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홍주요양보호사교육원
 
 
 
카페 게시글
요양보호사자료실 스크랩 노인요양관리사(Care Manager)의 역할 및 교육방향
하늘사랑 추천 0 조회 131 08.04.15 12:57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노인요양관리사(Care Manager)의 역할 및 교육방향


전은영(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Ⅰ. Introduction


1. Definitions of Care Management


1) 1980년대 이전

   특이한 형태의 다양한 프로그램들로서 구체적인 정의가 내려지지 않은 채 많은 실천 영     역에서 적용되었다.


2) 1980-1990년

   보다 구체적인 정의가 내려지기 시작하면서 전문적인 활동으로 합의가 도출된 시기로서     John과 Rubin(1983)은 케어매니지먼트 접근의 기본 원칙은 케어매니저가 대상자와         서비스 공급체계를 연계하여 클라이언트가 적절한 서비스를 받게 하는 것으로서 지지망     접근에 가까운 개념이며, 기본 원칙은 ① 케이스워크 방법을 원용하며 ② 재가를 기본으     로 대상자에게 원조를 전개하고 ③ 공식적, 비공식적 차원의 사회자원을 지역수준에서      파악하여 결합하여 활용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3) 1990-2000년

   케어매니지먼트가 보건, 사회사업, 정신보건, 재활 등 다양한 실천분야에서 공통된 요소     로 인정된 시기이다.

   ✿ Barker(1991) - 케어매니지먼트란 대상자의 이익을 위해 다양한 기관과 직원들로부        터 제공받을 서비스를 계획하고 검토하는 일련의 절차로서 대상자가 필요로하는 전문        적 서비스의 진전 상황을 점검하고 평가하여 재사정하는 과정이라 정의하였다.

   ✿ Cooper(1997) - 대상자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건강관리         및 관련 서비스를 사정, 계획, 수행, 조정, 감독, 평가하고 협력하는 과정으로서 서비        스의 질과 함께 비용 효과적 결과를 추구한다.

   ✿ ANS(1999) - 대상자가 적정기간내에 기대되는 결과에 도달할 수 있도록 고안된 건        강관리 전달체계로서 지속적인 양질의 의료제공, 의료의 분절화 방지, 삶의 질 향상,        자원의 효율적 활동, 비용절감 등을 목적으로 한다.


 4) 2000년 이후

   ✿ CMSA(2002) - 서비스의 질과 비용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의사소통과 사용가능        한 자원을 이용하여 개인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고자 의료서비스를 사정, 계획, 수행,        조정, 평가하여 대상자를 옹호하는 협동적인 과정이다.  케어매니지먼트는 양질의 의        료, 재원기간과 자원이용량의 감소, 서비스의 연속성, 비용의 조절 등을 추구한다.

   ✿ 우국희, 장인협(2003) - 대상자의 복합적인 욕구에 초점을 두고, 기관의 목적보다는        대상자의 목적에 기반을 두며, 이미 고안된 프로그램에 기반을 두기보다는 개별화된        서비스 계획에 기반을 둔 실천이다.


이상의 정의들을 종합하면 케어매니지먼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① 지역사회에 기반된 서비스 및 지지를 제공하는 하나의 체계적인 지원방법이다.

  ② 각종 사회 자원동원, 사회적 지지망의 효율적인 연계와 조정에 관심을 두는 활동이다.

  ③ 서비스보다는 욕구 중심적, 즉 대상자의 욕구에 서비스를 융통성있게 배정하는 것이        중요한 활동이다.

  ④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대상자에 대한 지속적인 책임과 비용효과성을 강조하는 활동이       다.

  ⑤ 연속적인 기능들을 시간에 따라 순서를 두고 수행하는 문제해결 과정이다.

  ⑥ 대상자에 대한 포괄적, 총체적, 장기적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적인 활동이다.


