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번 이등(伊藤) 후작이 내한했을 때에
어리석은 우리 인민들은 서로 말하기를,
"후작은 평소 동양삼국의 정족(鼎足) 안녕을 주선하겠노라
자처하던 사람인지라 오늘 내한함이 필경은
우리 나라의 독립을 공고히 부식케 할 방책을 권고키 위한 것이리라."하여
인천항에서 서울에 이르기까지 관민상하가 환영하여 마지 않았다.
그러나 천하 일 가운데 예측키 어려운 일도 많도다.
천만 꿈밖에 5조약이 어찌하여 제출되었는가.
이 조약은 비단 우리 한국뿐만 아니라 동양 삼국이
분열을 빚어낼 조짐인 즉, 그렇다면 이등후작의 본뜻이 어디에 있었던가?
그것은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 대황제 폐하의 성의(聖意)가 강경하여
거절하기를 마다 하지 않았으니 조약이 성립되지 않은 것인 줄
이등후작 스스로도 잘 알았을 것이다.
그러나 슬프도다.
저 개돼지만도 못한 소위 우리 정부의 대신이란 자들은
자기 일신의 영달과 이익이나 바라면서 위협에 겁먹어 머뭇대거나
벌벌 떨며 나라를 팔아먹는 도적이 되기를 감수했던 것이다.
아, 4천년의 강토와 5백년의 사직을 남에게 들어 바치고,
2천만 생령들고 하여금 남의 노예되게 하였으니,
저 개돼지보다 못한 외무대신 박제순과 각 대신들이야
깊이 꾸짖을 것도 없다 하지만 명색이 참정(參政)대신이란 자는
정부의 수석임에도 단지 부(否)자로써 책임을 면하여
이름거리나 장만하려 했더라 말이냐.
김청음(金淸陰)처럼 통곡하여 문서를 찢지도 못했고,
정동계(鄭桐溪)처럼 배를 가르지도 못해 그저 살아남고자 했으니
그 무슨 면목으로 강경하신 황제 폐하를 뵈올 것이며,
그 무슨 면목으로 2천만 동포와 얼굴을 맞댈 것인가.
아! 원통한지고, 아! 분한지고. 우리 2천만 동포여,
노예된 동포여! 살았는가, 죽었는가?
단군.기자 이래 4천년 국민정신이 하룻밤 사이에 홀연 망하고 말 것인가.
원통하고 원통하다.
동포여! 동포여!
-장지연, '시일야방성대곡' 전문 <황성신문> (1905. 11. 20)
저 왜로 제국주의의 무단 강점의 역사를 벗고 찬란한
한 줄기 찬란한 광복의 빛을 밝힌 8월입니다.
이 무렵에 들어 현동 검문소를 죄회전하여
장지연로를 가는 마음은 참으로 갈래갈래입니다.
1905년 을사조약(앞으로는 을사억약이라고 해야겠습니다)으로
나라의 존망이 백척간두에 놓였을 때,
저 서설 푸른 칼 같은 사설로써 일제를 꾸짖고,
단장을 에이는 비통함을 토로했던 이가 바로 장지연입니다.
그러나 그로부터 5년 뒤 간학한 왜로놈들과 이완용을 비롯한
매국노와 부왜 위정자로 하여 우리 겨레는 경술국치의 치욕을 당하고,
45년이라는 암흑의 세월을 견뎌야만 했습니다.
위암 장지연(1864-1921) 선생, 그는 경상북도 상주 출신이지만
1909년 지역 최초의 신문인 경남일보를 창간하며 진주로 왔고
다시 1913년 우리 지역 마산으로 이주하여 수성동에 터를 잡고
마지막 생애를 보냈습니다.
그런 연유로 그의 무덤은 현동초등학교 뒷동산에 있고,
생애의 기간보다 훨씬 더 길고, 앞으로도 끝이 없을
사후의 역사적 시간을 우리 마산과 인연 맺고 있습니다.
참으로 자랑스러운 일이었지요.
그러나 올해는 장지연로를 지나는 마음이 그리 편치 못합니다.
최근 들어 민족언론인의 사표이던 그의 삶에도 친일이라는
훼절의 생채기가 점점 돋아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연인즉, 1915년부터 1918년 무렵까지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에 썼던 그의 사설들이 친일의 혐의가 짙은 까닭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그의 한생을 마치 무를 자르듯 쉽게
재단해버릴 일도 아니나, 또 눈 감고 그냥 지나치기도 어려워
참으로 답답하기 그지 없습니다.
왜로가 우리에게 안겨준 아픈 상처는 이렇게 광복 60년이
가까워져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요즘 우리 지역 사회에서 논란이 한창인 친일 시인 윤해영이
작사하고, 조두남이 작곡한 선구자의 노래나,
또 그를 기려 우리 마산에 세워졌다가 개관도 못하고 있는
조두남 기념관의 문제도 마찬가지지요.
어떤 식으로든 우리 시대에 엄중히 해결하고 넘어가지 않으면
안 되는 숙제입니다.
2003년 8월, 장지연로를 가며 역사란 무엇인지,
역사를 바로 세우는 일은 무엇인
지, 어떠해야 하는지 참으로 생각이 많은 날들입니다.
힘!..지금의 글로벌 스탠다드는 냉철한 힘의 논리죠.우리가 아무리 싫고 미워해도 일본은 문화적 자존심을 가진 경제 대국으로,중국은 문화 대국으로 세계가 인정 합니다.가는곳마다 저페니스..일본 아니면 중국에서 왔느냐고 묻습니다.더욱 어처구니 없는건 우리나라가 일본의 한 주로 알고있는 곳이 많습니다.
첫댓글 그 분들의 친일에 누가 돌맹이를 던질 수 있겠습니까?...지금 큰 돌을 던지는 그들이 그 시대에 살았더라면, 아마..더 큰 친일을 했을른지 누가 압니까?..그 시대를 살아 내야만 햇던 우리 민족의 비애죠!...우리 모두 힘을 기릅시다!!
힘!..지금의 글로벌 스탠다드는 냉철한 힘의 논리죠.우리가 아무리 싫고 미워해도 일본은 문화적 자존심을 가진 경제 대국으로,중국은 문화 대국으로 세계가 인정 합니다.가는곳마다 저페니스..일본 아니면 중국에서 왔느냐고 묻습니다.더욱 어처구니 없는건 우리나라가 일본의 한 주로 알고있는 곳이 많습니다.
경제 대국이 못되면 인구 대국이라도 되어야 하는건 아닌지 많이 낳아 새계에 퍼뜨려야 한다는 생각도 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