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기에 빨대베개를 빨다가 터져서 속에서 끼였는지 배수구가 안닫혀서 물이 안받히는 고장이 났습니다.
결국 욕조에 물을 받아서 세탁하고, 세탁기로 탈수하는 과정을 반복..
총 3회 헹굼을 실시했습니다. 직접 빨래하며 얻은 교훈은 세제를 일반 200ml컵에 밑에서 2~3cm정도 소량만 넣었음에도 2회헹굼만으로는 물이 뿌옇다는 것입니다. 3번째 맑은물로 헹굴때도 사실 뿌옇습니다.
최근 2주간 입은 옷은 세제를 2/3컵이상 많이넣고 세탁기 기본설정인 2회헹군 것이었는데, 피부가 불편한것이 옷을 착용하고 나면 몇시간안에 바로 느껴졌고, 불편한 상태로 생활하고, 피부(쇄골쪽가슴,배,팔 등 옷이 닿는 환부)도 서서히 나빠졌습니다.
결국, 눈으로 확인한것과 피부로 경험한 두개가 일치하였으므로. 물 소모량이 많더라도 일단은 세제는 2~3cm정도로 적게 쓰고, 헹굼은 3회 실시해야겠습니다. 순면임에도 피부에 자극이가고 옷이닿는부위가 나빠지는분은 점검해보시면 어떨까 합니다.
이불 세탁을 자주하고 헹굼횟수가 늘어나니 수도세가 약간 더 나와서, 드럼세탁기가 유리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불빨래 용량이 되는가가 문제겠지요.
다행히 세탁이 다 끝나고나니 빨대가 씻겨 내려갔는지 세탁기는 물이 정상적으로 받히기 시작했습니다. 빨대는 손세탁해야겠습니다.
2회째 맑은물에 담궈 헹굴때 상태입니다. 사진으로는 표현이 잘 안되는데 물이 굉장히 뿌옇습니다.
세탁-세탁기탈수-맑은물에헹굼-세탁기탈수-맑은물에담근 상태라는 의미입니다.
3회째 헹굴때 조차도 뿌연게 꽤 있습니다.
이사온뒤로 아토피가 재발했는데.. 세제용 컵을 더 큰걸로 바꾼게 한몫한것 같습니다. 물컵은 용량이 너무 커서 안좋은것 같은데, 요즘 세제들이 계량컵을 안주니까 물컵을 쓰면서 과다한 사용을 하는 원인이 되는것 같네요.
세제표지에 적힌 용량도 30~95g 무게로 해놓으니 세탁할때 저울 쓰는 사람도 없는데, 빛좋은 개살구지요.
대한민국 국민중에 세제 95g 이 어느만큼 양인지 아는 사람이 몇명이나 될까요.
다소 부정확해도 계량컵으로 쓸 수 있게 부피단위로 바꾸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아래와 같은 세제의 무게와 부피관계에 대한 지식인의 답변을 보았다. 상당히 많은양을 사용한다. 나역시도 어느정도 빨래에서 기름기가 잘 씻겨 나가는 기준을 잡아서 대략 이정도 수준으로 10년가까이 사용해 왔었다.
----
1. 세제의 비중을 충진밀도(Bulk Density)라고 합니다.
보통 세탁세제의 충진밀도는 0.2-0.3정도 됩니다.
66g이면 66/0.3=220cc 되네요.
2. 종이컵 1개가 170-180cc 정도 입니다.
종이컵으로 1개-1.5정도 되겠습니다.
----
하지만, 아토피가 재발하고 나서는 표준사용량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아토피환자는 자극이 발생하면 표준량에 표준 헹굼횟수로 세탁하면 안될것 같다. 세제가 남은 수건으로 닦으며 세제를 온몸에 묻히고, 옷을 입어서 계속 자극하게 된다.
첫댓글 세탁기 고장으로 애쓰셨네요. 헹굼을 다회 돌리는게 중요한 것 같아요.
네 정말 고생스러웠습니다. 4회이상 돌리기에는 수도세의 부담이 살짝 커지네요. 이불빨래도 자주해야하니. 아토피환자는 용량이 큰 드럼세탁기가 물 절약에 유리한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