2. Geriatric Care Management의 필요성 


1) 급속한 고령화의 진전

   한국의 노인인구는 2004년 417만명으로 전국민의 8.7%가 노인인구인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2019년에는 731만명을 넘고 14.4%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어<Table 1> OECD 국가중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Table 2>.    노인인구의 약 86.7%가 각종 노인성 만성질환(관절염, 요통, 좌골 신경통, 고혈압, 소화성 궤양, 백내장 등)을 앓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치매 유병률이 2003년 8.3%이며, 중풍이나 뇌혈관 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이 4.4%에 달해 이로 인한 노인 의료비 지출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이들 노인에 대한 다각적인 사회적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 가족의 부양기능 약화

   산업화․도시화에 따른 개인주의적인 가치관 변화와 가족유형의 변화, 가족해체로 인하여 노인학대, 유기 및 방임되는 재가노인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 부양의식이 약화되어 가족으로부터 소외된 노인들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많은 독거노인 및 노인부부세대, 장애노인 등이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이러한 재가노인들은 사회적 기능상의 심각한 문제로인하여 다양하고 복합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신체적인 허약성, 정보와 인식 능력의 부족, 경제적인 무능력, 보호자의 부재, 접근성의 결여 등으로 자신의 욕구를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이근홍, 1998).  이러한 결과 노인에 대한 부양의무는 가족으로부터 사회와 국가로 전가되었으며 국가는 이에 대해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정책을 제시하여 사회의전체적인 통합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사회적 요구에 직면하게 되었다.


<Table 1> Demographic Trends and Prospects

                                                             (Thousand people,%)

Year

Total

Population

0-14

15-64

Over 65

Population

%

Population

%

Population

%

1960

25,012

10,588

42.3

14,258

57.0

726

2.9

1970

33,241

13,709

42.5

17,540

54.4

991

3.1

1980

38,124

12,951

34.0

23,717

62.2

1,456

3.8

1990

42,869

10,974

25.6

29,701

69.2

2,195

5.1

2000

47,008

9,911

21.1

33,702

71.7

3,395

7.2

2010

49,594

8,552

17.2

35,740

72.1

5,302

10.7

2020

50,650

7,034

13.9

35,948

71.0

7,667

15.1

* 자료출처: 통계청, 인구추계 1996-2001




<Table 2> Speed of Aging in Selected OECD Countries

Country

Year when Share of Elderly Reached

Years 

7%

(Aging Society)

14%

(Aged Society)

20%

(Super-aged Society)

7→14%

14→20%

Korea

2000

2019

2026

19

7

Japan

1970

1994

2006

24

12

France

1864

1979

2020

115

41

Italy

1927

1988

2007

61

19

United States

1942

2013

2028

71

15





3) 복지국가의 재정적 위기

   복지국가의 주요 기반이 되어왔던 경제 성장은 전 세계적으로 불어 닥친 오일 쇼크 파동에 의해 직접적인 타격을 받았으며, 그 뒤를 이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증가하는 조세 저항 등의 현상으로 인하여 공공 지출의 확대가 더 이상 어렵게 되었다.  이에 더하여 노인 인구의 급증은 노인 보건서비스 비용의 증가를 초래해 국가재정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그 결과 각국은 국가지출 규모를 줄이기 위해 보건정책과 사회 서비스 정책의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 시점에 놓이게 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지역사회 보호가 공식적인 정책 과제로 대두하게 되었다. 이때 케어의 전반적인 계획을 관리하면서 다양한 서비스 및 비공식적 지지를 조정하는 케어매니저가 효과적인 서비스 전달을 최대화하면서 동시에 비용을 절감하는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4) 탈시설화

  1960년대에는 시설에서의 생활이 갖는 유해한 결과들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많이 보고되었다. 대규모 시설은 수용자들을 외부 생활로부터 차단시켜  강제적으로 규격화하고 통제된 생활을 하게 함으로서 개인의 개별성을 말살시킬 뿐만 아니라 끊임없는 자기비하와 굴욕감을 겪게 한다. 즉 친밀한 환경 및 관계와의 단절, 입소 절차에서 경험하는 굴욕감, 엄격한 규율에의 복종, 자기 생활에 대한 결정 능력의 상실 등은 수용자들로 하여금 시설 신경증(institutional neurosis)이라는 새로운 병으로 고통받게 하였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노인들의 많은 수가 시설에서 퇴소하게 되었으며, 퇴소한 환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지역사회 서비스 체계의 원활한 연계 및 제공을 위해 케어매니지먼트가 필요하게 되었다(장창호, 2001). 


