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마지막 애국자
靑巖 朴泰俊(청암 박태준) 전 포항 제철 회장의 생애
1927년 경남 동래군에서 태어난 그는 아버지를 따라 6세에 일본으로 건너가.
초 중 고교를 다녔고 와세다 대 공대 2학년 재학 중 해방을 맞아 중퇴·귀국했다.
육사 6기로 임관한 그는 6.25 전쟁 당시 경기 포천 지역 1 연대 중대장이었다.
군에서 충무무공훈장·화랑무공훈장을 받았고, 육군 대학 수석 졸업 후 최연소 육사 교무 처장,
1군 참모장 등을 지냈다.
🎯한국 현대사에서 권력· 부(富)의 중심
34세이던 1961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비서 실장을 맡은 그는 이후 50년 동안 요직(要職)을 맡았다.
육군 소장 예편→대한 중석 사장(3년)→포항 종합제철 사장·회장(25년)·명예회장→민정당 대표,·민자당
최고 위원,·자민련 총재· 4선(選) 국회의원→국무총리….
누가 봐도 한국 현대사에서 ‘권력과 부(富)의 중심에서 누릴 수 있는 걸 다 누린 인생’의 전형이다.
흔히 부패 인사, 독재자 같은 비난을 받기 십상이다.
그런데 ‘민족문학작가회의’ 고문을 지낸 좌파 진영 소설가인 조정래 씨는 “박 태준은 한국의 간디이다.
나는 그의 이름에 마하트마를 붙여 ‘마하트마 박’으로 부르고 싶다”라고 했다,
(2011년 12월 17일 서울 현충 원 영결 식장 ).
한 사람의 일생이 ‘성(聖)스러운’이라는 뜻의 ‘마하트마(Mahatma)’로까지 칭송받는 것은 여간 일이 아니다.
박태준 회장(이하 청암으로 호칭)에게 어떤 남다른 측면이 있는 걸까?
통상 대신(通商 大臣) 시절 포항 제철을 방문했던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일본 총리의 회고이다.
“내가 가장 인상 깊게 느낀 것은 종업원들이 너 나 없이 마음으로부터 박태준을 따르고 있다는 것이다.
나는 도저히 표현할 수 없는 감명을 거기서 받았다.”
🎯용광로 같은 애국심과 도덕성.
이는 청암이 자신의 좌우명(座右銘), 즉 ‘짧은 인생을 영원(永遠) 히 조국에’에 철저해
탁월한 업무 능력과 강력한 도덕성 없이는 나올 수 없는 평가이다.
그는 실제로 1964년 12월 국영 기업체인 대한 중석 사장을 맡은 지 1년 만에 만년 적자 (萬年赤字) 회사
를 흑자로 전환시켰다.
보통 4~5년 걸리는 종합 제철소 건설 작업을 제철소 구경조차 한 적 없는 38명과 함께 착공 3년 3개월
만에 완공하여 마쳤다.
조업 첫 해인 1973년 포항 제철은 매출액 1억 달러 순이익 1200만 달러를 냈다.
가동 후 50년 가까이 적자였던 일본 동종 업계와 비교하면 ‘기적’적인 일이다.
포항 제철은 세계 철강 사에서 제철소 가동 첫해부터 이익을 낸 유일한 기업이다.
청암은 제철소 공기(工期) 단축을 위해 하루 24시간 작업을 지시해 놓고 자신도 매일 3~4시간 잠자며
현장을 챙겼다.
1968년 포항 제철 출범부터 1992년 광양 제철소 2기 완공까지 그는 대부분의 시간을 가족과 떨어져
포항 효자동 사택과 회사에서 지내 ‘효자사(孝子寺) 주지 스님’으로 불렸다.
그는 ‘솔선수범’ 하는 경영자인 동시에 ‘무사욕(無私慾)’의 리더였다.
피와 땀을 쏟아 창업하고 성장시킨 포스코에서 25년 만에 물러날 때, 그는 한 주의 공로주(功勞株)는커녕
퇴직금 1원도 거부했다. 1988년 포항 제철 임직원 1만 9419 명에게 전체 발행 주식의 10%를 우리 사주
(社株)로 배정했을 때도 같았다.
명예 회장으로 복귀한 뒤 “노후를 생각해 조금이라도 스톡 옵션을 받으시라”는 주변의 권유에
그는 “포항 제철은 선조(先祖)의 피로 세운 회사이다.
공적인 일을 할 때 사욕(私慾)을 갖지 말라!”라고 일갈했다.
