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선 제124권 / 묘지(墓誌)
유원 고려국 광정대부 도첨의 참리 상호군 춘헌선생 최양경공 묘지명
(有元高麗國匡靖大夫都僉議參理上護君春軒先生崔良敬公墓誌銘)
이제현(李齊賢)
춘헌(春軒) 최양경공(崔良敬公)의 휘는 문도(文度)이며 자는 희민(羲民)이다. 나이 54세로 지정(至正) 5년(충무왕 원년) 6월 계축일에 죽었다. 8월 임신일에 날을 받아 옥금산록(玉金山麓)에 장례를 치르고 선영(先塋)에 부장(祔葬)하니 예이다.
아들은 사검(思儉)이니 공보다 먼저 죽었고, 손자는 모두 어리다. 맏사위는 좌간의 대부 정포(鄭誧)이니 경사(京師)에서 돌아오지 않았고, 둘째 사위는 판도정랑(版圖正郞) 민선(閔璿)이니, 나부인(羅夫人)의 명으로 나에게 글을 빌어다가 장차 돌에 새겨 광중에 넣으려고 하였다.
내가 늙은지라 기록하고 적는 데에 게으르지만 스스로 생각건대 평생을 서로 가 되었으니, 의리상 사양할 수 없어 붓을 잡고 그 끝에 제목하기를, “춘헌 선생 묘명(春軒先生墓銘)이라.” 하였다. 어떤 이가 힐책하여 말하기를, “춘헌 선생은 장관(將官)에서부터 기용되었고, 또 그 나이가 자네보다 6년 아래인데 자내가 선생이라 하니 설명이 있어야 할 것이 아닌가.” 하였다.
내가 대답하기를, “춘헌은 광양군(光陽君) 휘 성지(誠之)의 아들이요, 찬성사 대제학(贊成事大提學)으로 치사한 휘 비일(毗一)은 그 조부이며, 호부상서 한림학사(戶部尙書翰林學士)로 치사한 휘 우(佑)는 그의 증조부이며, 찬성사 대사학(贊成事大司學)으로 치사한 김씨 휘 훤(晅)은 그의 외조부이니, 진실로 덕망이 있고 벼슬하는 자손이다.
그런데 광양군은 덕릉(德陵)에게 신임을 받아 기밀(機密)과 선거(選擧)를 전담한 지 20여 년에 명성과 세력이 대단하였다. 춘헌은 원나라 조정[中朝]에서 숙위(宿衛)하는데 몽고(蒙古)의 글과 말을 익혀 부귀한 집 사람들과 같이 처하였고, 무장한 장수들과 같이 놀았으니, 이만하면 부귀하고 교만할 만하거늘 격물치지와 몸을 닦고 남을 다스리는 도에 대해, 그 문을 찾아 들어가지 않음이 없었다.
그런데 나가면 활과 칼을 손에 잡고, 들어오면 눈을 책서에 붙여 주염계ㆍ정명도ㆍ정이천ㆍ주회암의 서적을 모두 모아서 보았다. 밤이 깊어서야 잠자고 닭이 울면 일어나며, 반드시 절목(節目)에 자세하고 깊이 연구하여 마음에 체득하고 몸소 행한 연후에 그쳤다.
온화하기는 봄볕과 같고 맑기는 가을 물결과 같아, 비록 종과 첩들이라도 일찍이 그가 갑자기 성내고 크게 기뻐하는 것을 한번도 보지 못하였다. 덕릉이 서번(西藩)으로 피하여 갈 적에 춘헌이 광양군을 모시고 조(洮)와 농(隴)으로 가서 문안하였는데, 왕복 만리 길에 화열한 얼굴빛으로 게을리하지 않고 더욱 공경히 하니, 광양군은 편안하기가 마치 집에 있는 듯하였다.
충숙왕이 심부(瀋部)에 들어가서 조회할 때 세력을 잡은 자들이 형제간의 싸움을 선동하여 일으키니, 참소하는 말이 비등하여 모두 온전한 사람이 없었으나, 춘헌의 몸은 그 거처하는 데 있고 뜻은 그 의리를 따라 정직하면서도 능히 공경하여 피차간에 유감이 없게 하였다.
