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간나 새끼.
이 욕은 주로 함경도 지방에서 쓰이던 욕으로 정확한 뜻은 종년의 새끼를 말한다.
그러니까 상대방의 어머니를 종년으로, 상대방을 그 종년에게서 태어난 새끼로
비하시켜 부르는 것이다.
"간나"는 여자를 일컫는 "가시나" 또는 "가시내"에서 비롯된 말이다.
"간나"의 어원인 "가시"는 15세기 이전까지 꽃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다가
그 후로는 아내를 뜻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이에 대한 보충 자료로는 신라시대의 화랑을 들 수 있겠다.
화랑을 옛날에는 "가시나"라고 불렀다. 이렇게 부르게 된 것은 화랑이 초기에는
처녀로 조직이 된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그 후 화랑은 처녀 차림을 한 총각으로 代替(대체)되고
처녀는 "가시나"로 부르게 되었다.
이 "가시나"의 吏讀式(이두식) 표현이 바로 花郞(화랑)이다.
그래서 花郞(화랑)의 명칭도 초기에는 花娘(화랑)으로 불리다가
총각으로 대체되면서 娘(랑)이 郞(랑)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 郞(랑)은 이두식 표현으로 무리(徒)를 나타내는
"네"의 옛 형태인 "나"를 소리옮김 한 것이다.
또한 "가시"는 꽃을 뜻 옮김 한 이두식 표현이다.
그러므로 "가시나"를 直譯(직역)하자면 "꽃들"이 되는 셈이다.
아직도 지방의 사투리나 俗語(속어)들 속에는 이 "가시"라는 말이 살아있어
이상의 說(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보자면 이렇다.
* 각시 : 갓 시집 온 여자. * 가시버시 : 부부의 낮춤말. *
가시어미 : 장모. * 가시아비 : 장인. * 가시집 : 각시의 집, 곧 처갓집.
이상의 설명과는 별도로 우스개 소리로 구전되어 오는
"가시내"에 대한 다른 어원이 하나 있어 소개한다.
옛날, 갓 쓰고 도포입던 시절에 남장을 한 처녀 하나가 길을 가고 있었는데
뒤 따라 가던 선비가 길을 물어보려고 불러 세우자니, 뒷모습이 체구도 작고
아담하며 걸음걸이도 남자 같지는 않은데 갓 쓰고 도포를 입었더라.
뭐라 부를 길이 막연하던 선비가 급한 김에 부른다는 소리가
"어이, 앞에 갓 쓴애!" 했단다. 이렇게 불러 세워놓고 길을 물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문제의 "갓 쓴 애"는 남자가 아닌 여자였단다.
그 이후로 여자를 가리켜 "갓쓴 애"라고 부르게 된 것이 오늘날의
"가시내"로 변화되어 왔다고 한다. 물론 이 이야기는 우스개 소리지만 화랑,
즉 "가시나"가 변화되어 온 역사적 사실이 배후에 깔려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지 여장을 한 남자가 남장을 한 여자로 둔갑(?)을 했을 뿐이다.
"종간나 새끼"에서 "간나"의 어원은 좋은 것에서 비롯되었지만
오늘날의 뜻은 욕으로 통용이 되고 있으니 함부로 써서는 안 될 것 같다.
어떤 여자고 간에 "가시내"라고 부르면 좋아 하겠는가? 하기야 지나간
유행가 가운데는 "범띠 가시내"라는 곡도 있기는 했지만 말이다.
그래도 욕 가운데 가장 애교스런 욕이 이 "가시내"인것 같다.
문장 하나하나를 일례를 들어 보갔읍네다
복남아 너희 어머니 어디가셨니 ?
복남아 네 오마니 어드메 갔네?
야 이녀석아 빨리 학교에 가라니까
야 간나 세끼야 날레 학교에 가라우
나는 이북에서 피란을 왔습니다
내레 리북에서 피난을 왔시다
버스 정거장에 서 있는데 옆집 여자 아이가 빨리 뛰어 가더군
버스 덩거당에 서 있는데 옆집 에미나이가 날레 뛰어 가더군
어머니 이이스크림 하나 사 주세요
오마니 얼음보승이 하나 사 주시라우요
여보게 지금 뭐라고 했나?
