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곱 번이 아니라 일흔일곱 번까지라도 용서해야 한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8,21-35
21 그때에 베드로가 예수님께 다가와, “주님, 제 형제가 저에게 죄를 지으면 몇 번이나 용서해 주어야 합니까? 일곱 번까지 해야 합니까?” 하고 물었다. 22 예수님께서 그에게 대답하셨다.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곱 번이 아니라 일흔일곱 번까지라도 용서해야 한다.
23 그러므로 하늘 나라는 자기 종들과 셈을 하려는 어떤 임금에게 비길 수 있다. 24 임금이 셈을 하기 시작하자 만 탈렌트를 빚진 사람 하나가 끌려왔다.
25 그런데 그가 빚을 갚을 길이 없으므로, 주인은 그 종에게 자신과 아내와 자식과 그 밖에 가진 것을 다 팔아서 갚으라고 명령하였다.
26 그러자 그 종이 엎드려 절하며, ‘제발 참아 주십시오. 제가 다 갚겠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27 그 종의 주인은 가엾은 마음이 들어, 그를 놓아주고 부채도 탕감해 주었다.
28 그런데 그 종이 나가서 자기에게 백 데나리온을 빚진 동료 하나를 만났다. 그러자 그를 붙들어 멱살을 잡고 ‘빚진 것을 갚아라.’ 하고 말하였다.
29 그의 동료는 엎드려서, ‘제발 참아 주게. 내가 갚겠네.’ 하고 청하였다. 30 그러나 그는 들어주려고 하지 않았다. 그리고 가서 그 동료가 빚진 것을 다 갚을 때까지 감옥에 가두었다.
31 동료들이 그렇게 벌어진 일을 보고 너무 안타까운 나머지, 주인에게 가서 그 일을 죄다 일렀다.
32 그러자 주인이 그 종을 불러들여 말하였다. ‘이 악한 종아, 네가 청하기에 나는 너에게 빚을 다 탕감해 주었다. 33 내가 너에게 자비를 베푼 것처럼 너도 네 동료에게 자비를 베풀었어야 하지 않느냐?’ 34 그러고 나서 화가 난 주인은 그를 고문 형리에게 넘겨 빚진 것을 다 갚게 하였다.
35 너희가 저마다 자기 형제를 마음으로부터 용서하지 않으면, 하늘의 내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그와 같이 하실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주임신부님 강론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9월 17일, 루카9,23-26.
“누구든지 내 뒤를 따라오려면 자신을 버리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루카9,23-26)
+찬미예수님
오늘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에 무태 본당 교우들은 거제도 지세포 복자 윤봉문 요셉 성지로 성지순례를 떠납니다. 거제도에 믿음의 씨앗을 뿌린 순교자의 믿음을 본받고자 합니다.
현대는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때론 너무 많은 것들이 우리의 눈과 귀를 어지럽힙니다. 때론 안 듣고 싶고, 듣고 싶지 않은 말도 너무 많이 들을 때가 있고, 보고 싶지 않은 것들도 보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정작 들고 봐야 할 것들은 듣지 못하고 살 때가 있습니다. 눈과 귀를 잘 통제할 수 있다면 많은 불안과 걱정과 근심에서 벗어 날 수 있습니다.
“어리석다.”라는 말은 영어로 (absurd)는 ‘귀머거리’라는 뜻의 라틴어 단어 ‘surdus'가 들어 있습니다. 귀머거리가 되어서 잘 듣지 못하게 될 때, 사람은 어리석고 우둔한 삶게 됩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경청하여 잘 들을 줄 아는 사람입니다.
신앙생활을 통해 영적인 삶을 살아가는데 듣고 보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하느님 음성을 듣는 법을 배울 필요가 있습니다. 삶이 바쁘고 마음이 분주하면 우리는 하느님 음성을 좀처럼 듣지 못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듣는 법을 배워 하느님 음성을 듣게 되면 참 행복한 삶을 살게 됩니다. 주님 목소리는 내 삶을 일깨워주고 나를 진리의 길로 인도합니다.
“순종(obedient)”이라는 말은 ‘듣는다.’라는 뜻인 라틴어 단어 “audire"에서 왔습니다. 잘 듣는 사람이 지혜롭고 하느님께 순종하는 삶을 살게 됩니다.
예수님 삶은 하느님 뜻에 순종하는 삶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언제나 하느님 아버지 말씀에 귀를 기울이셨으며 하느님 말씀에 깨어 계신 분입니다. 다른 말로 예수님은 ‘듣는 귀’이십니다. 하느님 음성을 듣는 귀가 되는 것이 기도의 참모습입니다. 모든 기도의 핵심은 사실상 듣는 것이며 하느님 말씀을 듣기에 하느님 앞에 순종의 마음으로 서 있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 역시 하느님 목소리를 듣는 사람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듣는 마음을 길러야 합니다. 온몸과 마음으로 귀를 기울여 들어야 합니다.
