채널)방송을 하지 않는 상황에서 지금의 지상파 HD방송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전송비트레이트 화질과 관계가 있습니다. 디지털 방송은 모두 압축 전송을 합니다. 19Mbps안에는 오디오와 데이터방송/EPG등의 정보까지 포함한 전송량 입니다. 이때 비디오/오디오의 경우는 MPEG-2방식으로 압축 저장을 합니다. 데이터방송/EPG등의 정보는 거의 용량을 차지 하지 않기 때문에, 90%이상은 비디오/오디오의 데이터 량입니다. 그중 오디오는 MP3와 같은 용량이기 때문에, 전체 비중에서는 5.1Ch이 아닌 이상 80%이상은 비디오 용량이 차지 합니다. 그래서 비트레이트의 전송 용량은 화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최대 대역폭은 6Mhz 이고, 그때의 Bit rate 가 19.39Mbps 입니다. CBR(Constant Bit Rate) 로 쏘면 19.39Mbps 인데, 쥔장님 말씀대로 MMS를 위한 전초전인가 VBR(Variable Bit Rate) 로 쏘는것 같습니다. VBR로 전송하면 움직임이 적은 부분에서는 17~14Mbps 로 전송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김강수"님까서 아주 정확한 수치까지 확실히 알려 주셨네요.
잘 정리해 주셨네요. 운영자님의 정성을 봐서라도 많이들 안테나로 지상파 HD방송 보기 캠패인에 참여를 하였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