이보라우 지금 뭬라고 했소?
그 밖에 북한에서 쓰는 말
골키퍼-문지기
경찰-안전원
화장실-위생실
체소-남세
괜찬습니다-일 없습니다
휘파람
생활에 쓰이는 단어들
너무많으니 다볼려말고 대강건너 뛰시구레
가는채(뭉근체)
가루(갈구,갈기)
가르쳐주다(알쾌주다)
간장(지렁)
갈비(갈배)
감기(순감,윤감)
감자(갱기)
강아지(강생이)
개으름뱅이(누진뱅이)
개피떡(씀바람떡)
거짓말(거집뿌리,도삽,부끼,얼레뿌리)
거품(버큼)
건방지다(염방지다)
걸핏하면(자삣하문)
검부레기(거부제기)
겁쟁이(겁재이 겹제기)
겨드랑이(겨댕이,자개미,자대,재개미)
겨우(재우)
계십니까?(기심둥? 계심까? 있씀다?)
계약체결(합동체결)
고드름(고조리,고주럼,고즈래미)
고등어(고마이,고마에,고망어)
고양이(고애,고앵이)
곰보(얼구뱅이,얼그뱅이)
곱슬머리(고수락머리,양머리)
공것(공째,공게)
광대뼈(볼뼈)
괜찮습니다(일없수구마)
괭이(곽지)
교환하는것(바꿈질,바꾸각질)
구두쇠(구데손이)
구멍(궁개,궁기,구먹)
구하기 어렵다,귀하다(긴장하다)
국수(국시)
굳은살(썩살)
굴뚝(구새통)
귀먹어리(구먹댕이,먹보)
귀찮다(영사하다,영상스럽다)
그러므로(그러니깐드루)
그림자(그럼지)
기웃거리다(찌웃거리다)
기저귀 (기상기)
깍쟁이(깍재,따꼽쟁이)
깔보다(알보다)
꼬락서니(줏사리,꼬락사이)
꼬리(꼬래,꽁대)
꼬치꼬치(오지오지)
꿩(산닭) 꽈배기(타래떡)
나 스스로(나절로)
나물(남새)
나비(나붕이)
남(냄)
남방셔츠(적삼, 퉁중이,잠배이)
남자(스나이)
남편(나그네)
내버려두다(내싸두다)
내장,속(벨,베리,배애리)
냉이(나상구,나숭개,나시)
너무,지니치게(진해)
넙적다리(신다리)
노란자위(노란자시,노랑젖)
노루(놀가지,놀기,놀갱이)
노을(나부리,나불,나오리,노부리,느블)
노하다(노바하다)
녹두나물(녹디질금)
뇌물(콧밑씻게)
누구세요(뉘기야,니기가)
누이(누부,누비,누애,누의,느비)
눈까풀(눈까줄,눈깝지)
눈보라(눈바라)
느슨하다(허슨하다)
늙은남자(아바이,노털)
늙은여자(아매)
다구치다(족치다,족대기다)
다듬다(검줄하다)
다시하다(되비하다)
단추(눈마구)
달무리(달머리)
닭(달기)
닭알(게랄,달기알)
담요(탄재,탄자)
대담하다(어버리크다)
대머리(번대머리,뻔들머리,)
대판싸움(대드리싸움)
더덕(더데기)
더부룩하다(듬뿌룩하다)
더위(더비,더우)
데굴데굴(두굴두굴)
도리어(데비)
도시락 그릇(밥곽)
도시락(곽밥)
독수리(닥수리,독소리,독술)
동그라미(동그랑이)
동생(애끼)
동침하다(동품하다)
돼지(뒈지,도티)
된장(떼장, <오누이장,썩장=종류에따라서>)
두루마기(두루메기,둘메기,제마기)
두부(드비)
들락날락하다(풍개치다)
들리다(듣기다)
들석거리다(들멍하다)
등골뼈(염주뼈)
등마루(등말기)
등허리(등떼기)
딩굴다(궁글다)
딱따구리(가막두거리,가막조가리,닥닥새,뚝뚝새) 딸꾹질(피께데기,패기,패끼딸각질)
때문에(까타나)
땔나무(부수께나무,땔낭기)
떠벌이(말단지)
떡거머리 총각(덜머리총각)
뚜껑(다께,덕개,두벙)
