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Start-Up’s Camera Lets You Take Shots First and Focus Later
한 벤처기업의 카메라는 일단 찍고 나중에 초점을 보정한다.
By STEVE LOHR
With an innovative camera due out later this year from a company called Lytro, photographers will have one less excuse for having missed that perfect shot. The company’s technology allows a picture’s focus to be adjusted after it is taken. While viewing a picture taken with a Lytro camera on a computer screen, you can, for example, click to bring people in the foreground into sharp relief, or switch the focus to the mountains behind them. But is Lytro’s technology just a neat feature, or is it the next big thing in cameras? The founding team of the Silicon Valley start-up and investors who have put in $50 million are betting on the latter. The technology has won praise from computer scientists and raves from early users of its prototype camera. “We see technology companies all the time, but it’s rare that someone comes along with something that is this much of a breakthrough,” said Ben Horowitz, co-founder of Andreessen Horowitz, a major investor in Lytro. “It’s superexciting.”
리트로라는 이름의 한 회사가 올해말 출시할 혁신적카메라를 가진 사진쟁이들 이라면 완벽한 쌰슬을 노처써 같은 개소리는 통하지 아늘 것이다. 그 회사의 신기술의 카메라는 먼저 사진을 찍고 나중에 초점 보정을 하는 방식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 스크린 상에서 리트로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보면서 사람들은 동시에 포그라운드(전경)속에 들어 있는 사람을 샤프릴립(진상)에다 집어 넣고 찰깍하거나 포커스를 사람들 뒤에 있는 산에다 맞추어 찍을수도 있다. 그러나 리트로사의 신 기술이 차세대의 사진기 혹은 차세대의 카메라가 될 수 있는 가 이다. 실리콘벨리의 창업회사이자 투자자들이 5천만달라를 투자한 그 회사의 개발팀들은 후자의 방식인 사람이 아닌 먼저 배경에 초점을 맞추고 나중에 보정작업을 하는 방식에 승부를 걸고 있다. 그 기술은 컴퓨터 과학자들과 그런방식의 최초 카메라를 사용해본 초기 유저들로부터 광적인 칭찬을 받고 있다. 우리는 늘 자기 기술이 신기술이라고 주장하는 많은 테크날러지 회사들을 만낫찌만 진짜 획기적인 신기술을 가진 회사들은 거의 만나기 힘들다 라고 리트로사의 주요 투자자인 호로이츠사의 공동 창업자인 벤 호로이츠가 그렇게 말 했다. 정말 대박날 것 같아요 라고 그는 말 했다.
Lytro’s founder and chief executive is Ren Ng, 31. His achievement, experts say, has been to take research projects of recent years — requiring perhaps 100 digital cameras lashed to a supercomputer — and squeeze that technology into a camera headed for the consumer market later this year. Mr. Ng explained the concept in 2006 in his Ph.D. thesis at Stanford University, which won the worldwide competition for the best doctoral dissertation in computer science that year from the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Since then Mr. Ng has been trying to translate the idea into a product that can be brought to market — and building a team of people to do it. The Lytro camera captures far more light data, from many angles, than is possible with a conventional camera. It accomplishes that with a special sensor called a microlens array, which puts the equivalent of many lenses into a small space. “That is the heart of the breakthrough,” said Pat Hanrahan, a Stanford professor, who was Mr. Ng’s thesis adviser but is not involved in Lytro.
리트로사를 창업한 주역이며 사장인 사람은 21세 렌닝그씨이다. 전문가들이 말 하기를 그의 주요 업적은 아마도 100개의 디지털 카메라를 한대의 슈퍼컴으로 통합하는 작업에 맞먹는 그 기술을 한대의 카메라안에다 모두 축척하여 집어 넣는 기술로 올해말 소비자 시장에 출시할 목적의 최근년의 연구 프라젝트라고 생각한다. 닝그씨는 미국의 컴퓨터학회에서 그 해의 컴퓨터과학부문에서 선정한 전세계의 최우수 닥터럴디스서테이션(박사학위논문)으로 선정된 스탠포드대학의 2006년 박사학위 씨시시(학위논문)에서 그 카메라의 개념을 설명했다. 그때부터 닝그씨는 그 생각을 소비자 시장에 내 놓을수 있는 제품에 접목하는 노력과 그 작업을 할 인력팀들 구축작업을 벌여 왔다. 리트르사의 신개념 카메라는 기존의 재래식 카메라들 보다 더 많은 각도에서 훨씬 더 많은 빗을 켑처한다. 그것은 많은 렌즈들이 피사체를 포착하는 것과 만먹는 만은 렌즈들을 카메라의 작은 공간에 집어 넣는 마이크론 어레이라고 불리는 특별 특수 렌즈가 있어 가능한 것이다. 그것은 획기적인 기술의 핵심이다 라고 닝그씨의 박사학위 논문을 지도했지만 리트로사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스탠포드대학의 교수 하나란 씨가 그렇게 말 했다.