5) 보건․의료․복지의 연계 필요성

   장기적인 케어가 필요한 노인은 의료 뿐만 아니라 복지서비스도 동시에 필요로 한다. 지금까지의 서비스 공급방식은 대상자의 요구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파악하려는 노력이 결여되어 있었으며 또한 그러한 체제도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노인의 생활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보건복지 서비스의 연계체제가 필요하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시키는 대응책으로 케어매니지먼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3. Care Management의 목적 


1) 케어의 분절화 방지 

   케어매니지먼트의 목적은 대상자의 다양하고 복합적이며 장기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가 케어매니지먼트 과정에서 서비스 제공기간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면서 포괄적이고 계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2) 접근성과 책임성의 증진

   대상자들의 대부분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인식이 부족하여 이용방법을 알지 못해 접근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최근 서비스 제공자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서비스 제공기관의 기준, 규정 및 절차가 점점 복잡해지고 서비스와 관련된 프로그램의 범주가 복합화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결과 대상자들은 그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에 접근하기 어렵고 서비스의 이용을 포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케어매니지먼트는 대상자와의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방문서비스, 안내 및 의뢰 등과 같은 보다 적극적인 접근 방식을 선택함으로서 서비스에 대한 대상자의 접근성을 증진시키고 있다.  

   한편 케어매니지먼트는 서비스 제공자들에 대한 조정과 점검을 통하여 대상자에게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보장하고 그러한 서비스의 제공이 대상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책임을 지는 통합적인 서비스 전달방식이다.


3) 일차집단의 케어능력의 향상

   케어매니저는 대상자 뿐만 아니라 그 가족과 사회의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함으로서 가족을포함한 일차집단과 대상자와의 연결 및 상호작용을 촉진하게 된다. 그리고 일차집단으로 하여금 케어의 계속성 보장, 즉각적이고 적절하며 편안한 서비스의 제공, 사회적 지지와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일차집단이 대상자에 대한 케어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4) 대상자의 사회적 기능 향상

   대상자들이 활용가능한 자원, 성장과 발전의 가능성, 잠재능력, 장점, 건전한 기능, 문제해결 능력 등을 최대한 활용하고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대상자들이 개인적․사회적 만족과 독립을 성취할 수 있도록 그들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5) 서비스의 질과 비용효과성 증진

  

4. Care Manager제도의 현황

   케어매니저의 본격적인 도입은 미국에서부터 출발하여 영국, 일본 등으로 확산되었고 각 나라마다 제도와 행정의 특수한 여건에 따라 케어매니저의 역할 및 교육이 다양하게 전개되어져 왔다.  케어매니저 제도가 시행된 대표적인 국가들의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미국

  케어매니지먼트 제도는 1900년대 초반부터 활동하기 시작하였으며, Care Manager란 용어는 1970년대 Medicaid와 Medicare제도가 도입되면서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 제도의 원활한 운용을 위해서는  저소득층, 정신지체, 노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조정하고 촉진 및 평가하기 위하여 케어매니저의 활동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당시 보건교육 복지부(Department Health, Education & Welfare)는 서비스 통합프로그램을 증진시키기 위한 일련의 시범사업을 지원하였으며, 정신보건분야에서 시작된 대부분의 시범사업에서 서비스 조정을 담당할 케어매니저의 필요성이 언급되어 케어매니저는 보건복지 통합 서비스 모델에서 개인의 욕구에 적합한 서비스를 고안해 나가는 전문가로서 활동하게 되었다. 