뚜껑(뚜배)
마른오징어(낙지)
마른오징어(낙지)
마사다(마이다)
마음(맘세,맴,마암)
막내(막뒤)
만두(벤세)
말더듬이(더듬뱅이,더투아리,말더터리,말먹이,말버버리) 말라갱이(마른광이)
말썽 부리다(마새피다)
말투(말튀)
망아지(매지,메아지)
매끄럽다(매까지다)
매우(되게,되쎄우,쎄게)
머리(대강이,골)
머리를쓰다(골돌리다)
머리를 옆으로 돌리세요(골으 옆파리로 돌리기시요)
먹을것(머거리)
멍청이(멍쳉이)
메기(메사구)
메주(메지)
메추리(모치래기)
메케하다(웨하다)
멥쌀(닙쌀)
멱살(먹대기,멱투시,멕사리)
면구스럽다(민주스럽다)
모래(몰개)
목(모각지,모개지,모강지,목정이,목덜메,목대,)
못(모다구,모다귀)
몽둥이(몽딩이,몽치)
무(노배,무꾸) 묵직하다(무쭐하다) 문지르다(문질구다) 미닫이문(밀장지)
무시무시하다(왜왜하다)
무엇(무시기)
무엇합니까?(뭐시함둥?무스거함등? 무슥함까?)
무지근하다(무추룩하다)
무턱대고(덧대구)
물어징어(오중어)
미끈하다(매낀하다)
미워하다(미버하다)
미주알고주알(미주리고주리)
미지근하다(매시시하다)
민들레(둥글레,무슨들레,문들레)
민망스럽다(민주스럽다)
밀집모자(초모)
밑천(껑터리)
바둑(바독,바돌)
바람둥이(바람군)
반찬(질게,찬새,해미,햄,햄새)
발바닥(발바당)
방귀뀌다(똥뀌다)
배(배때기)
배꼽(배꾸녕,배꾸멍,배꾸비,배꿉,배뿍)
배추(배차,배채)
버르장머리(버르장물,버르재 ,버릇대기)
번창하다(번신하다)
베낭(질빵,짐뱅이,메끈)
복잡하다(시끄럽다)
봉숭아(봉새)
부끄러워하다(부끄러버하다)
부뚜막(부막,부수께)
부서지다(마사지다)
부엌(정지)
불티(불방울)
부추(염지)
불똥뛴다(불벼룩뛴다)
불끄세요(불죽이시오)
붉으락푸르랅(푸르락붉으락)
비누(비눌,비늘)
비탈밭(여부락밭,다락밭)
빈털터리(빈깍지)
빨래(서답)
빨래하다(서답질하다)
뿌리(뿌렁지,뿌럭지)
사기치다(얼리다)
사나이(스나이,선스나,스나)
사랑하다(곱아하다)
사위(싸웨)
사팔뜨기(힐뚝눈이,새뜨기)
산봉우리(뽕오라지)
삽(광쵸)
삿대질(상앗대질,시굿대질,사북대질,산대질)
상추(불구)
서운하다(서븐하다)
서케(세,써개)
설거지(거두매,서름질,식가시질,자시)
설사(배쏘개질)
성냥(비지께)
성질(소갈딱지,소갈지)
성함(명함)
세수대야(세시소래)
소경(눈먹재,세경)
소꼽장난(바꿈질)
속눈섭(눈꺼부지,살눈써피)
속옷(속입성)
손목(손목동아리)
솜 틀집(소캐마선집)
솜옷(소캐우티)
송곳니(앙니)
송사리(눈젱이,뾰돌치)
송아지(쇄지,새지)
송장(영장)
송편(조개떡)
수두룩하다(푸술하다)
수렁논(굴개논)
수레(술기)
수수(고량,밥수끼,밥쉬)
수준(수평)
술렁거리다(구성대다)
숨통(숨대)
숯(수껑)
쉽다(흥겁다)
시누이(스느비)
시동생(스애끼)
시범을 보이다.(뽄때,뽄새를 보이자)
시찰(고찰)
시찰(고찰)
식은땀(헛땀)
식충이(쉬티)
실눈뜨다(어섯눈뜨다)
싫증나다(애싹하다)
심다(숭구다)
심부름(시기막질)
쌀밥(이팝)
썩좋다(맵짜하다)
썰매(빙고,쪽발구)