🎯주식· 퇴직금 ‘0원’... 73세에 전세 살이
“청암의 도덕성은 무서울 정도였다.
그분의 리더십 근간은 청렴결백(淸廉潔白)이었다” (황경로·포스코 2대 회장)는 증언 그대로이다.
인사 청탁과 금품 주고받기가 난무하던 1956년 11월, 그는 세칭 ‘노른자위’ 자리인 국방부 인사 과장이
됐다.
그러나 청암은 유혹 및 압력과 싸우다가 10 여 개월 만에 25 사단 참모 장 근무를 자원해 갔다.
포항 제철 사장 시절 아버지가 “문중 사람들을 좀 써주면 안 되겠냐”라고 하자, 청암은 그대로 방을 나와
회사로 돌아갔다.
1962년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준 하사 금을 합쳐 서울 북아현동에 집을 마련하기까지
그는 8년 새 15번 전세 집을 전전했다. 38년 간 살던 집을 2000년에 팔아 생긴 돈 14억 5000만 원 중
10억 원을 아름다운 재단에 기부하고 73세에 다시 전세살이를 했다.
그가 사후에 남긴 재산은 전무(全無)했고, 말 년에 생활비와 병원비는 자녀 5명(4녀 1남)의 도움으로
해결했다.
청암을 다룬 평전 <세계 최고의 철강인 박태준>의 저자인 이대환 작가는 이렇게 평가한다.
“단군 이래 최대 프로젝트였던 포항 제철 25년 동안 박태준은 한 푼의 비자금도 만들지 않았다.
이는 누구도 찬사를 보내지 않을 수 없는, 20세기 후반 한국사에 길이 기록될 업적이다.
이거야말로 박태준의 이름을 포철 용광로만큼이나 칭송(稱頌) 해야 할 일이다.”
🎯“천하는 개인 것이 아니다”...‘멸사봉공’
‘천하위공(天下爲公)·: 천하는 개인의 사사로운 소유물이 아니라 모든 이 [公]의것.
이 한 마디는 청암의 생애를 관통하는 또 다른 정신적 기둥이다.
1970년 포항 제철에 사상 처음 6000만 원의 보험 회사 리베이트 자금이 생겼을 때이다.
청암이 이 돈을 청와대로 들고 가 박정희 대통령에게 “포항 제철의 예산에서 빼낸 것이 아니고 공돈이니
통치 자금에 보태 쓰시라”라고 건네자, 박 대통령은 "임자 마음대로 써라”며 돌려주었다.
청암은 그러나 이 돈을 허투루 쓰지 않았다.
거기에 다 회사 돈을 더 보태 임직원 자녀들을 위한 제철 장학회를 세웠다.
이렇게 세운 학교만 포항과 광양에 모두 27개이다.
한국 기업 최초로 임직원 자녀 대상 전액 대학 장학금 제도와 한국 최초의 연구 중심 대학(포항 공대)은
이렇게 탄생했다.
국영 기업 최고 경영자(CEO)로 30여 년 재임하는 동안, 청암에게는 고가(高價)의 설비 구매나 원료 도입
결정을 둘러싼 정치 자금 협조와 인사 청탁, 리베이트 요청이 쏟아졌다.
하지만 그는 불법 뇌물인 정치 자금을 한 푼도 내지 않고 ‘정치 무풍지대’를 고수했다.
이는 최고 권력자인 박정희 대통령의 무한 신뢰에다가 청암의 ‘천하 (天下爲公)’ 정신이 어우러진 덕분이다.
청암이 현실과 적당히 타협했다면, 포항 제철은 부실 회사로 추락하거나 적자를 걱정하는 2~3류 기업이
됐을 것이다.
1965년 한일(韓日) 국교 정상화를 하면서 일본으로부터 받은 대일(對日) 청구 권 자금 일부로 세운 ‘국민
기업’이라는 칭호도 퇴색했을 게 분명하다,
장교 시절 당번 병을 쓰지 않았던 청암은 통행금지를 지키다가 첫 아이를 잃었다.
그는 멸사봉공(滅私奉公)과 선공후사(先公後私)를 입으로만 외치지 않고 국제 가격보다 20~40% 저렴하게
양질의 철강 제품을 국내 기업들에 공급하면서 흑자 행진을 이어가는 ‘제철 보국(製鐵報國) 경영’에 목숨을
걸었다.
그는 회사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우리가 실패하면 조상에게 엄청난 죄를 짓는 것이다.
