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비트코인 가격이 6000만원(약 666만엔) 고지를 넘어섰다. 올해 말 비트코인 급등은 내년 1월 미국에서 비트코인 현물가격에 연동되는 현물형 상장지수펀드(ETF)가 승인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내년 4월 비트코인 공급 반감기가 도래하는 점이 호재로 꼽히고 있기 때문이다. 11월에는 전 세계 비트코인 거래에서 원화 결제 비율이 43%로 미국 달러화(40%)를 넘어섰다. 한국인이 전 세계 비트코인 급등을 이끌고 있음을 의미한다.
[표] 한국의 개인투자자 수 추이
지난 2018년 초 암호화폐 열풍 당시 한 투자전문가는 "증시에서 박스권에 10년간 갇혀 있던 '세계 최강 투기 본능'의 봉인이 풀렸다" 고 진단했다. 진짜 그랬던 것 같다. 투기 열풍은 증시, 부동산 시장으로 옮겨갔다. 전지 관련주의 주가수익률이 330배에 달했다. 저위험·장기투자상품인 ETF가 한국에서는 투기상품으로 변질됐다. 주가 변동률의 2~3배 수익을 내는 레버리지 ETF 등이 거래 상위 종목을 독점하고 있다.
2030세대는 빚을 내서까지 부동산 투기에 나섰다. 집값이 정점을 찍은 2021년 서울 아파트 구입자의 42%를 20·30대가 차지했다. 안타깝게도 그 시기부터 집값은 하락세로 돌아선다. 작년 한 해 동안 30대 주택 소유자 중 이자 지급을 견디지 못하고 집을 내놓은 사람은 10만 6000명에 달했다. 그럼에도 올 들어 집값이 반등하자 20·30대는 75조원의 빚을 내 다시 집을 샀다.
빚지면서까지 투기로 치닫는 배경에는 3포 세대(연애, 결혼, 출산 포기), 삶에 대한 실망감, 자산에 따른 계급론 등 청년들의 절망이 도사리고 있다. 열심히 살아도 부모 세대와 같은 재산 형성 기회를 얻지 못할 것이라는 절망감이 일확천금의 꿈을 쫓게 한다. 하지만 투기로 인생역전의 꿈을 이룰 확률은 낮다. 밸류 투자로 알려진 벤자민 그레이엄은 "투자는 철저한 분석을 바탕으로 원금 안전과 적절한 수익을 추구하는 것이며, 그런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행위는 투기"라고 경고했다.
최근 병원 정신과를 찾는 20·30대 젊은이들에게는 투기중독 환자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SNS에서 투자 성공 사례를 보면 자신만 뒤처지지 않을까 두려워하게 된다. 자신도 성공 모델이 되려다 투기에 몰두하다 몸을 망친다. 주식투자에 미쳐 인생을 망칠 뻔한 젊은 정신과 전문의가 한 책을 썼다. 그의 결론은 욕망에 물든 대뇌피질로는 절대 투자에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