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에스프레소
[에스프레소] 젠슨 황은 왜 한여름에도 가죽재킷인가
조선일보
변희원 기자
입력 2024.06.22. 00:10업데이트 2024.06.22. 06:02
https://www.chosun.com/opinion/espresso/2024/06/22/EV7AH6X26ZBLLPTRWOCXF2VQ4M/
※ 상기 주소를 클릭하면 조선일보 링크되어 화면을 살짝 올리면 상단 오른쪽에 마이크 표시가 있는데 클릭하면 음성으로 읽어줍니다.
읽어주는 칼럼은 별도 재생기가 있습니다.
黃, 덥고 답답해도 가죽재킷 고집
NYT "독립, 반항, 개방을 상징"
백인 남성 사회에서 생존 전략?
主流가 끊임없이 바뀌어야 발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2일 타이베이 국립대만대 종합체육관에서 아시아 최대 IT박람회 '컴퓨텍스 2024' 개막에 앞서 열린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6월 초 컴퓨텍스 참석차 대만을 찾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는 또 가죽 재킷을 입었다. 그는 1년 전 같은 행사로 대만을 방문했을 때도 가죽 재킷을 벗은 적이 없다. 보다 못한 기자가 물었다. “안 더워요?” “아뇨, 전 언제나 쿨합니다(I’m always cool).” 황 CEO의 ‘쿨’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모르겠다.
엔비디아 주식이 하나도 없는 나로선 천정부지로 오르는 그 회사의 주가보다 황 CEO가 날씨와 상관없이 가죽 재킷만 줄창 입고 다니는 이유가 더 궁금하다. 구글에서 그의 가죽 재킷을 검색하자 스타들이 입은 가죽 재킷을 본떠서 파는 쇼핑몰이 나온다. 제임스 딘, 말런 브랜도, 해리슨 포드와 나란히 황 CEO가 있었다. 가격은 149.99달러. 그 쇼핑몰에서 기업인이라곤 그 하나뿐이었다. 창업자나 경영인의 옷차림이 비교적 자유스러운 실리콘밸리에서도 가죽 재킷은 찾아보기 어렵다. 멋스러울진 몰라도 편한 옷은 아니니까. 무겁고, 빳빳하고, 바람도 안 통하니 일하는 사람이 입는 옷으론 영 별로다. “죽어라 일을 한다”고 알려진 황 CEO가 굳이 작업복으로 어울리지 않는 가죽 재킷을 고집한다는 게 영 이상하다.
뉴욕타임스는 황 CEO의 가죽 재킷을 두고 “독립심, 개방성, 반항, 섹스어필과 연결지을 수 있다”고 했다. 섹스어필은 지극히 개인적 취향의 영역이기 때문에 제쳐두자면, 독립심이나 반항과 같은 표현은 최근 테크계의 록스타 반열에 오른 황 CEO와 대체로 잘 들어맞는다. 우연이 아니다. 그는 원대한 계획을 갖고 가죽 재킷을 입고 다녔을 것이다.
실리콘밸리는 2020년대 전까지 ‘백인 남성의 골짜기’ 혹은 ‘보이스 클럽’으로 불렸다. 2015년 미국의 한 시민단체가 낸 실리콘밸리 관련 보고서에는 “아시아인들로 꽉 찬 구내식당 말고 임원 사무실이 있는 층에 가 보면 문제가 뭔지 알 수 있을 것”이란 표현이 나온다. 당시 구글, 야후, 인텔, 휼렛패커드, 링크트인에서 기술직으로 일하는 아시아계의 비중은 27%였지만 임원급은 14%에 불과했다. 고학력이어도 아시아계는 하위 기술직에 머무는 게 현실이었다.
