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는 오랜 기간에 많은 변화를 거쳐 만들어지며 아주 넓은 지역에
여러 민족에 사용되는 글자라 지역이나 시대에 따라
그 의미가 다소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가 허다하니
하나의 한자가 오로지 한 가지 뜻만 가지는 것이 아니라
어려가지 복합 적인 의미와 용도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좁은 우리나라에서도 전라도도 말과 경상도 말이
서로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도 종종 있으며
옛말과 현대의 언어도 다르기도 한 것을 보면
중국같이 넓은 나라에, 한자의 역사를 본다면 더 크게 다를 수도 있는 것이죠.
그래서 똑같은 한자 하나를 놓고도 어떤 자전에서는 그 뜻이 이렇다하고
또 다른 사전에서는 저렇다 하고
한자의 음운이 자전마다 각기 다르니
일반인은 본인이 알고 있는 한자를
다른 사람은 다른 음운으로 말 하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抒라는 한자를 예를 들어본다면
抒는 펴다, 펼치다, 풀다, 베풀다, 쏟아놓다, 토로하다,
누그러트리다, 덜 다, 퍼내다 등의 의미로
물질적인 것을 풀어 놓거나 펼쳐 놓음을 의미하기도 하며
마음이나 뜻을 펼친다는 뜻으로 사용되며
서정시라고 할 때도 이 글자를 사용합니다.
그러니 ‘펼 서’라고 해도 되고, ‘풀 서’라고도 하는 것이며
어느 한가지로 국한 된 것이 아니며
또 '펼치다'라는 의미를 가진 글자도
인명용 한자 중에도 敍, 舒, 抒, 敍, 叙 등 4개나 됩니다.
說이란 글자는 뜻도 여러가지지만 발음도 여러가지가 됩니다.
'말씀 설'이라고도 하고, '달랠 세', '기쁠 열','벗을 탈' 탈이라고도 하며
다 맞는 말입니다.
그러니 한개의 한자가 뜻도 아주 여러가지인 경우도 많고
발음도 두 가지 이상인 경우도 허다하니
본인이 알고 있는 한자의 음운이 전부도 아니고 오로지 그것만이 전부가 아니며
어느 한 자전의 내용이 다른 자전과 음운이 똑같지도 않으며
한 개의 한자가 문장이나 문맥에 따라 각기 다른 의미나
다른 음으로 읽힘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두개 이상의 발음으로 읽혀지는 글자도
이름에 포함되어 사용 될 때는 내가 등록한 그 발음이 고유한 발음이 되나
다른 사람이 읽는데는 혼동의 우려가 있으니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성명학적으로 큰 흠이 되는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수도 있습니다.
추가로 한자의 뜻을 가지고 이름이 좋다, 나쁘다는 말을
함부로 하는 경우도 있는데
한자를 이름에 사용할 때는 좋은 의미로 사용 하는 것이니
두 글자의 좋은 의미로 이름의 뜻을 부여해 주면
그것이 하나의 단어로서 의미를 가지는 것입니다.
그러니 의미나 용도가 다른 것을 하나만 별도로 떼어내서
그 글자의 의미가 흉하다고 흠을 잡는 것은
트집을 잡기 위한 트집입니다.
그렇게 트집을 잡으면 이름이 사용할 수 있는 글자는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일반인들은 이름을 보고 단순히 어감이 좋거나
한자의 뜻이 좋은 이름이 좋은 것으로 느껴지나
성명학에서는 한자의 뜻은 흉하지만 않으면
그 뜻이 좋고 나쁨으로 성명학적인 점수를 논하지는 않으며
이왕이면 뜻이 더 좋으면 좋다는 정도로 봅니다.
한자의 뜻보다는 발음이나 획수, 자원오행, 사주와의 조화 등
한자의 뜻보다 더 크게 중요한 것이 아주 많으니
한자의 뜻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저 동일한 조건이라면 뜻이 좋은 것이 더 좋다는 정도로 봅니다.
첫댓글 정말 고맙습니다, 안심이 되고 기분이 좋네요^^ 번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