양친을 여의고 3년만에 가묘(家廟)를 세우되, 죽은 부모 섬기기를 생존시와 같이 하였다. 아들 여러 남매가 모두 선부인(先夫人) 김씨 소생이었지만 나부인(羅夫人)을 잘 섬겨 계모되는 줄을 또한 알 수 없었다. 그가 판서 전법사(判書典法司)로 있을 적에는 측근에 있는 자들이 그 간사한 짓을 하지 못하였고, 봉명사신(奉命使臣)으로 평양(平壤)과 쌍성(雙城)에 있을 적에는 완악하고 사나운 무리들이 마음대로 속여 넘기지 못하였다.
밀직(密直)에 들어와 첨의(僉議)에 오르게 되니 온 나라의 선비들이 중직에 등용됨을 기뻐하였고 백성들은 그 은혜를 입었는데, 하늘이 수를 주지 않아 갑자기 세상을 떠나니 모두 세월이 빠름을 슬퍼하지 않는 자가 없고 혹은 눈물까지 흘렸다.
아, 춘헌의 도는 자기에게 극진하고 남에게 미더웠으며, 집에서 행하여 나라에 미쳤도다. 살아서는 만백성의 기대에 관계되었고, 죽어서는 진췌(疹瘁)의 슬픔을 일으켰으니 지금 세상에 구한다면 절대로 없을 것이며, 세상에 어쩌다 있는 사람이라 하겠다.
그런데 내가 늙은이로 자처하고 선비로 자부하면서 춘헌을 선생이라 하지 않으면 그것이 옳을 것인가 옳지 않을 것인가.” 하였다.
그 명문에 이르기를,
선비로서 선비답지 못한 자는 / 儒而匪儒
세상에 흔한 일일데 / 世則是繁
선비 아니면서 선비인 사람은 / 匪儒而儒
홀로 우리 춘헌뿐이로다 / 獨吾春軒
<끝>
ⓒ 한국고전번역원 | 김용국 (역) | 1969
-------------------------------------------------------------------------------------------------------------------------------------------------------
[原文]
有元高麗國匡靖大夫,都僉議參理上護軍春軒先生崔良敬公墓誌銘 - 李齊賢
春軒崔良敬公。諱文度。字羲民。年五十有四。至正五年六月癸丑卒。卜得八月壬申。葬于玉金山之麓。以祔先塋禮也。子曰思儉先歿。孫皆幼。長女壻左諫議大夫鄭誧。在京師未歸。次女壻。版圖正郞閔璿。以羅夫人之命。丏文於予。將鑱石納壙。余老矣。懦於紀譔。自以平生相爲知己。義不可辭。把筆題其端曰春軒先生墓銘。或詰之曰春軒起自將官。且其齒下於子六年。子乃先生之。豈有說乎。答曰春軒光陽君諱誠之之子也。贊成事大提學致仕諱毗一其王父也。戶部尙書翰林學士致仕諱佑其曾王父也。贊成事大司學致仕金諱晅。其外王父也。固儒雅搢紳之胄也。然而光陽君遇知於德陵。典機密專選擧二十餘年。聲勢籍甚。春軒宿衛中朝。習蒙古字語。綺襦紈袴之與處。韋韝毳帽之與遊。是宜富驕。而於格物致知修己理人之道。莫得其門而入焉。顧能出則手弓劒。入則目簡編。濂溪,二程,晦菴之書。皆彙而觀之。夜分而寢。鷄鳴而起。必將詳節目極蘊奧。心得躬行。然後乃已。溫然如春陽。湛然如秋波。雖僕妾靡甞一見其卒怒而遽喜也。德陵遜于西蕃。春軒奉光陽君。奔問洮隴。往返萬里。惋容愉色。不懈益虔。光陽安焉。若在庭闈之中也。忠肅王入朝瀋府。用事者煽起䦧墻之禍。讒口交騰。擧無全人。春軒身從其居。而志從其義。直而能敬。彼此無憾。喪二親三年。立家廟。事亡如存。子男女皆先夫人金氏出。事羅夫人亦莫知其爲繼母焉。其判書典法司也。嬖幸莫能遂其姦。奉使平壤雙城也。頑獷莫能肆其欺。及乎入密直升僉議。一國之士喜於柄用。而民蒙其惠。天不假年。奄爾淪逝。莫不彈指驚嗟。或至霣涕。嗚呼。春軒之道。盡於己而信於人。行於家而及於國。存係蒼生之望。歿興殄瘁之悲。求之於今。盖絶無而僅有者也。予以老自居。以儒自私。而不先生春軒。可乎哉。可乎哉。其銘曰。
儒而匪儒。世則是繁。匪儒而儒。獨吾春軒。<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