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왕별희(1993): 가장 중국적인 소재에 담은 세계성
첸 카이거 감독
<패왕별희>(Farewell My Concubine, 覇王別姬)는 1993년 중국의 천카이거(陈凯歌, Chen Kaige) 감독이 연출한 영화이다. 이벽화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으며, 원작자가 각본에도 참여하였다. 패왕별희는 사면초가와 함께 항우의 비극적인 말년을 담고 있는 대표적인 고사로, 이를 바탕으로 하는 경극 작품이 이 영화의 중요한 소재이다. 제46회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 작품이며, 국내에도 1993년 12월에 개봉되었다.
ㆍ줄거리
1925년, 베이징 경극학교에 두지라는 소년이 들어오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손가락이 잘리는 고통을 겪어가며 강제적으로 경극학교에 들어오게 된 두지는 여리고 내성적인 성격을 가진 미소년이었다. 그래서 여기저기서 짓궂은 장난을 당한다. 그런 두지를 곁에서 묵묵히 지켜주며 그의 마음을 열어주는 한 소년이 있었다. 경극학교에서 누구보다 씩씩하고 듬직한 시투였다. 길고도 힘든 훈련 과정을 겪어가며 성장한 그들에게도 경극 배역이 주어지게 되고, 두지는 여자 역할을, 시투는 군인 역할을 맡게 된다. <패왕별희>는 그들이 줄곧 연습해온 경극이다.
1937년 일본이 중국을 침략하던 때 청데이(두지)와 단샬루(시투)는 가장 유명한 경극 배우가 되어 있었고, 샬루는 홍등가의 유명한 창녀 주샨과 결혼을 약속한 사이가 되어 있었다. 그런 그들을 시기와 질투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데이는 보란 듯이 경극을 좋아하는 부유한 후원자 유안을 의지하게 되고, 샬루는 데이와의 약속마저 깨뜨리며 주샨과 결혼하게 된다. 점점 틀어지는 두 사람의 관계, 그리고 지울 수 없는 배신감을 느낀 데이는 결국 아편에 손을 대기 시작한다.
1945년 일본군이 물러가고 본토는 다시 국민당이 점거하게 되면서 대대적으로 친일 행위를 벌인 사람들은 부역자로 기소가 된다. 데이는 일본군을 위해 노래했다는 이유로 간첩으로 기소되고, 그는 모든 것을 체념한다. 그러나 국민당의 한 고위 장교가 데이의 연기를 보기 위해 베이징을 방문하면서 다시 풀려나게 된다.
1949년 국공내전이 공산당의 승리로 끝나면서 국민당은 대만으로 물러나고, 본토는 공산화되었다. 이런 분위기 속에 본토는 다시 큰 변화를 겪게 된다. 열렬한 공산주의자인 양자 서의 냉철한 비난과 힐난을 받고 데이는 경극 배우 생활을 청산한다.
1966년 본토는 문화대혁명의 풍랑을 맞게 되고, 서가 이끄는 홍위병들에게 샬루는 인민재판의 수모를 겪는다. 자아비판 때문에 이성을 잃은 샬루는 데이의 동성애를 폭로하고, 이에 맞서 데이도 주샨의 과거를 폭로함으로써 서로의 관계는 완전히 틀어지게 된다. 또 두려움에 샬루가 단 한 번도 주샨을 사랑한 적이 없었다고 증언함으로써 그녀를 자살로 이끌게 하기도 한다.
문화대혁명의 풍랑이 잦아든 1976년. 텅 빈 경극장을 함께 걸어가는 데이와 샬루는 패왕별희의 마지막 공연을 앞두고 있었다. 끝까지 항우와 우희를 연기해왔던 두 사람의 운명은 결국, 항우와 우희의 운명과 같이 하게 된다.
ㅡ위키백과에서
제46회 칸영화제 황금종려상(1993년)
제58회 뉴욕비평가협회 여우주연상(공리, 1993년)
제58회 뉴욕비평가협회 최우수 외국영화상(1993년)
제19회 LA비평가협회 외국어영화상 (1993년)
제15회 청룡영화제 외국영화상(1994년)
제51회 골든글로브 외국어영화상(1994년)
제15회 런던비평가협회 외국어영화상(1995년)
ㆍ선후평
경극 <패왕별희>가 처음 창작된 것은 1918년께이다. 경극은 중국의 대표적인 전통 연극으로 베이징을 중심으로 발달해 일본의 가부키나 노처럼 동양 연극의 값진 자산이 되었다.
경극의 대표적인 레퍼토리로 사랑받는 이 <패왕별희>를 홍콩에 살고 있는 소설가 릴리언 리(본명 이백화)가 소설로 쓴다. 그리고 이 소설을 다시 릴리언 리와 루 웨이가 각색하고, <황토지>로 중국 현대 영화의 새 장을 연 첸 카이거가 영상으로 옮긴 것이 바로 영화 <패왕별희>다.
릴리언 리는 <패왕별희>의 두 스타인 살로와 데이의 동성애적인 우정과 그 사이에 낀 주산의 사랑을 중국 현대사의 격변기 속에서 훑어가면서 예술과 인간, 그리고 중국의 역사를 살펴본다. 1924년의 군벌 시대부터 문화혁명을 거쳐 1977년까지.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의 치부를 드러낸 이 소설이나 영화는 중국에서는 금지되었다. 이 영화의 주인공들은 중화민국 시대, 항일전쟁 시대, 내전 시대, 중화인민공화국 시대, 토지개혁운동, 반우파운동, 문화혁명 그리고 개혁, 개방의 시대를 거친다.
어린 시절, 매타작을 당하며 혹독한 훈련을 거친 뒤에 경극의 명성을 잇는 두 남자의 우정이 현란한 영상 속에서 펼쳐진다. 그리고 굴곡 많은 중국사 속에서 남녀 양성의 사랑을 간직한 주인공이 끝내 경극과 우정의 순수함을 지키려고 자살하는 끝마무리는 비장하다.
경극 <패왕별희>가 중국 민중에게 사랑받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초패왕이 사랑과 죽음으로 그 사랑에 화답한 우희의 절개가 무엇보다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춘향전>이나 일본의 <츄신구라>처럼 절개와 지조, 충절이 동양인에게 으뜸가는 미덕으로 꼽히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대목이다. 특히 이런 충절과 애정을 주축으로 한 패왕과 우희의 사랑을 살로와 데이라는 두 스타의 우정과 동성애적인 관계 속으로 옮겨와 허구로 만든 것은 원작자 릴리언 리의 탁월한 상상력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첸 카이거는 원작을 요령 있게 요약하면서 그 재미와 경극의 절묘함을 영상으로 보여주는데 성공한다. ‘가장 민족적인 것이 세계적이다’는 평범한 진리로 세계적인 평가를 얻은 것이다.
<패왕별희>가 칸 국제영화제에서 최우수작품상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던 해에 우리의 <서편제>가 칸 국제영화제에 출품되었으나 아깝게도 예선에서 탈락하였다. 우리의 민족적인 판소리의 한이 세계성을 획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커다란 교훈을 준다. 그 교훈은 세계 영화제에서 어깨를 겨누려는, 또는 세계 영화시장에 뛰어들려는 한국 영화인 모두가 한 번쯤 숙고해 보아야 할 점이다. <패왕별희>가 영화적 형식과 소재 양쪽에서 세계적 보편성을 갖춘 작품이었던 데 반해 <서편제>가 그 둘을 다 결여하고 있었다면, 이제 우리 영화인들이 해야 할 일은 자명해진다.
ㅡ안병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