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하일사랑의 쉼터 (일운회) 원문보기 글쓴이: 하일사랑
연리지(連理枝) 연리근(連理根) 연리목(連理木)..
두 나무가지가 서로 맞닿아 결이 통한것이 연리지 두 나무뿌리가 서로 맞닿아 결이 통한것은 연리근 두 나무줄기가 서로 맞닿아 결이 통한것은 연리목 이라한다..
전남 해남.두륜산 頭倫山.대흥사 大興寺 입구
부도전 浮屠殿..
부도전은 일주문을 막 지나 오른편에 자리하고 있다. 나지막한 담장 안에 다양한 모습을 갖춘 부도(浮屠)와 탑비(塔碑)가 모두 80여기 (부도 54기와 탑비 27기 )에 이르고 있다. 부도의 배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지 않고 3~4열을 이루고 있어 무질서하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무질서 속에서 조화로움을 느낄 수 있다. 이곳의 부도는 대부분 조선시대 후기에 건립된 것이다.
부도와 탑비의 주인공들은 모두 임진왜란 이후 대흥사를 중흥시키고 크게 빛낸 스님들로서, 서산대사를 비롯하여 풍담(楓潭)ㆍ취여(醉如)ㆍ월저(月渚)ㆍ설암(雪巖)ㆍ환성(喚惺)ㆍ호암(虎巖)ㆍ 설봉(雪峯)ㆍ연담(蓮潭)ㆍ초의(草衣) 등의 대종사와, 만화(萬化)ㆍ연해(燕海)ㆍ 영파(影波)ㆍ운담(雲潭)ㆍ벽담(碧潭)ㆍ완호(琓虎) 등의 대강사, 그밖에 고승대덕들의 부도이다. 부도와 비의 주인공들이 조선 중기 이후의 인물들인 만큼 부도와 비의 양식 또한 통일신라나 고려시대의 작품들처럼 세련되고 섬세함을 느낄 수는 없지만 정성을 들여 기품 있게 만들어져 있다.
특히 팔각원당형의 서산대사부도(西山大師浮屠)는 기단부와 상륜부의 독특한 장식과 옥개의 낙수면, 처마의 목조건물 모각은 이 시대의 작품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수법으로 고려시대의 양식을 보여주는 듯하다. 보물 제1347호로 지정된 서산대사 부도가 위치하고 있어 더욱 유명하다. 담장 밖으로 우뚝 솟아 있는 사적비는 그 크기와 규모만큼이나 당시 대흥사의 위상을 나타내주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조선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17세기 말에서 19세기 사이에 제작된 것이다. 숭상(崇尙)하는 세력과 절 분위기가 일치한 때문이다..
비문내용 ㅡ 두륜산 대흥사 頭輪山 大興寺 대흥사 북원으로 가기전 남원과의 갈람길에 연리근이라는 두그루의 나무가 있다. 가지가 맞붙은 연리지는 많이 보았지만 연리근은 드물다.
연리근(連理根) 가까이 자라는 두 나무가 서로 만나 합쳐지는 현상을 [연리連理]라고 합니다. 부대끼고 겹쳐져 하나가 되는 것입니다. 가지가 하나되면 연리지(連理枝)라고 부릅니다. 연인의 사랑에 비유되어 일명 '사랑나무'로도 불립니다. '삼국사기'와 '고려사'에도 연리나무에 관한 기록이 전하는데, 우리 조상들은 연리나무가 나타나면 희귀하고 경사스러운 길조(吉兆)로 여겼습니다..
뿌리가 붙은 연리근 連理根..
대흥사 연리근은 천년된 느티나무로 그 오랜 세월 동안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입니다. 왼쪽은 음의 형태이며 오른쪽은 양의 형태로 언듯 남녀가 천년동안 사랑을 하고 있는 듯 합니다. 사랑의 소원이 성취되고, 사람들의 마음속의 바라는(사랑, 소원, 희망, 승진, 건강, 화합, 우정, 합격, 성공 등) 소망이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앞으로도 소망이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소중한 공간을 마련 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