But the wealth of raw light data comes to life only with sophisticated software that lets a viewer switch points of focus. This allows still photographs to be explored as never before. “They become interactive, living pictures,” Mr. Ng said. He thinks a popular use may be families and friends roaming through different perspectives on pictures of, say, vacations and parties posted on Facebook (Lytro will have a Facebook app). For a photographer, whether amateur or professional, the Lytro technology means that the headaches of focusing a shot go away. Richard Koci Hernandez, a photojournalist, said that when he tried out a prototype earlier this year, he immediately recognized the potential impact. “You just concentrate on the image and composition, but there’s no need to worry about focus anymore,” Mr. Hernandez said. “That’s something you do later.” “That was the aha! moment for me,” said Mr. Hernandez, an assistant professor of new media at the graduate school of journalism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This is game-changing.”
그러나 풍부한 천연자연빗은 사진을 찍는 사람이 초점 전환을 가능하게 해주는 최첨단 소프웨어를 통해서만 실현할수 있다. 이것은 사진이 전례없이 전에 추적하는 영상에 상관없이 배경들을 계속 추적가능하게 해 준다. 신기술 카메라는 생생한 사진들이 상호교감 하는것이다 라고 닝그씨가 말 했다. 그는 이 사진기의 인기 있는 용도는 페이스북에 개시할 방학이나 파티의 사진상에다 다른 원경 속을 돌아다니는 가족들이나 친구들을 올리는 것이 될 것이다 라고 그는 생각한다(리트로는 페이스북 에플리션 기능도 장착하고 있다). 아마추어나 프로페셔널이나 상관없이 사진찍는 사람들에게 있어 이 리트로기술은 사진을 찍을때 포커스 맞추느라 골머리썩일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토저널리스트인 리처드코치씨는 그가 올해초 이 회사의 시제품을 사용할 때 그는 즉각적으로 카메라시장에 몰고올 파장이 클것이라는 인식을 하였다. 이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사진찍는 사람은 그냥 이메지와 편집에만 신경쓰고 초점은 나중에 보정작업이 가능하기에 초점에는 신경쓸필요가 없다 라고 헤르난데즈씨는 말 했다. 그 카메라 초점 보정작업은 사진을 찍은 다음 나중에 해도 된다 라고 헤러난데즈씨는 말 했다. 그것은 참 무릅을 탁 치는 순간이었다 라고 버클리 켈리포니아대학의 대학원 미디어과 조교수인 헤르난데즈씨가 그렇게 말 했다. 이것은 디카시장의 판도를 바꾸어 놓을 신기술이다 라고 그는 말 했다.
Mr. Hernandez, who is not affiliated with Lytro, was one of several photographers who tested prototypes. His model, he said, was sheathed in a black plastic shell, so he did not see its design. But he said it was the size of a standard point-and-shoot camera. The picture resolution, he added, was indistinguishable from that of his other point-and-shoots, a Canon and a Nikon. Eliminating any loss of resolution in a camera like Lytro’s, which is capturing light data from many angles, is a real advance, said Shree Nayar, a professor at Columbia University and an expert in computer vision. Mr. Nayar is familiar with Mr. Ng’s work, but he said he had not seen anything Lytro has done in more than a year. “If they have been able to recover most of the lost resolution, then their image refocusing application is a very cool feature,” Mr. Nayar said. “But it is an open question how popular it becomes.”
리트로사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헤르난데즈씨는 리트로사가 내 놓은 획기적 컨셉의 카메라의 시제품을 시험해본 사람들중 한사람이다. 그가 사용한 모델은 검은 플라스틱 덥게가 덥혀져 있어 디자인이 어떤지는 잘 모른다 라고 그는 말 했다. 그는 그 카메라의 싸이즈가 포인트엔슛(전자동) 카메라 싸이즈 였다 라고 말 햇다. 그 카메라의 사진 해상도는 케넌이나 니콘 같은 다른 전자동카메라의 해상도와 별반 다르지 않았다 라고 그는 덧붙였다. 많은 앵글각을 통하여 아주 미량의 빗을 포착하는 것이 리트로같은 카메라에 있어서는 해상도의 원형을 보존하거나 되찾는 것이 정말 진정한 신기술이다 라고 컬럼비아대학의 교수이자 컴퓨터비전의 전문가인 나야르씨가 그렇게 말 했다. 나야르씨는 닝그씨의 연구를 잘 알고 있지만 1년전보다 더 진보한 기술은 보이지 않는다 라고 그는 말 했다. 만약 리트로사에서 사라져 버린 선명한 해상도를 복원할수만 있다면 그 회사의 이미지 보강 응용기술은 정말 대단한 혁신 사양일 것이다 라고 나야르씨가 말 했다. 그러나 이 회사의 카메라가 얼마나 인기를 끌게 될것인지는 좀더 지켜 보아야 한다 라고 나야르씨는 말 했다.
