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신문 안소윤기자] 주간 업&다운에서는 한 주간 정치권을 뜨겁게 달군 화제의 인물들을 비교분석, 이들의 정치기상도를 살펴보고 있다. 이번 주는 충청 출신 ‘큰인물론’에 힘입어 차기 ‘원내대표 추대론’까지 제기된 새누리당 이완구 의원과 박근혜 대통령의 ‘불통인사’ 꼬리표를 떼어줄 무난한 내부승진사례로 점쳐졌지만 인사청문회 과정 중 각종 의혹이 불거져 나오며 또 한 번의 인사실패 사례로 거론되고 있는 강병규 안전행정부 장관 내정자에 대해 알아봤다.
UP. 든든한 지지자들 등에 업고 ‘추대론’
| 이완구 李完九, 1950년 6월, 충남 청양 학력 양정고등학교 단국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 경력 1974년: 제15회 행정고등고시 1993년: 충북 지방경찰청 청장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2006년: 제35대 충남 도지사 2013년: 제19대 국회의원 |
6·4 지방선거를 이끌 새누리당 차기 원내대표에 이완구 의원(충남 부여·청양) 추대론이 힘을 받고 있다.
여당 차기 원내대표의 경우 4월 말로 예정된 황우여 대표의 퇴임을 시작으로 5월 중 지도부 전체가 교체되고 나면 오는 7월 14일 전당대회까지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아 당을 책임지게 된다. 지방선거부터 전당대회까지 단기간이지만 막강한 권한을 가지게 되는 셈이다.
또한 이 의원이 원내대표에 추대 또는 선출될 경우, 충청권 인물로는 처음으로 집권당 원내대표를 맡아 돼 이 역시 상당한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 의원 추대론이 나오게 된 계기와 관련해서는 지방선거의 캐스팅 보트를 쥐고 있는 충청 출신을 당의 얼굴로 내세워 선거를 치르겠다는 선거전략이 내포돼 있다는 분석도 상당하다. 또한 이 의원이 박근혜 대통령의 신임이 두터워 친박계의 지지를 받고 있는데다 MB(이명박)계로부터도 신임을 받는 등 계파색이 엷다는 점 또한 그의 큰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차기 원내대표 자리를 두고 경쟁관계 형성이 예상되던 이주영 의원이 해양수산부 장관으로 발탁되고 남경필 의원 역시 경기도지사 출마로 선회한 점 역시 이 의원의 추대론에 무게감을 실어주고 있다.
더불어 지난 18일 주호영 의원은 차기 정책위의장 출마의 뜻을 밝히며 “사회를 좋게 바꾸는 건 정책을 통한 것이라 생각한다”며 “이완구 의원과 러닝메이트를 이루고 싶다”는 뜻을 전하기도 했다. 주 의원은 이명박 정부의 첫 특임장관을 지낸 ‘친이계’인사로 대구 출신 3선 의원이다. 주 의원과 이 의원이 손을 잡을 경우 ‘친박-친이’조합은 물론 대구‧경북과 충청권의 지역적 안배에도 최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 의원의 추대론에 ‘변수’로 예상됐던 정갑윤 의원이 울산시장 출마를 포기하고 원내대표 경선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지며, ‘이완구-정갑윤’ 양강 대결 구도가 형성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DOWN. 의혹이 꼬리 무는 인사청문회
| 강병규 姜秉圭, 1954년 11월, 경북 의성 학력 경기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학 학사 경력 1977년: 제21회 행정고시 합격 1995년: 경북 경산시 부시장 2005년: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 2009년: 행정안전부 제2차관 2011년: 한국지방세연구원 원장 |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7일 인천시장 출마를 위해 사임한 유정복 전 장관의 후임으로 강병규 전 행안부 제2차관을 내정했다.
이날 청와대는 강 내정자 선임배경으로 안전행정부 업무 전반에 걸쳐 경험이 풍부하고 타 부처 및 국회 등과의 대회 협조관계가 원활하다고 밝혔으며, 정치권에서도 박 대통령의 ‘불통 인사’ 꼬리표를 떼어줄 무난한 내부승진 사례로 분석했다.
그러나 강 내정자의 인사청문회는 당초 예상과는 전혀 다르게 흘러갔다. 지난 25일 열린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강 내정자 자녀의 위장전입 문제를 시작으로 각종 논란이 불거져 나온 것이다. 위장전입은 고위 공직자의 인사청문회마다 등장한 ‘단골손님’이다. 그러나 안전행정부가 주민등록법을 관장하는 주무부처라는 점에서 야당 의원들의 질타는 더욱 거세게 이어졌다.
강 내정자 역시 이 같은 상황을 인식 자녀 교육문제와 연관된 위장전입으로 주민등록법을 위반한 사실을 시인하고 시종일관 머리를 숙였다.
강 내정자를 향한 의혹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배우자의 농지법 위반, 자녀의 이중국적, 한국지방세연구원장 시절 과도한 업무추진비 지출 등이 장관 내정자로서 부적절했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논란이 확산되다 보니 여야는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을 두고서도 이견을 드러냈다. 윤상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당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주민등록법 위반에 대해 후보자께서는 진심어린 사과와 소명이 있었다”며 “향후 6.4 지방선거의 엄정한 관리와 불법선거운동에 대한 단속강화 등에 대한 확고한 소신이 있기 때문에 후보자로서 안행부 장관 직위업무 수행에 전혀 무리가 없다고 판단된다”고 주장하며 인사 적격 의견을 냈다.
반면 야당은 부적격 의견을 내놨다. 정호준 민주당 원내대변인는 이날 현안논평에서 “어제 인사청문회 결과로 강 후보자는 도덕성과 청렴성 등에 안행부 장관으로서 부적격임이 여실히 드러났다”며 “안행부의 수장으로서 법과 원칙에 따른 엄정한 법집행을 수행할 신뢰도 권위도 이미 상실했다. 스스로 사퇴하는 것이 자신이 오랫동안 몸담았던 조직의 명예실추를 막는 유일한 길”이라고 전했다.
|
첫댓글 지사님 처럼 청렴하신분이 과연 계실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현 새누리당은 카리스마와 친화력이 있는 지도자를 필요로 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