2004년에 나온 ‘해롤드 앤 쿠마 화이트캐슬에 가다’란 미국 영화의 주인공 해롤드는 한국계 미국 청년이다. 해롤드는 똑똑하고 성실하지만 같은 회사의 백인 동료들은 매번 그에게 일을 미룬다. 순종적이고 소심한 그는 체념한 듯 남의 일감을 받아들인다. 아시아계에 대한 인종적 편견을 비꼬면서, 아시아계가 처한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만약 황 CEO가 스티브 잡스 애플 창업자의 상징인 이세이 미야케의 검정 터틀넥이나 마크 저커버그 메타 창업자가 즐겨 입은 브루넬로 쿠치넬리의 반팔 티셔츠를 입었다면 어땠을까. 좋은 대학을 나오고 일도 열심히 하지만 중간 관리자 이상은 되기 힘들어 보이는 해롤드와 비슷한 취급을 받았을 것이다. 속으로는 땀띠가 나도록 더울지라도 가죽 재킷을 고집한 것은 ‘나는 고분고분하고 만만한 아시아계 공돌이가 아니다’라는 걸 보여주기 위해서가 아니었을까. 가죽 재킷은 그에게 패션이 아니라 실리콘밸리에서 창업자이자 리더로 인정받기 위한 몸부림이었을 것이다.
사람이 모이는 곳엔 주류(主流)가 생기기 마련이다. 하지만 성장하는 공동체의 주류는 끊임없이 바뀐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의 CEO는 인도계이고, 애플과 오픈AI의 CEO는 성소수자다. 엔비디아의 뒤를 쫓는 AMD의 리사 수 CEO는 아시아계 여성이다. 실리콘밸리에 여전히 세계의 부와 기술이 몰리는 게 이해가 간다. 황 CEO가 가죽 재킷 때문에 얼마나 덥고 갑갑했을지 그 고통을 헤아릴 순 없지만, 그의 가죽 재킷은 실리콘밸리를 위해, 그리고 우리를 위해 제대로 한몫을 했다.
변희원 기자
Patriot036****
2024.06.22 00:55:22
아웃룩에 관한 기자의 눈썰미와 포인트가 흥미를 준다. 이런 기사는 국민을 위한답시고 두패로 나뉘어 지들 밥그릇 싸움하는 무리들의 기사를 매일 접하다 보니 쉬어 갈 수 있고 나의 아웃핏도 한번 되새김할 수 있어서 더운 날 산들 바람 같다.
답글작성
25
3
DanL
2024.06.22 02:00:11
지금도 어느 회사에든 가면 동양인은 C-suite과 VP 이상에서 봤을땐 매우 적은 비율입니다. 백인 남자들이 압도적이고 의외로 유태인들이 많고 완전 백인이 아닌 혼혈백인들이 있지요. 그리고 다음이 여자들이고 몰론 백인입니다. IT쪽이야 인도 사람들이 많지만 그것도 다른 분야로 넘어가면 별로 없죠. 아시안 황인종이 그 다음이지만 남자보다 여자를 더 선호합니다. 남자들은 그 다음인데 거의 흑인들만큼 귀하다고 할수 있죠. 그 황인종들 대부분은 2세이고 1세는 거의 전무입니다.
답글작성
18
1
산천어
2024.06.22 03:49:30
젠슨 황의 가죽 재킷에 그런 숨은 뜻이 있었군요. 젠슨 황, 화이팅!
답글작성
15
2
Smiths
2024.06.22 08:05:21
그냥 제멋 부리는데 기자 양반이 꿈보다 해몽이라고 온갖 해석을 갖다 붙이는것 아니오?
답글작성
6
0
밥좀도
2024.06.22 04:46:00
'옷이 날개'란 속담처럼 옷은 자신을 드러내는 하나의 상징으로도 쓰인다. 그렇지만 옷이나 얼굴 등 외형적인 모습보다는 실력과 재능을 갖춰 내실을 다지는 지혜가 필요한 시절이다.
답글작성
3
1
수리
2024.06.22 07:01:13
황 젠슨을 비롯한 우리 황인종 모두 힘내시고 성취 행복 화이팅!
답글작성
1
0
마자요
2024.06.22 08:17:47
실리콘벨리 옆 샌프란시스코는 언제나 선선함. 오후 1시 이후 부턴 안개가 장난이 아님. 가죽잠바 입고 다닐만큼 추움.
답글작성
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