그러면 모두 우향우(右向右)서 영일만 바다에 투신하자”라고 외쳤다.
불굴의 정신력으로 그때마다 새로운 돌파구를 열어갔다.
1979년 박정희 서거 후 청암은 “포항 제철을 정치 외풍에서 지키기 위해” 정치권에 발을 들여놨다.
1990년 3 당 합당 후 민정계의 수장 (首長·최고 위원)이 된 그는 김영삼 대통령 후보와의 불화로 1992년
말 민자당 최고 위원 ·포항 제철 회장·국회의원직에서 모두 물러났다.
소설가 조정래 씨는 다른 추도 문에서 이렇게 적었다.
“너나없이 돈에 홀려 정신 잃은 세상에서 박태준의 길을 따라가기란 너무 어렵고, 어쩌면 그분은
이 시대에 마지막 애국자인지 모른다. (중략)
정직·청렴한 그분을 바로 아는 것은 우리들의 삶을 바르게 세우는 길이다.”
🎯성숙한 일본관... 지일과 용일 `극일(知日과 用日·克日)
청암이 남다른 세 번째 측면은 성숙한 대일(對日) 자세이다.
일제 강점기에 ‘식민지 백성’으로서 일본에서 청소년 시절을 보낸 그에게는 ‘평생 잊지 못할’ 기억
두 개가 있다.
이야마 북중학교 1학년 때 교내 수영 대회에서 1등을 했지만 ‘조선인’이란 이유로 일본인 심판의 편파
판정으로 우승을 빼앗긴 일과, 2차 세계 대전 종전 무렵 도쿄 시내에 미군의 폭탄이 쏟아지던 날
방공 호에서 겪은 일이다,
“그때 방공 호는 질서가 정연 했다.
노인들, 특히 할머니들이 나섰다.
‘젊은이는 안으로 들어가라. 위험한 곳은 우리가 막는다. 왜 책을 들고 오지 않았느냐?
젊은이는 책을 펴고 공부해라.’ 방공호 입구에 천막이 쳐지고 젊은이가 모인 제일 안쪽엔 두 개의 촛불이
켜졌다."
청암은 “1등을 빼앗겼을 때 가슴속이 끓었지만 참고 다스렸다”며 “방공 호에서 할머니의 질책을 들었을
땐 식민지 청년으로서 고국(故國)에 대한 책임감에 몸서리쳤다”라고 했다.
그는 일본이 준 분노는 참고, 감동은 받아들여 조국 재건을 위한 동력으로 삼았다.
일본에 대한 그의 진면목(眞面目)은 포항제철 건설 자금 마련을 위한 협상에서 드러났다.
박정희 정부는 1965년부터 종합제철소 건설을 추진했고, 이듬해 11월 미국·영국·독일 등 5개국 8개 회사
연합 체인 대한(對韓) 국제 제철차관단(KISA·Korea International Steel Associates)이 발족했다.
KISA는 그러나 1969년 상반기 “한국에서 종합 제철소 건설은 채산성이 없다”며 ‘최종(最終) 불가(不可)’
결론을 내리고 붕괴했다. 세계은행(IBRD)도 마찬가지였다.
한국은 제철소 건립 자금을 모을 방법이 없는 고립무원(孤立無援) 처지가 됐다.
여기서 청암은 ‘농림 수산업 지원 용도’로 정해져 있는 대일(對日) 청구 권 자금을 포항 제철 건설 자금으로
일부 전용(轉用)하자는 아이디어를 냈고 자신이 ‘해결 사’로 나섰다.
이 제안에 완강하게 반대하던 오히라 마사요시 대장 상(大藏相·우리나라의 기획재정부 장관)을 1969년
8월 1주일 동안 세 차례 만났다.
청암은 일본 정부 간행물 보관소를 찾아 샅샅이 뒤져 일본 사례를 분석한 뒤
“한국에 제철소를 지으면 일본 안보에 큰 도움 된다”는 논리를 설파해 설득해 냈다.
전 세계가 하나같이 “한국에서 제철 산업은 ‘절대 불가능’하다”라고 할 때, “난국에 빠진 조국을 구하겠다”는
청암의 순정하고 강렬한 애국심이 일본 지도층을 감복시킨 것이다.
그의 완벽한 일본어와 일본인의 문화적 특성과 심리를 꿰뚫는 실력도 이를 뒷받침했다.
당시 그를 만났던 후쿠다 다케오 전 일본 총리는
“나는 박태준의 단호함에 너무 놀랐고, 그래서 당신이라면 가능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라고 했다.
