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적 사고는 최고의 공부법』
글로만 설명된 사진이나 그림을 실재와 똑같이 그릴 수 있을까?
우리는 상징화의 도구로 언어를 사용하지만, 언어만을 이용한 머릿속 생각의 표현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인간의 두뇌는 좌뇌와 우뇌의 두 가지 뇌로 구성이 되어있다.
어떠한 정보와 개념을 축적, 전달, 응용하기 위해서는 그 대상이나 구체적 또는 추상적인 개념을 상징화하여야 한다.
직관과 이미지에 의해 사고하는 우뇌의 도움을 받는다면 좌뇌의 언어적, 논리적인 제한적 사고 방법은
크게 확대될 수 있으며 전달 및 기억의 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독일의 루돌프 아른하임(Rudolf Arnheim, 1904~ 2007)이 제안한 ‘시각적 사고’는
정보를 획득, 처리, 표현하는 기본이기 때문에 학습을 또한 쉽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황금복습주기 실천법 3단계의 마인드맵도 시각적 사고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어떠한 생각이나 상상을 머릿속에 떠올려보거나 머릿속의 생각을 종이 위에 고정하는 것을 ‘시각화’라고 한다.
따라서 앞으로의 교육에서는 생각이나 영감으로부터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신속하게 시각화하는 훈련이
언어교육과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건축가가 설계도를 작성하는 것이나. 과학자가 현미경으로 관찰한 내용을 스케치하는 것, 그리고 시인이 머릿속에 심상을 그리는 것까지도 시각화의 좋은 예들이다.
시각화는 느낌으로 배우고 표현하는 학습 방법으로 그 과정은 최소한의 시간과 수고와 노동이 소요되는 신속한 과정이어야 한다. 그
러기 위해서는 시각화하는 훈련을 필요로 한다. 평소에 낙서나 간단한 디자인을 하는 것도 좋은 시각화 훈련이 된다.
세기적 화가이자 발명가인 레오나르드 다 빈치의 아이디어 스케치를 항상 염두에 둘 수 있기를 바란다.
ⅰ) 희화 (캐리커처)
희화란 어떤 특정인이나 또는 행위를 익살맞게 표현하는 그림이다.
흔히 한 시대 관심의 표적이 되는 인물을 선정하여 그의 모습이나 행위를 과장되게 표현하는 것이 통례이지만,
때로는 그 희화의 주인공이 동물, 조류 또는 식물의 형태로 바뀌어 표현되는 경우도 있다.
예: 코가 큰 김대중 대통령. 귀가 큰 노태우 대통령
<적용 예> 전래 동화 '흥부전'에서 놀부의 성격을 분석하여 그 성격이
잘 드러나도록 놀부의 얼굴을 캐리커처로 그려보자.
SALT김길영소장
ⅱ)풍자만화 (카툰)
풍자만화는 희화적 수법과 풍자적 언어가 가미된 두 가지 방법을 통하여 어떤 정치적 및 사회적 문제에 대한
세인들의 관심을 환기시킬 목적성이 전제된 그림의 장르이다.
<적용의 예 - 사회의 역사/ 중2 교과서>
조선 시대 신분제도를 비판하는 내용을 풍자적으로 나타내는 풍자만화를 그려보자.
ⅲ) 도표적 표현
다이어그램(diagram)은 단순한 점이나 선 기호를 사용하여 어떤 현상의 상호관계나 과정, 구조 등을 도해하거나, 사물의 대체적인 형태와 여러 부분의 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윤곽과 전반적인 구도를 제시해주는 설명적인 그림이다. 또한 여러 가지 요인들 특히 양적인 것들의 관계를 그래픽으로 표현한다.
a. 비교 통계 다이어그램
도표, 그래프 등으로 불리는 것들로서, 어떤 자료를 조직적으로 나열하여 그의 수량적 내용과의 관계를 시각화함으로써 대조 또는 비교할 수 있는 성격의 다이어그램이다. 이러한 비교통계 다이어그램은 다음과 같은 형식상의 분류가 가능하다.
ⓛ일정한 형태의 점이나 그림(그래픽 심벌) 등을 활용한 단위 형식
②시간의 증가에 따른 수량의 증감을 나타내 주는 꺽은선 그래프 등의 선 형식
③막대 또는 그래픽 처리된 시각적 마크 등을 사용하여 주목성을 높여 판독에 도움을 주는 막대 형식
④면적의 크기를 이용하여 수치나 양의 대소를 쉽게 비교할 수 있는 원그래프(파이 그래프) 또는 띠그래프 등을 활용한 면적 형식
b. 기구통계 다이어그램
추상적인 내용을 구상화시킴으로써 보다 쉬운 커뮤니케이션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Flow chart나 Gant chart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정부의 조직, 기업체의 업무별 기구표, 생산품의 유통 관계표, 가문의 계보, 제품의 생산과정 도표, 동물의 진화과정 등이 이를 활용한 방안이다.
ⅳ) 연대표
연대표는 시간에 따른 사건의 순서를 직선이나 곡선의 도형으로 표현하는 것으로서, 그 시대의 철학, 종교, 예술, 과학, 기술, 사건 등의 동향을 한눈에 비교파악할 수 있다. 활용 예로는 역사연대표, 인물의 살 연대표. 자신의 삶 연대표 등이 있다. SALT에서는 포트폴리오 만들기 경진대회에서 ‘과거의 연대표’, 그리고 ‘미래의 이정표’ 등을 주제로 제시한다.
ⅴ) 그래픽적 상징
그래픽적 상징이란 사고, 사상, 개념 등을 어떤 의미를 지닌 상징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올림픽 마스코트, 빨간 단풍잎으로 표현되는 캐나다의 국기, 최근 SNS의 필수품이기도 한 그림문자 등이 있다.
ⅵ) 시각적 요약 노트
한 장의 그림이나 사진, 통계, 도표, 지도 등은 수천 마디의 말과 같은 가치가 있다. 시각물은 학습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황금복습주기 실천법의 4단계는 소금 노트의 중앙을 채우는 것이다. 키워드에 대한 해석, 그리고 마인드맵의 가지 보충 등에 활용하면 학습효과 외에도 자신감도 충만하게 할 수 있다.
마인드맵도 이에 해당하며, 모든 교과에 적용된다.
예시)
국어 : 지은이는 왜 그냥 나뭇가지라고 하지 않고 '빈 나뭇가지'라고 했을까?
수학 : 수학 교과서의 모든 도형, 함수관계, 집합관계 등
사회 : 삼국지의 영토와 상호 관계
과학 : 신체의 구조, 좌표, 그래프, 중성 용액 만드는 방법 등
도덕 : 내가 성실하게 생활하는 것과 나라의 발전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생각해 보자
음악 : 매미'노래의 가락의 흐름을 선으로 그려보자.
https://youtu.be/5xDTSz6yc8M
겨울방학 특강을 소개합니다.
https://naver.me/xX7ZbCx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