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신 상관 알아보기
1. 식신
1) 식신의 의미
식신(食神)은 ‘밥신’이라는 뜻입니다. 즉 나에게 영양분을 주고 의식주의 혜택을 제공해주는 기운입니다. 주로 먹는 행동, 수명, 사회활동, 의식주 활동을 의미합니다. 가족으로 보면 남자는 조모, 장모, 손자, 사위에 해당합니다. 여자는 딸, 조모, 시누이남편에 해당합니다. 사회적으로 보면 아랫사람, 수하인, 부하직원, 애완동물에 해당합니다. 재능, 재주, 건강, 생산력, 의식주, 진로, 노력, 성적능력, 표현력, 발표력, 필설 등에 해당이 됩니다.
2) 식신의 작용
사주에서는 나의 기운을 조절력 있게 배출하는 행위가 됩니다. 조절력이 있게 배출하는 행위는 의식주 활동이고 사회적으로 정당한 활동을 의미합니다.
의식주 활동이란 기본적으로 먹는 행위, 건강 활동, 성적능력, 생업활동 등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식신이 건강하면 건강과 수명이 좋다고 합니다.
사회적인 활동이란 재능, 표현력, 생산능력 등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적극적인 사회참여와 관계가 많이 있습니다.
건강하고 수명이 좋으므로 성품적으로 낙천적, 온화, 여유, 호인의 모습입니다. 예의바르고 조절력이 있습니다.
먹고 마시고 낙천적이고 호인의 모습이니 다소 풍류 적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대인관계도 대체로 원만하고 합리적인 처세술도 가지고 있습니다.
2. 상관
1) 상관의 의미
상관(傷官)이라는 의미는 ‘官을 상하게 한다.’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官이라 함은 정당한 책임, 정당한 의무, 공공성, 공익성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규율 등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官은 관청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官을 상하게 한다는 것은 조절력을 잃어버린 자유분방함이나 방임이게 됩니다. 식신처럼 생산력에 해당이 되나 조절력을 잃어버린 것이므로 무분별한 과잉행동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가족적인 의미에서는 남자는 조모, 장모, 손자, 사위에 해당합니다. 여자는 아들, 조모, 시누이남편에 해당합니다. 사회적으로는 아랫사람, 수하인, 부하사원에 해당합니다. 재주, 재능, 생산, 과잉 행동력, 진로, 개발, 유행, 무분별한 성적능력, 끼에 해당이 됩니다.
2) 상관의 작용
식신이 조절력이 있는 배출행위라면 상관은 조절력을 잃고 과잉배출행위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무분별한 행위, 과잉행동의 의미가 강합니다. 나머지는 식신과 비슷한 의미를 갖습니다.
의식주 활동이라는 기본적인 속성위에 추가적으로 부가가치 행위, 기능기술 행위가 더 들어간 형태가 됩니다. 즉 과잉행동의 의미를 추가하여 보면 됩니다.
사회적인 활동에도 과잉의 성분이 들어가게 되므로 정신적인 생산 활동에 행동적인 생산 활동이 추가된 의미로 보면 됩니다. 그래서 단순한 생산이 식신이라면 생산가공은 상관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한 의미의 재능, 표현 등이 됩니다.
낙천성이 과잉이 되므로 비판적으로 변하게 됩니다. 조절력이 있는 행동이 과잉이 되므로 사사건건 참여, 참견하기를 좋아합니다. 그래서 안하무인의 성격에 호승심이 대단하게 됩니다.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고 독설을 날리기도 합니다.
정상적인 배출을 뛰어넘으니 천재성을 보이기도 합니다. 추진력이 강하고 순간적인 재치가 뛰어나므로 임기응변에 대단히 강합니다. 어디로 튈지 모르는 면을 가지고 있어 대체로 불안함이 많습니다.
정상을 넘어 특수성을 갖게 되므로 자만심에 자주 빠지게 되므로 남을 우습게 여기기도 합니다. 일반적인 것을 지루해하기도 합니다.
3. 식신과 상관의 비교
식신이 조절력이 있는 배출행위라면 상관은 무분별한 배출행위입니다.
식신이 순수한 생산이라면 상관은 생산가공입니다. 즉 상관은 생산물에 과잉으로 부가가치를 부여하는 행위입니다.
식신이 활동력이라면 상관은 행동력이 됩니다. 즉 상관은 식신에 인위적인 의미가 더 추가되는 형태가 됩니다.
식신이 육성(育成)이라면 상관은 조성(造成)이 됩니다.
4. 식상 무자(無字)
활동성이 부족해지고 소극적인 모습이 됩니다. 표현력, 발표력, 생산력에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食生財로 연결이 안 될 경우에는 官을 써야하는 형태로 전환이 됩니다. 그래서 직장인 팔자가 되기도 합니다.
여자의 경우에는 자식생산의 인자가 약하게 됩니다. 이것은 성적인 매력이 낮다는 의미도 되므로 대체로 배우자를 붙잡아 두는 기술이 떨어지게 되어서 가정불안인자가 되기도 합니다.
외부적인 통제에 대해서 적극적인 대응이 부족해지므로 정신적, 신체적인 답답함을 가지고 있게 됩니다.
식상은 활동력 그 자체이므로 활동력이 없다는 것은 건강이나 수명의 불안인자가 되기도 합니다.
첫댓글 식신이 육성(育成)이라면 상관은 조성(造成)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상관(傷官) 의미는 ‘官을 상하게 한다.’ 입니다.~ 감사합니다.
식상은 삶의 흔적 똥 싼 자리라 했거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