쓰레기(짓거부레기쓰레미)
씨앗(씨가시)
아낙네(안까이,에미네)
아내(안까이=암개란 말에서 유래)
아니(앙이)아저씨(아재비)
아니꼽다(티껍다)
아주머니(아주마이)
아지랑이(아스랭이,아지래)
아직(상구,안직)
아침(아적)
안절부절하다(매쌈질하다)
알려주다(알귀아주다,알쾌주다)
알리다(알구다,알키다)
암내내다(상내내다)
암말(피매,피매말)
암소(암세)
암캐(앙캐)
암코양이(암쾌)
암퇘지(피게)
애꾸눈(눈싸퉁이,외통장이,외눈배기)
얌전하다(야굼하다)
양지쪽(남석쪽,낭짝)
어금니(검니,속니)
어느근방입니까(어디모템둥)
어디(어드매,어디매)
어떻게(어드렇케,어케)
어렵다(애나다,애빠지다,애떨어지다)
어른(자라이)
어린아이(어르나,간나)
어머니(오마니,어마이,오마이)
어설프다(어살궂다)
어이없다(엉이없다)
어째서(어드래서)
언덕(더거지,채뚝,)
얼떨떨하다(얼뜨르르하다)
엄벙덤벙(엄비덤비,엄베덤베)
업종,품목(항목)
엉덩이(엉더리)
엉망진창(진창만창)
엎치락뒤치락(업박잡박)
여관(려관,초대소)
여자아이(간나)
역사(력사)
역성들다(역세들다)
열매(여르매)
열쇠(열때)
염려하시마시오(시름노시라요)
염소(넘소,맴소,염쇠,염세)
염통(염티,념통)
엿듣다(여서듣다)
엿보다(여수다)
예쁘다(곱다)
오디(뽕여르매)
오붓하다(오토사하다)
오빠(오라바니,오라바이,오라브지)
오죽,여간(여사,오작)
옥수수(옥시기,강내)
옥신각신(올씬갈씬)
올가미(옥노)
올챙이(올채)
올케(오리미,오레미,올찌세미)
옷(닙성,우티)
옷(입성)
옷감(옷갬,우티감)
완전히(완우루)
외상(에상,외재,외통눈)
왼손잡이(온손재기,온재기)
요사이(요지간,이새,이어간)
욕설(욕새)
용돈(소비돈,용채)
우락부락(우리부리)
우선(위선)
우습다(우쁘다,우뿌다)
워낙(워낭,워느니)
원수(원쑤,웬쑤)
위쪽(우쪽)
위태,위험하다(삽하다)
의치(사기이)
이(니,니빨)
이모 또는 고모(아제)
이상하다(벨랏다,재별스럽다,페럽다)
이야기(니야기,내기)
이웃(니웃)
이튼날(이듬날)
일가집(지반집)
일곱(닐곱,닐구)
일깨우가(일쿠다)
일부러(제네니,우덩)
일찌감치(일쯔가니)
일흔(니른)
임금(님금)
임무(이무)
입(주두리,주둥아리)
입술(입녁)
잎담배(잎초)
자물쇠(쇠때)
작두(디디개)
잔소리(번다소리)
잔치(잔채)
잠투정(잠투재) 잠꾸러기(잠퉁이,잠페기,잠꾸데기,잠꿀게)
장가들다(서방가다)
장딴지(다리배)
장모(가시애미)
장인(가시애비)
장점(웃점)
재(불껌)
재봉틀(마선,자방침)
저녁(지악,저낙,나죄)
적당치않다(맞갖지않다,예전챙이다.) 바보(머저리,미쌔기,민퉁이,싸구쟁이)
전혀,도무지(막바이,미내,미두리,쇠퉁)
절뚝발이(절덩태)
절벽(청벽)
제비(지비)
조마조마하다(오시랍다,조파심)
조무래기(조물통이)
졸음(자부람)
좀처럼(조매,조무래)
종달새(종지리,예조리)
종아리(졸가리,종따리)
좋아합니까(반가라합네까)
주눅들다(중녹들다)
주름살(쭈그럭살)
주인(님재)
주전자(쥐전재)
죽도록...하다(썩어지게 하다)
지긋지긋하다(지기럽다)