  한편, 건강관리에 대한 접근성과 질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관리 서비스의 제공으로 인한 국가적인 지출이 급격히 증가되어, 최근 건강관리 체계 개혁의 주요 초점은 비용절감(cost-containment)으로서 보건의료 서비스의 질은 유지하면서 비용절감의 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방편의 일환으로 1980년대부터 Managed care 개념을 도입하여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미국에서 Managed care는 건강재정과 서비스 전달체계를 통합한 형태로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데, 1996년 미국 직장인들의 75%가 Health maintenance organization(HMO)이나 Preferred provider organization 또는 Point of service plan에 가입하고 있다(Jenson, Morrisey, Graffiney, & Liston, 1997).  Medicare 나 Medicaid 인구의 가입율도 점점 증가하여 1997년에는 medicare 인구의 15%, medicaid 인구의 48%가 managed care 보험에 가입한 것으로 보고되었고, 미래 건강관리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HCFA, 1997).  Kersbergen(2000)는 “Managed care란 건강관리 전달체계를 재조직화한 하나의 기업경영적 틀로서, 비용절감을 위한 인센티브의 제공과 시장경제원칙을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을 통하여 건강관리 서비스 자원이용을 통제한 것이 그 초점이면서, 일반적으로 사례관리의 형태로 환자에게 이해된다”고 설명하여 미국에서의 케어매니지먼트의 현주소를 대변하였다.   Managed care하에서의 사례관리는 특정사례에 대한 효율적인 자원활용과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특정기간내에 기대된 결과에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을 추구한다. 사례관리의 가치는 환자가 장기간동안 복잡한 문제를 가지고 내․외과적인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필요로 할 때(high-risk), 치료비용이 많이 소요될 때(high-cost) 그 중요성이 커진다.   Managed care 하에서는 특별히 교육․훈련된 케어매니저가 환자에게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를 모니터하고 조정해야 할 책임이 있다. 케어매니저는 의사나 사회복지사 등의 다른 건강관리 관련 제공자들과 함께 대상자에게 가장 적절하고 비용효과적인 치료환경이 무엇인지를 결정하고 조율한다. 케어매니저는 또한 환자와 그 가족에게 지지와 정보를 제공하며, 환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적절성과 효율성에 대한 평가를 주기적으로 검토한다. 케어매니저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관리는 환자치료의 긍정적인 성과를 도출함과 동시에 건강관리비용 절감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이태화, 2001).


2) 영국

  영국에서는 처음 켄트 대학의 PSSRU(the Personal Social Services Research Unit)를 통해 미국의 케이스 매니지먼트라는 용어가 도입되어 사용되다가 지역사회 보호가 공식 정책으로 채택되면서, 그리피스 보고서(Griffith Report)에 의하여 1989년 ‘정부백서’가 발간되었고 서비스 제공기능과 서비스 구매기능을 분리하여 다양한 서비스 부문간의 경쟁을 유도하였는데, 이러한 변화체제에 적절한 전달체계로서 케어매니지먼트가 제안되었다.  영국은 용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케이스 매니지먼트(Case management)에는 대상자를 관리하는 의미가 있으므로 이 용어의 사용을 지양하고 서비스를 관리한다는 개념으로 케어매니지먼트(Care management)로 일관되게 사용하였다. 

  사례관리접근을 주축으로 하는 지역사회 중심 서비스 제공 모델 개발을 위한 Darlington Community Care Project를 실시하였는데,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인지장애는 없으면서 신체적으로 장애가 있는 노인에게 재가서비스를 제공하여 노인들이 집에서 지내도록 하는데 있었다.  재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대상 집단은 입원할 가능성이 있거나 병원에서 장기 입원중인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케어매니저는 대상자에게 상담, 조언 및 사회적 지지, 서비스의 연결과 조정을 하였으며 사회복지사 또는 간호사 중에서 케어매니저로 선발하여 재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조 인력에 대한 통제, 예산 관리도 이들의 업무에 포함시켰다.


3) 일본

   2000년부터 노인복지와 의료제도의 일환으로 개호보험제도를 도입하면서 이용자와 복잡한 서비스 제공체계를 연결하여 이용자가 적절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확보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케어매니지먼트를 본격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개호보험 제도를 도입한 목적은 노후의 불안인 개호를 사회전체가 지지하고, 부담과 급부의 관계를 명확히 하며, 고령자에게도 보험료를 징수함으로서 세대간의 공평한 부담을 도모하고, 이용자의 선택으로 보건,의료, 복지의 종합적인 서비스를 이용하며, 노인의 자립지원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케어매니저는 개호보험제도에서는 대상자에게 급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요개호정도 및 상태를 평가하여 등급을 인정하고 이에 따른 서비스 제공계획을 케어매니저가 케어플랜을 작성하여 청구하는 절차를 밟고 있다.  개호보험제도내에서의 이용가능한 서비스 내용을 살펴보면 <Table 3>과 같다. 일본에서의 케어매니저의 지원자격으로는 사회복지사, 정신보건복지사, 개호복지사, 간호사, 보건사, 조산사, 이학요법사, 작업요법사 등의 다양한 직종의 사람들이 후생성에서 시행하는 시험에 합격하면 일정기간의 실무연수를 거쳐 자격을 수여받고 있는데, 이 제도가 시행된 지 4년이 지난 현재 많은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으며, 그중 특히  대상자의 욕구를 파악하여 케어플랜을 대상자와 함께 작성하는 케어매니저의 역량과 관련된 문제들이 많이 노출되어 이들의 역량을 높이기 위한 과제를 지니고 있다(Shirasawa, 2004).

