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에 살고 있는 서울시교육감 후보자 고승덕의 딸 고캔디가
2014년 6월 4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서울시민들에게 보낸 글.
2014년 5월 30일 밤 10시 40분에 뉴욕에서 작성한 것이며
출처는 고캔디의 아래 페이스북입니다.
https://www.facebook.com/kohrea/posts/644084657096
To the Citizens of Seoul
I am not a citizen of your city, but I write you today out of urgency and dire concern for the future of your city’s education system. My name is Candy Koh, once known as Hee Kyung Koh during my residence in South Korea from the year 1991 to 1998. I am the first of two children between Yooah Park and Seung Duk Koh, a candidate for Seoul’s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 the current elections. When his candidacy came to my attention recently, I could not, in good conscience, stay silent as his child. Seoul’s citizens deserve know the truth about the person they may be choosing to represent and be in charge of Seoul’s education system: Seung Duk Koh never partook in the education of his own children. I was born in Cambridge, Massachusetts in 1987 while my mother and Koh were still married. After my brother was born in New Jersey in 1991, we all moved to Korea. I have next to no memories of his being present to teach me or my brother anything, even when I was old enough to have such memories. When my mother brought me and my brother to the U.S. to send us to a school in New York, Koh stayed in Korea and also decided to stop contacting us altogether. I was still only 11 years old when I had to get used to a life without a father. I missed out on Father’s Day every year. I hated it when people asked me where my father was or what he did and I eventually began to reply that I do not know, because he never told me. Despite the existence of a telephone and Internet, Koh never called me or my brother to ask how we were doing. Asking for a call or gifts on our birthday was not even in the scope of our imagination because he did not acknowledge his own children’s existence. Of course he never supported our education in any way, including financially. Despite this, I was able to go through college and graduate school as one of the top students in my class. To better apply my interest in public service, I also plan to begin law school in the fall! with a merit scholarship. I am proud that I have managed to achieve t his much without my biological father. I could not have done it without my mother who single-handedly raised both her children or my maternal grandfather my mother’s father who provided me the psychological support of a father throughout my life until he passed. Meanwhile as I grew up in the U.S. I saw through the Korean media that Koh would give lectures to children on how to study or how to “succeed.” I also saw that he spoke to parents on how best to educate their children. When I first saw the latter in the early 2000s, I became angry, as he did not educate his own children, but rather completely disregarded them. However, I was still a child, barely in my teens, and I was also living in the U.S. What could I do? I felt that I had no choice but to keep silent. Despite seeing the praises he received from many Koreans for his achievements and so-called brilliance, I kept silent because I did not think my voice mattered. I am also an American and perhaps felt I had no business engaging in dialogues particular to the Korean political scene. However, Seung Duk Koh’s running for the seat as Seoul’s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s crossing the line. For me to keep silent here would be to deceive the citizens of Seoul. As a child he neither educated nor rarely even spoke to, I must inform the citizens of Seoul that he does not qualify for this position. If the role of a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s to look after the educational policies and systems of a city, Seung Duk Koh is a stranger to this role. How can he act as the leader of education for a city when he is unwilling to teach his own flesh and blood?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the world. It shapes people in whose hands the future liesthe future of your city, your nation, and the world. I, his own daughter, never received support from him for my own education. As a former citizen of Seoul still with many friends who reside there, I trust that you will make the right decision for the future of your city and choose a candidate better suite d for the position: someone who truly cares about the Seoul’s education system and someone who begins by caring for those nearest to him, his own children.
Sincerely.
Candy Koh
서울시민들께
저는 서울시민이 아니지만 서울의 교육시스템과 미래에 대한 걱정과 염려에 이 편지를 씁니다. 제 이름은 '고캔디'이고 1991년부터 1998년까지 한국에서 사는 동안은 '고희경'이란 이름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저는 이번 서울교육감후보인 고승덕 후보와 박윤아 씨 사이의 두 자녀들 중 장녀입니다. 저는 그의 자식으로서 그의 후보 소식이 들려왔을 때 스스로의 양심에 따라 조용히 있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서울시민들은 앞으로 그들 도시의 교육시스템 책임자를 뽑는 자리에 있어서 진실을 알 자격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고승덕은 그의 친 자식들의 교육에 전혀 관여한 적이 없습니다. 저는 1987년 캠브리지 메사추세츠에서 저의 어머니와 고승덕이 결혼하였을 당시 태어났습니다. 제 남동생이 1991년에 태어난 후 우리가족은 한국으로 귀국해서 살았습니다. 제가 아주 어렸을 적부터 기억이라는 것을 하게 되는 나이가 될 때까지도 고승덕은 저와 제 남동생에게 그 어떤 것도 가르치고 교육하려 하지 않았습니다. 어머니가 저와 남동생을 데리고 미국에 가서 뉴욕의 학교에 보낼 때에도 고승덕은 한국에 머물러 있었으며 우리와의 연락을 다 끊기로 결정까지 했습니다.