간장(지렁)
감자(갱기)
강아지(강생이)
검부레기(거부제기)
고추가루(댕추가루)
괭이(곽지)
국수(국시)
김치가재미: 북쪽 지역의 김치를 넣어 두는 창고, 헛간
나물(남새)
냉이(나상구,나숭개,나시)
녹두나물(녹디질금)
닭(달기)
닭알(게랄,달기알)
돼지(뒈지,도티)
된장(떼장, <오누이장,썩장=종류에따라서>)
두루마기(두루메기,둘메기,제마기)
두부(드비)
땔나무(부수께나무,땔낭기)
막내(막뒤)
만두(벤세)
망아지(매지,메아지)
메주(메지)
멥쌀(닙쌀)
모래(몰개)
몽둥이(몽딩이,몽치)
무(노배,무꾸)
밀집모자(초모)
반찬(질게,찬새,해미,햄,햄새)
배추(배차,배채)
봉숭아(봉새)
부뚜막(부막,부수께)
부엌(정지)
부추(염지)
비탈밭(여부락밭,다락밭)
뿌리(뿌렁지,뿌럭지)
사위(싸웨)
산봉우리(뽕오라지)
삽(광쵸)
상추(불구)
속옷(속입성)
송아지(쇄지,새지)
송편(조개떡)
수렁논(굴개논)
수수(고량,밥수끼,밥쉬)
숯(수껑)
시누이(스느비)
시동생(스애끼)
쌀밥(이팝)
씨앗(씨가시)
아낙네(안까이,에미네)
아내(안까이=암개란 말에서 유래)
아저씨(아재비)
아주머니(아주마이)
아침(아적)
암말(피매,피매말)
암소(암세)
암캐(앙캐)
암코양이(암쾌)
암퇘지(피게)
양지쪽(남석쪽,낭짝)
어른(자라이)
어린아이(어르나,간나)
어머니(오마니,어마이,오마이)
여관(려관,초대소)
열매(여르매)
염소(넘소,맴소,염쇠,염세)
오빠(오라바니,오라바이,오라브지)
옥수수(옥시기,강내)
올가미(옥노)
올챙이(올채)
올케(오리미,오레미,올찌세미)
잎담배(잎초)
작두(디디개)
장모(가시애미)
장인(가시애비)
재(불껌)
재봉틀(마선,자방침)
저녁(지악,저낙,나죄)
종달새(종지리,예조리)
첫댓글...예조리랑게 먼지 이재사 알스끄마..울 에크나매 내 쬬꼬말때 나르 예조리라구 하등게...
북한 말이나 연변 말이나 비슷한것 같아요...감사합니다...
죄송합니다 ..공부하시게 해서요.. 감사합니다....
우리 연변말이구나 잘 보그 감다
그래요 북한말이나 연변말 비슷한것 같아요..같이 쓰는것이 많은것 같아요..
영 잼잇다 추남님 고맙습니다 감하고가요^^
그래요 북한말 재미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한 밤 되세요...
북한이고 북조선이고가 않이라 우리 조선민족이 살고 있는 조선반도의 함경도쪽에서 쓰는 말들이네요...
그렇습니다.. 함경도 쪽에서 쓰는말입니다..감사합니다...
사투리 읽느라니 자연히 저세상간 할머니와 함께 얘기 나누는것 같네요. 그래도 우리사투리가 마음 뜨끈하게 덥혀주네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수고하셨습니다. 이렇게 우리 사투리들을 발굴하느라 로심초사하셨습니다. 이후에도 그냥....
정감이 가는 말들입니다..감사합니다.. 늘 행복하세요..
잘봣슴네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