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나주김씨 총친회 카페
본관연혁
나주(羅州)는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 지역으로 백제 때 발라군(發羅郡)으로 불렸고, 뒤에 죽군성(竹軍城)으로 바뀌었다. 백제 멸망 후 당나라가 이곳에 대방주(帶方州)를 설치하였으며, 686년(신라 신문왕 6)에는 통의군(通義郡)으로, 757년(경덕왕 16) 이후로는 금산군(錦山郡) 또는 금성군(錦城郡)으로 부르며 무주(武州: 光州)의 관할로 두었고, 회진현(會津縣)·여황현(艅艎縣)·철야현(鐵冶縣) 등이 부속으로 영입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나주로 지명이 바뀌었고, 983년(성종 2)에 나주목이 설치되었다. 995년(성종 14)에는 나주진해군절도사(羅州鎭海軍節度使)가 되었다. 1018년(현종 9) 다시 나주목으로 고쳐 5개의 속군(무안·담양·곡성·낙안·남평)과 11개의 속현(철야·반남·안노·복룡·원율·여황·창평·장산·회진·진원·화순)을 거느렸다. 1310년(충선왕 2)에 지주사(知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목으로 승격하였다. 고려·조선시대를 통하여 주로 목(牧), 부(府)로서 전남지역 행정의 중심지를 이루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로서 나주군 등을 관할하였고, 1981년 나주읍과 영산포읍이 통합하여 금성시로 승격하여 나주군에서 분리되었고, 금성시는 1985년 나주시로 개칭되었다. 1995년 나주시와 나주군이 통합되어 나주시로 개편되었다.
성씨의 역사
나주김씨 시조 김운발(金雲發)은 경순왕의 둘째 아들인 김굉(金鍠)의 첫째 아들이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의하면 아버지 김굉은 신라가 망하자 가야산(伽倻産) 해인사(海印寺)로 들어가 삭발을 하고 법명(法名)을 범공(梵空)으로 하고 불가에 귀의(歸依)하였는데, 그가 입산하기 전에 고려에서 두 아들을 예우하여 첫째 아들 김운발(金雲發)은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나주군(羅州君)에 봉해졌으며, 둘째 아들 김우발(金雨發)은 경주군(慶州君)에 봉하였다고 한다. 이 후 후손들은 김운발을 시조로 삼고 나주(羅州)를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분적종 및 분파
나주김씨는 불복여조 입산위승 수작불수(不服麗朝 入山爲僧 授爵不受)의 정신을 자랑으로 삼고 있다.
주요세거지
전라남도 무안군 일원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증약리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견동리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대학리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오용리
평안남도 성천군 통선면 덕암리
평안북도 태천군 강동면 덕화동
평안북도 영변군 태평면 관상동
평안북도 박천군 서면 운포동
평안북도 창성군 신창면 신안동
함경북도 성진시 성현동
인구분포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나주김씨는 14,387가구 총 46,420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 《자랑스런 나의 족보》 (뿌리찾기운동본부, 2000)
- 《조선씨족통보 (朝鮮氏族統譜)》 (윤창현, 보명사, 1929)
- 《한국인의 성보(姓譜)》 (삼안문화사, 1986)
- 《성씨(姓氏)의 고향》 (중앙일보사, 2002)
- 뿌리를 찾아서 (http://www.rootsinfo.co.kr/)
- 《전통족보문화사(傳統族譜文化社)》 (http://www.genealogy.co.kr)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