At Lytro, the view is that the technology, once it gets into people’s hands, opens the door to many possible new features and uses. Among its other advantages, the new camera is much faster than conventional ones because there is no “shutter lag” — waiting for the autofocus device to work and the shot to be taken. Those fractions of a second, of course, are often when the dog darts off or the child’s smile becomes a frown. Lytro cameras can also capture plenty of data for 3-D images, which can be viewed on a computer screen with 3-D glasses. Lytro is not saying what the price of its first camera will be, but insists it will be for the consumer market, which suggests a price of a few hundred dollars. The company is also not being more precise about when the camera will ship. It will initially be sold through online retailers like Amazon.com and Lytro’s Web site. But to gear up, the company is rapidly adding to its 45-person staff in Mountain View, Calif. Its recruits include veterans of Microsoft, Google, Apple, Intel and Sun Microsystems.
리트로사는 그런 시각에 대하여 그런 혁신적인 기술이 일단 사람들의 손에 잡힌다면 새로운 사양과 새로운 용도를 창출하는대 많은 문호를 개방할 것이다 라고 생각한다. 다른 유리한 것 가운데는 새로운 혁신 카메라가 자동포커스장치가 작동하고 그런 다음 사진을 찍기까지 걸리는 시간인 셔터레그가 없기 때문에 재래식 카메라보다 훨씬 더 빨리 찍을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눈깜짝할시간은 종종 개가 질주하거나 아이들의 미소가 찌그러질때의 짧은 시간이다. 리트로 카메라는 또한 쓰리디영상실현을 위한 많은 대이터를 켑처할수 있는대 그런 쓰리디영상은 쓰리디안경을 쓰고 컴퓨터스크린상에서 볼 수 있다. 리트르사는 첫 시제품 카메라의 가격이 얼마로 매겨질지에 대하여는 말을 하고 있지 안치만 소비자 가격이 수백달라로 책정되지 안켄나 하는 예상들이 있다. 그 회사는 카메라 출시 시점에 대하여는 정확하게 이야기 하지 않고 있다. 그 카메라는 우선 아마존닷컴이나 리트로웹사이트와 같은 온라인 소매점을 통하여 판매될 것이다. 그러나 본격적인 영업 준비를 위하여 그 회사는 켈리포니아 마운틴뷰에 45명의 직원들을 충원하고 있다. 그 회사의 채용 직원에는 마이크로소프트,구글,애플,인텔과 선마이크로시스템의 베테랑들이 포함될 것이다.
One Lytro convert who caught the attention of the Valley digerati was Kurt Akeley, who joined the company last September from Microsoft Research. Mr. Akeley, 53, was one of the early engineers at Silicon Graphics, a pioneer in computer graphics, and is one of the lead developers of OpenGL, a popular set of graphics programming tools. Mr. Akeley, a consulting professor at Stanford, was familiar with Mr. Ng’s work and said he was lured by the challenge and technical opportunity. Lytro, Mr. Akeley said, has “a powerful technology with legs — great things can happen.” Lytro chose to design and market a camera itself, instead of licensing its technology to a camera giant like Canon or Nikon. It will farm out the manufacturing to a company in Taiwan, but it wanted to control the details of the camera itself — much as Apple does. “We can just make a better product this way, and really show what we can do,” Mr. Ng said. “The big camera makers are mostly polishing existing technology, and we didn’t want to do this in an incremental way.”
실리콘 벨리의 디저라티(컴퓨터전문가)의 관심을 끄는 전직자가 바로 아켈레이씨로 마이크로소프트연구소에서 지난해 10월 이 회사에 영입되었다. 53세의 아켈레이씨는 컴퓨터그래픽의 독보적인 존재인 실리콘그래픽의 초기 연구개발자중의 한사람이고 인기 그래픽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셋인 오픈지엘의 개발을 주도한 사람중의 한 사람이다. 스텐포드대학의 컨설팅교수이기도 한 아클레이씨는 닝고씨의 신개념 카메라 개발을에 대하여 정통한 사람이기에 한번 도전해볼만 한 영역이고 기술적 기회라고 생각하여 이 회사로 이적하게 되었다고 말 했다. 레그(롱런)할수 있는 강력한 신 기술을 가진다면 참 대단한 일들이 일어나게 된다 라고 레클레이씨는 말 했다. 레트로사는 케논이나 니콘사 같은 대형 카메라회사들에게 기술 이전 라이센스를 주는 대신에 레트로사는 직접 설계하고 마케팅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그런 전략은 허접때기 껍데기 기술은 타이완의 회사에서 재조케하고 카메라의 핵심 기술은 본사가 계속 통제보유하는 방식의 전략으로 애플사가 행하고 있는 방식과 비슷한 전략이다. 우리는 이런 방식으로 더 좋은 제품을 생산할수 있고 정말 우리가 할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라고 닝그씨는 말 햇다. 대형카메라 회사들은 주로 보통 보편화된 기존의 기술을 그대로 재탕 삼탕하여 뽀대나도록 갈고 닦는 것인대 우리는 그런식으로 인크러먼트(이득,이윤,이윤창출)을 하고 싶지는 안타라고 닝그씨는 말 햇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