<Table 3> 개호보험제도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 내용

재택서비스

시설서비스

홈 헬퍼

방문목욕

방문간호

방문 재활

주간보호

단기생활개호

단기요양개호

주택개선

복지용구대여, 구입비의 지급

거택요양관리지도

치매성고령자 그룹홈

특정시설 입소개호

특별양호노인홈

노인보건시설

개호요양형의료시설

   -요양형 병상군

   -노인성 치매질환 요양병동

   -개호력 강화병원(시행후 3년)

 

 

 

 

 

 



4) 한국

   우리나라에서 케어매니지먼트가 1990년대 도입되어 간호학․사회복지학 분야 등에서 학문적인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에는 사회복지의 방향이 재가복지, 지역사회복지로의 전환을 준비하던 시기로서 1993년 노인복지법 개정시 재가복지가 처음으로 사회복지 사업의 한 분야로 규정되어 노인복지관, 장애인 복지관,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재가복지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여러 학자들과 실천가들에 의해 케어매니지먼트가 재가복지 부문에서의 중요한 실천방법으로 빈번히 언급되고 있다.  특히 1995년 정신보건법에서는 사례관리가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의 중요한 활동방법의 하나로 선정하여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 노인인구 증가로 치매, 중풍과 같은 요양보호가 필요한 노인과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이 급격히 증가하여 이에 따른 노년부양비와 노인의료비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정부는 보건․복지체계의 통합시스템을 통한 노인요양보장체계를 2007년부터 시범적으로 도입하고 2010년에는 이 제도의 본격적인 시행을 계획하고 있어 이에 따라  케어매니저의 제도화가 추진되고 있다.



Ⅱ. Models of Care Management

  케어매니저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관련 모델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케어매니지먼트는 기능, 자원, 일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몇가지 특징적인 유형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1. 기능에 따른 분류

   Rose(1980)는 다양한 케어매니지먼트 실천을 경험적으로 검토한후 고유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Minimal Model, Coordination Model, Comprehensive Model. 

   Rose(1980)의 케어매니지먼트 유형 구분은 Comprehensive Model이 가장 효과적임을 제안하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케어매니지먼트를 수행할 때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의 여지를 보여주려는 의도에서 시도되었다고 할 수 있다(장인협, 우국희, 2003).

<Table 4> 케어매니지먼트 프로그램의  세가지 유형 

Minimal Model

Coordination Model

Comprehensive Model

대상자 발견

사정

계획

의뢰

 

 

 

 

 

 

 

대상자 발견

사정

계획

대상자 옹호

지지체계 개발

재사정

 

 

 

 

 

대상자 발견

사정

계획

의뢰

대상자 옹호

지지체계 개발

재사정

자원개발 옹호

서비스질 평가

공공교육

위기개입 


2. 자원의 보유정도와 서비스 통합정도에 따른 분류

   Moore(1992)는 지역사회의 자원 보유정도와 지역사회 내의 서비스 통합정도에 따라 케어매니지먼트의 기능이 달라짐을 제안하였다.  자원도 많고 서비스 통합의 정도도 높을 경우 케어매니지먼트는 대상자의 욕구에 어떤 자원이 가장 적절한지를 찾아 연결하는 역할이 중심이 된다. 여기서  Moore(1992)가 표현한 마케팅의 개념은 시장경제적 의미에서 서비스를 판매한다는 뜻이 아니라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선택해서 연결시킨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다음으로 자원은 희소하지만 서비스의 통합정도가 높은 경우 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할당하는 역할이 중요시된다.  한편 자원은 충분한데 서비스의 통합정도가 낮은 경우에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의 서비스를 대상자에게 중개하는 역할이 부각된다.  마지막으로 자원과 서비스 통합수준이 모두 낮은 경우 자원을 개발해서 조정하는 기능이 중시된다<Figure 1>.