예수회 신부인 헨리 나우웬은 “기도의 삶”이라는 책에서 하느님 음성을 잘 듣기 위한 세 가지 경청을 소개합니다.
첫째 교회에 귀 기울여야 합니다. 우리 시대에 영적으로 가장 커다란 위험은 예수님과 교회를 분리시키는 일입니다. 교회는 주님의 몸입니다. 예수님 없이는 교회도 있을 수 없고 교회가 없이는 예수님과 함께 있을 수 없습니다. 교회를 떠남으로써 예수님과 더 가까워졌다고 말하는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교회에 귀를 기울인다는 것은 곧 교회의 주님께 귀를 기울인다는 것입니다. 미사성제는 교회 생활의 핵심입니다. 생명을 주시는 복음을 듣는 곳도 미사이며, 우리 안에 그 생명을 유지시켜 주는 은사를 받는 곳도 미사입니다. 내가 교회에 계속 귀 기울이고 있다는 가장 확실한 증거는 꾸준히 미사에 참여라는 것입니다. 미사성제에서 하느님의 목소리를 들어야 합니다.
둘째 책에 귀 기울여야 합니다. 성경을 읽고 성경과 영적인 삶과 위대한 성인들의 삶에 대한 책을 읽어야 합니다. 신앙 서적을 통해서 하느님께 돌아오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아오스딩도 그랬고, 토머스 머튼도 그랬습니다. 기타 많은 사람들이 성경과 영성 서적을 통해서 회심을 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영적인’ 책을 재미있는 정보의 출처로 읽는 것이 아니라 나에게 직접 말하는 음성을 듣듯 그렇게 귀 기울이는 것입니다. 성경을 통해서 하느님께서 나에게 말씀하시는 것처럼 귀를 기울이어야 합니다.
셋째는 우리 마음에 귀 기울이여 합니다.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가장 친밀하게 말씀하시는 곳이 바로 마음입니다. 기도란 무엇보다도 마음속 깊은 곳에 거하시는 예수님 음성을 듣는 것입니다. 그분의 음성은 겸손한 음성이요 거의 속삭임에 가까운 부드러운 사랑의 음성입니다. 평생 무슨 일을 하며 살든 마음속에 계시는 예수님 음성에 귀를 기울이며 살아야 합니다. 매일 예수님과 단둘이 10분만 보내도 우리의 삶은 근본적으로 달라질 것입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고독 속에서 함께 하십니다.
9월 순교자 성월을 보내며,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에 성인들의 삶을 묵상해 볼 때, 외부의 끊임 없는 박해와 두려움 속에서도 꿋꿋이 신앙을 지켜낼 수 있었던 것은 하느님과 함께 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느님 음성을 들을 수 있었기에 그 말씀 안에 위로받고 힘과 용기를 얻었을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도 매일 새벽마다 하느님 음성에 귀를 기울이시며 기도하셨듯이 성인들 또한 마찬가지였습니다.
우리 믿음의 조상들이 주님을 위해서 순교의 영광을 받은 것도 하느님 말씀에서 힘을 얻고 살았기 때문입니다. 걱정하지 말고 두려워하지 말고 주님의 말씀을 듣고 산다면 우리는 참으로 지혜롭고 하느님의 뜻에 순명하며 살고 참 행복을 맛볼 수 있습니다.
“누구든지 나와 내 말을 부끄럽게 여기면 사람의 아들도 자기의 영광과 아버지와 거룩한 천사들의 영광에 싸여 올 때에 그를 부끄럽게 여길 것이다.”(루카9,36)
주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그리스도인이 됩시다. 우리를 사랑해주신 분의 도움에 힘입어 그 어떤 어려움도 극복하는 그리스도인의 삶을 살아갑시다. 아멘
무태성당 이민락 라우렌시오 신부
첫댓글 + 찬미예수님
아멘 감사합니다 !!
순교자 성지를 방문하면 참으로 그들은 자신을 버리고 목숨까지 바치시며 주님을 따랐음을 알수 있습니다.
그들은 고통중에서도 주님의 십자가의 고통을 기억하고 일치이루고 그 구원을 믿어 구원의길로 생명의 빛으로 나이갔음을 묵상합니다.
조금만 힘들어도 십자가를 버리고 주님의 길에서 멀어지려는 저희의 나약함을 도와 주소서.
발목이 꿰뚤여 밧줄에 꿰여 끌여가신 윤봉문 요셉 복지님의 성인품에 올림받기를 기도 드립니다.
눈물로 씨뿌린 이들이 곡식단 들고 환호 하나이다.
저희도 복자님 본받아 깊은 신앙 갖게 하시고 그 복음을 전파하는 씨 뿌리는자 되게 하소서.
하느님 말씀을 듣고 성령의 은사를 입어 말씀으로 살게 하소서.
교회에 귀를 기울이고 성경을 읽고 우리 마음에 귀 기울이고 성체성사의 은혜로 제안에 살아계시는하느님의 뜻에 순종하여 복된 삶 살게 하시길 기도드립니다.
♡누구든지 내 뒤를 따라오려면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 .♡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