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춘수의「꽃」 / 임보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香氣에 알맞는/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꽃」전문
「진달래꽃」이 소월에게 명성을 안겨준 것처럼 독자들로 하여금 김춘수(金春洙 ; 1922~2004)를 기억하게 만든 작품은 바로 이 「꽃」이라고 할 수 있다. 비교적 초기에 제작된 이 작품은 작자의 개인적인 기호와는 무관하게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사실 김춘수 자신은 이 작품에 대해 별로 의미를 부여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그가 지향해 왔던 무의미 계열의 작품들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소녀적 감성에 호소하는 센티멘털한 낭만적 작품이기는 하지만 사랑과 존재의 의미를 환기시키는 가작으로 평가할 만하다. 작품의 의미 구조는 다음과 같이 단순하다.
1) 내가 그의 이름을 부르기 전 그는 ‘몸짓’에 불과했다. 2) 내가 그의 이름을 부르니 그는 나의 ‘꽃’이 되었다. 3) 누가 내 이름을 불러다오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4) 우리들은 서로에게 그 무엇― ‘눈짓’이 되고 싶다
감정의 갈등이나 정서의 굴절 같은 것도 별로 보이지 않는다. 내가 대상(그)을 인식하기(이름을 부름) 전에는 대상은 나에게 아무런 의미도 없는 존재(몸짓)였으리라. 내가 대상을 인식하고부터 나와 대상의 관계는 새롭게 이루어지고 대상은 비로소 나에게 가치 있는 존재(꽃)로 드러나게 된다. 존재의 가치는 서로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타자의 인식에 의해 나의 존재 의의도 드러내고 싶다. 누군가의 사랑을 받으며 나도 그의 소중한 존재이고 싶다. 우리들은 서로에게 소중한 존재로 자리하고 싶다. 대강 이러한 의미를 지닌 작품이다.
그렇다. 세상에는 많은 사람들이 존재하지만 그들 모두가 나에게 한결같이 소중하지는 않다. 나와 어떤 관계를 갖느냐에 따라 나에게 소중한 존재가 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 그 관계는 나의 관심의 소산이다. 내가 어떠한 관심을 갖느냐에 따라 우리는 연인이 될 수도 있고 생면부지의 남으로 머물고 말 수도 있다. 사물과 나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내 정원에 옮겨 심은 한 그루 매화나무는 내게 소중한 존재가 되지만 내 시야 밖에 자리한 이역의 수많은 수목들은 내게 별 의미가 없다. 나도 다른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싶다. 그래서 그의 소중한 존재로 사랑 받고 싶다. 이 작품은 이러한 우리의 보편적이고 근원적인 욕망을 노래하고 있으므로 많은 사람들의 흉금을 울린 것으로 보인다.
이 「꽃」은 시집 『꽃의 소묘』(1959),『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1959)등에 수록된 것과 1982년 이후에 간행된 전집들에 수록된 내용이 약간의 차이를 지닌다. 끝에서 두 번째 행의 ‘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가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로 바뀌고, 마지막 행의 ‘의미’가 ‘눈짓’으로 교체되었다. 뒤에 출간된 전집의 작품을 개정된 정본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런데 아무래도 그 ‘눈짓’이라는 시어가 마음에 좀 걸린다. ‘의미’라는 관념어보다는 감각적이라고 생각해서 그렇게 바꾸었을지 모르지만 작품 전체로 보았을 때 조화롭지 못한 것 같다. 제1연에서의 ‘몸짓’은 부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데 비해 제4연의 ‘눈짓’은 긍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물론 ‘몸짓’은 무의미한 형상쯤으로 이해할 수 있고, ‘눈짓’은 서로의 영교(靈交)나 전심(傳心)의 동작쯤으로 해석을 못 하는 바는 아니다. 하지만 규모가 큰 ‘몸짓’을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하면서, 규모가 작은 ‘눈짓’을 궁정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어딘지 좀 어색해 보인다. 뿐만 아니라, ‘눈짓’은 앞의 제2, 3연에서 제시된 ‘꽃’에 상응한 소중한 존재를 표상해야 하는 시어다. 아니, 꽃보다도 오히려 더 강렬한 느낌을 주는 시어가 ‘눈짓’의 자리에 놓였어야 하리라. 그래야 제4연의 제2행에서 ‘무엇’이 되기를 강조하는 문맥에도 어울린다. 그런데 그 ‘무엇’을 ‘눈짓’이라고 명명하며 마무리를 짓는 것은 실로 맥이 풀리는 서술이 아닐 수 없다. 계속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이 단조롭다고 생각되어 ‘꽃’ 대신 아마 ‘눈짓’을 끌어다 썼으리라. 추상적인 말이기는 하지만 차라리 ‘사랑’이나 ‘생명’쯤으로 바꾸어 썼더라도 오히려 더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게 바꾸어 놓으면 너무 통속적인가? 그렇다면 좀더 적절한 다른 시어를 찾아내지 못할 것도 없으리라. ‘눈짓’보다는 좀 덜 간지러운 말로… |
첫댓글 몸짓, 눈짓...무엇이랴~~꽃의 화사함인가? 영롱함인가? 심층깊은 해석에 감사드리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