  이러한 Moore(1992)의 분류는 해당기관, 해당 지역사회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케어매니지먼트 모델의 개발을 촉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케어매니지먼트는 이미 자원이 충분히 확보된 곳 뿐만 아니라 자원이 없고 서비스 통합의 정도가 낮은 곳에서도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함에 있어 의의가 있다.


                 <Figure 1> 서비스 전달과 케어매니지먼트 기능


3. Care setting에 따른 분류

  Care setting에 따른 분류는 상당히 많은 종류가 있지만(Cesta, & Tahan, 2003) 그 가운데 대표적인 유형을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Community-based model

      재가 또는 장기요양시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조정하고 평가하는 것으로서 일반적        으로 노인이나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HMO, 장기요양 보험제도, Medicare         등의 수혜자가 대상으로서 케어매니저 한사람이 대상자 60-80명을 관리할 수 있다.

  2) Insurance-based model

      효율적인 경비지출에 중점을 두고 고비용(high-cost)의 장기요양환자에게 서비스의         중복과 낭비를 예방하여 cost-effective한 서비스를 조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Bower, 1992).

  3) Acute care-based model

      critical path 접근을 사용하여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조정하고 제공하며 대상자를 자        신의 건강상태에 관리하기에 적합한 시설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케이스 컨퍼런스를         운영하고 가족과 상담한다.  


참고로 케어매니지먼트의 대상자의 신체적․기능적 상태별 전체적인 분포는 <Figure 2>와 같다.

                                <Figure 2> 케어매니지먼트 대상자





노인요양관리사(Care Manager)의

역할 및 교육방향Ⅱ












김귀분(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Ⅲ. Roles of Care Manager


1. 케어매니저의 역할

   케어매니저의 역할은 각각의 모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인 역할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케어매니저는 대상자의 욕구를 사정하며, 적절한 서비스, 기회 또는 급여를 확인하고, 포괄적인 서비스 계획을 개발하며, 대상자의 서비스에 대한 접근과 이용을 위한 옹호(advocacy)를 제공하고, 적절하고 효과적인 서비스의 전달을 점검하거나 평가하고, 대상자와 가족을 교육하며, 대상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업무를 수행한다. 즉, 이것은 대인서비스, 기회 또는 급여의 조정을 증진시키는 대상자 수준의 전략으로서 서비스의 통합과 보호의 연속성을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케어매니저는 대상자에게 접근성과 책임성을 보장하면서 그들이 적절하게 조정된 연속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옹호자, 사정자, 계획자, 중재자, 조정가,  점검자, 평가자, 교육자, 지도감독자, 행정가 및 옹호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구체적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 옹호자

2) 퇴원 계획자

3) 촉진자

4) 자원 관리자 : 케어매니저는 서비스에 대한 단순한 감독 또는 검토가 아니며 서비스 자     원을 관리하는 것이다.

5) 비용-이득 분석가: 대부분의 케어매니저는 대상자에 대하여 기록해야만 한다. 그 기록에     는 물품 절약, 그리고 소프트 부분 절약 이 포함된다. 세부적인 사항은 비용에 대한 지     식이 필요하다.

   (1) Hard savings의 예: 케어매니저에 의해서 사용된 입원기간의 변화

                          케어매니저에 의한 물품 절약 효과

                          케어매니저에 의해서 사용된 장비, 서비스 가격에 대한 협상

                          케어매니저에 의해서 사용된 서비스의 빈도 및 기간

                          불필요한 비용에 대한 발견  

   (2) Soft savings의 예: 병원의 재입원 저하

                          응급실 방문 빈도 및 합병증 발생빈도 저하

   (3) 기타 : 대상자/가족의 만족 증가

              대상자의 삶의 질 증가

6) 협상가 : 협상은 동의를 이끌어내는 목적을 위한 필수적인 의사소통으로서 협상기술은      선천적인 것이 아니고 교육 및 실습을 통해서 길러진다.