감정적인 반일(反日) 데모가 끊이지 않던 1960~70년대, 청암은 “일본을 알고 일본을 활용해 일본을
극복하자”는 ‘지일(知日)·용일(用日)·극일(克日)’의 3단계 일본 관을 주창했다.
청암은 포항 제철의 ‘스승’이던 신 일본 제철을 1990년대 추월해 그 타당성을 증명해 냈다.
불굴의 용기와 투지로 청암이 이뤄낸 한·일(韓日)의 협력 모델은 대한민국의 진정한 산업화와 선진화를
추동시킨 출발점이었다.
현해탄(玄海灘·대한해협) 양쪽에 자유민주·시장경제라는 동일 가치관을 바탕으로 한국은 일본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고도성장을 질주한 것이다.
🎯“후세 경영자들에게 살아있는 교본”
1978년 중국의 덩 샤오핑이 이나야마 요시히로 신 일본제철 회장을 만나
“중국에도 포항 제철과 같은 제철소를 지어 달라”라고 하자, 요시히로 회장은 “중국에는 박태준이 없지
않습니까”라며 정중히 거절했다.
이 일화는 박태준이 한국을 넘어 최소한 아시아 적 인물임을 보여준 것이다.
그가 세우고 이끈 포항 제철은 그의 생전에 품질 경쟁력 세계 1위 철강 사가 됐고,
양적으로도 1975년 세계 46위에서 3위(1989년), 1위(1997년)로 급부상했다.
그가 없었다면, 한국 조선,·자동차,·기계,·건설 산업의 성장과 대한민국의 세계 경제대국으로 도약은
한낱 ‘꿈’에 그쳤을지 모른다.
철강 불모지라는 ‘절대 절망’에 좌절하지 않고 ‘세계 1등’과 ‘초격차 경영’을 선구적으로 이뤄낸 박태준은
“후세의 경영자들을 위한 살아있는 교본” (이병철 삼성 그룹 창업주)이다.
그는 1977년 8월 상당한 자금을 들여 공정률 80%에 달하던 건물의 부실(不實)을 발견하고 서슴없이 폭파
명령을 내렸다.
그러면서 “조국의 백년대계가 여기서 출발한다.
이것은 폭파가 아니라 나라의 운명을 좌우하는 기폭제다”라고 했다.
🎯“현장의 선비”... 한국 리더들의 ‘롤 모델’
청암에게서 양보할 수 없는 기준은 선조들의 피 값과 후손들의 미래라는 대의(大義)였다.
그렇기에 그는 어떠한 부실이나 부정(不正) 불의(不義)와 거래하거나 눈 감기를 단호하게 거부했다.
송복 연세 대 명예교수의 지적이다.
“한국의 저명인사들은 모두 강당에서의 선비이고, 책 속의 선비, 말속의 선비였다.
그러나 박태준은 지(志)와 의(義), 그리고 렴(廉)과 애(愛)를 행동으로 실천한 ‘현장의 선비’이다.”
세계 어느 나라 보다 돈에 대한 집착과 사익(私益) 추구가 심한 한국에서 청암은 국민의 사표(師表)이자,
리더들의 롤 모델(role model) 일 수 있다.
그가 스스로 평생 붙잡아 온 4가지 화두를 보면 더 분명해진다.
①짧은 인생을 영원 조국에.
②절대 절망은 없다.
③어느 분야든 세계 1등이 되자.
④10년 후를 내다보라.
2024년 올해는 마침 청암이 이 땅을 떠난 지 13년, 우리나라 최초인 포항 제철 고로(高爐·거대한 용광로)
에서 쇳물을 처음 쏟아낸 지 반세기(半世紀)를 맞는 해이다.
위대한 애국자였든 청암의 혼을 애도하면서...
**이메일 받은 글 편집**
[출처] 작성자 소중한 사람
첫댓글 충분히 위인의 반열에 오를 만한 분이시군요
귀한정보 감사 합니다.
노병 님! 작금의 정치 단면을 보면 생각나는 분이 많이 계시지요.
생각나는 분들과 지금의 정치가들의 면면을 보면서 가장 크게 느끼는 것은
과거의 몇 몇 분은 오직 국가와 민족을 위해서 사리 사욕 없이 사신 반면
지금의 정치가들은 국가도 없고 국민도 없고 이기주의 사리사욕에 얽매어 산다는 거지요.
고 박 태준 회장 님처럼 청렴한 정치가가 왜 나오지 않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