저는 고작 11살이 되었을 때 아버지가 없는 삶에 익숙해져야 했습니다. 저는 아버지의 날(미국에는 어머니의 날과 아버지의 날이 따로 있음) 행사에 매년 불참했습니다. 주변 사람들이 저의 아버지가 어디 있는지, 무엇을 하는지 묻는 것은 끔찍했고 나중엔 '아버지가 나와 말을 한 적이 없으니 나도 모르겠다'고 답변하게 되었습니다. 인터넷과 전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승덕은 저와 제 남동생에게 단 한 번도 연락을 하거나 어찌 지내는지 물어본 적이 없습니다. 그에게 있어서 자식들이란 안중에 없는 존재였으므로 전화 한 통이나 생일선물을 기대하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당연히 그는 우리의 교육을 전혀 책임지지 않았고 금전적인 도움조차 준 적이 없습니다. 이런 삶에도 불구하고 저는 대학교와 대학원의 동기들 중에서 손꼽히는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습니다. 저는 저의 복지서비스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이번 가을에 성적우수 장학금으로 로스쿨에 입학할 예정입니다. 생물학적 아버지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저는 제 자신이 이만큼 이루어 낸 것에 자긍심을 느낍니다. 혼자의 몸으로 저와 남동생을 키워 오신 어머니와 돌아가시기 전까지 저에게 실질적인 아버지로서의 심리적인 지지대가 되어주셨던 외할아버지가 아니었다면 이 모든 것을 이루어내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그 동안 저는 미국에서 자라왔으나 한국의 미디어를 통해서 고승덕이 아이들에게 어떻게 공부하는지, 어떻게 성공하여야 하는지 가르치는 것을 봐왔습니다. 또한 그가 부모들에게 자식들을 어떻게 잘 교육시켜야하는지 이야기하는 것도 봤습니다. 제가 그 부모들과의 대담을 2000년 초반에 처음 목격하였을 당시 저는 고승덕 그 스스로가 자신의 자식들을 전혀 교육시키지 않았고 심지어는 완전히 무시하며 지내왔다는 걸 알기에 매우 분노하였습니다. 그러나 저는 그 당시 10대에 불과한 어린아이였으며 미국에 살고 있었으므로 무엇을 할 수 있었겠습니까.
저는 제가 그저 침묵하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 일이 없을 거라 느꼈습니다. 그간 고승덕이 많은 한국인들에게 그가 이루어낸 일들과 소위 말하는 빛나는 삶으로써 입에 오르내리는 것을 봐왔으나 저는 계속 침묵을 지켰고 제 의견은 아무런 상관이 없을 거라 생각했습니다. 저는 미국인이며 한편으론 제가 한국의 정치적인 일에 연루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해서였습니다. 그러나 이번 고승덕의 서울교육감후보직은 도를 넘어섰습니다. 이번 일마저 넘어가기엔 서울시민들을 우롱하는 거라 생각하였습니다.
고승덕 그가 한 번도 이야기해 본 적도 가르쳐 본 적도 없는 아이로서 저는 서울시민들께 그는 교육감에 걸맞지 않는 사람이란 걸 알려드립니다. 이 교육감이란 자리가 도시의 교육시스템과 정책을 보살피는 자리라면 고승덕은 정말로 이상한 후보입니다. 그의 친자식조차 가르치지 않은 사람이 어떻게 도시의 교육을 책임지는 리더가 될 수 있다는 겁니까. 교육은 이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 중 하나입니다. 교육은 미래를 만들어나가는 사람됨을 다듬는 요소이며 이는 당신의 도시와 나라와 세계의 미래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고승덕 후보의 딸로써 저는 그에게서 교육적인 면에서 그 어떤 도움을 받아본 적이 없습니다. 많은 옛 친구들을 서울에 두고 있는 전 서울 시민들이 도시의 미래에 관해 더 올바른 결정을 내리고 교육감이란 자리에 더 알맞은 후보를 고르리라 믿습니다. 그 후보는 필히 서울의 교육시스템을 진정으로 생각하고 그 시작으로서 가장 가까운 존재인 자식들 또한 신경 쓸 줄 아는 사람이어야 할 것입니다.
고캔디
첫댓글 허~~참 말문이 막히네요...딸이 보낸 글이라고 해서
아버지 편을 드는줄 알았는데 정반대네요...
다른 사람은 속여도 가족은 속일수없는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