7) 임상 전문가 - 질병 관리자

8) 비평적 사고자, 문제 해결자

9) 다학제간 대상자 돌봄 촉진자

10) 관리자 : 지역사회 조직가의 역할 

11) 갈등 해결자 : 서비스 제공자와 대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들 사이의 갈등과 분쟁을 해      결하는 상담자, 분쟁조정자 및 문제해결자의 역할 수행

12) 자원개발자 : 대상자를 위한 자원을 개발하거나 동원

13) 위기 중재/ 슬픔 상담자

14) 보고서와 계획 서류 작성

15) 융통성, 자원동원성, 창의성

16) 교육자


2. 정부의 케어매니저 양성 제도화 방안에서 제시된 케어매니저의 역할 

   2007년부터 시범사업으로 시작할 예정인 공적노인요양 보장제도에서 제시된 케어매니저는 가칭 요양관리사로 명명되었으며, 이들의 역할은 요양보호 욕구 사정, 케어플랜 작성, 서비스 조정 등으로 제시되고 있다.  정부는 2007년도에 3,399명의 요양관리사가 필요한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요양관리사 자격대상은 간호사, 사회복지사, 물리치료사로서 시험을 거쳐 합격하면  소정의 실무연수를 받고 수료증을 발급 받은뒤 등록후 요양관리사의 자격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Figure 3>.


    <Figure 3> 요양관리사 양성체계


   <Figure 4>는 정부에서 제시한 요양관리사의 업무와 관련된 역할을 살펴보면 ADL 등의 방문조사를 통하여 요양대상 판정에 일부 관여하고 피보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서비스 담당자 회의를 개최하며, 서비스 계획을 작성하고, 서비스 사업자와의 연계 및 조정 업무와 대상자의 재평가를 담당하는 주된 업무를 담당하는 직책으로서 공적노인 요양보장 제도안에서 매우 한정된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공적노인요양보장제도 실행위원회, 2004).


<Figure 4> 요양관리사의 역할

Ⅳ. Process of Care Management


  케어매니지먼트는 케어매니저를 주축으로 팀접근에 의해 실시되며, 대상자 발견, 사정, 계획,  서비스 조정 및 의뢰, 감시, 모니터링, 평가로 구성된다.  이는 매우 역동적인 과정으로서 평가가 만족스럽지 못하면 다시 재사정으로 회환과정을 거치게 된다<Figure  5>.


1. 대상자 발견

   대상자를 확인하고 등록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케어매니저의 과업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대상자의 장애나 욕구를 개략적으로 파악하고 또 케어매니지먼트를 통해 제공해 줄 수 있는 원조의 내용을 대상자에게 상세히 설명하여 대상자가 그러한 원조를 받을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계약하는 일이 중심이 된다.  


2. 사정

   대상자의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요구를 전반적으로 사정한다. 현재의 문제와 잠재적인 문제, 바람직한 결과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중재에 대해 사정을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간호사, 의사, 기타 대상자 관리에 참여하는 다양한 직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한다.


3. 계획

   이용 가능한 자원과 비용 및 의료비 지불 체계에 대해 다양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대상자에게 적절한 서비스 내용과 종류의 선정, 대상자가 가정에서 사용해야 하는 기구의 확인, 각 기관 담당자와의 논의, 이의 제기, 의사와 가정간호 서비스 등 재가 서비스에 대해 논의하거나 대상자 및 가족과 협의하는 등의 활동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파악된 문제별로 발생원인, 위험성, 해결가능성에 대해 상세히 검토한 후, 우선순위를 정하여 서비스 제공의 방향을 수립한다. 이를 토대로 각 문제별 관리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해당지역 내에서 가능한 자원을 선정하여 서비스 제공계획을 수립한다. 수립된 서비스 제공 계획은 대상자의 관점에서 주간 계획표로 작성하여 제공한다.


4. 서비스 조정 및 의뢰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가 적절하고 포괄적이며 비용-효과적이고 양질의 서비스가 되기 위해 케어매니저의 조정 및 의뢰가 매우 중요하다.


5. 모니터링 및 평가

   서비스가 계획되고 조정되면 대상자의 순응정도와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또한 케어매니저는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대상자의 욕구가 충족되었는지, 또는 새로운 욕구가 발생했는지에 대해 결과평가를 실시해야 한다(전경자 외, 2004).



                             <Figure 5> 케어매니지먼트 과정



Ⅴ. Education for Care Management

   케어매니저의 교육수준과 관련하여 다양한 이견이 있다. 케어매니저의 교육수준은 대체로 고도의 전문적 기술을 요하는 관계로 석사학위 이상의 소지자를 케어매니저로 보는 관점도 있는 반면, 케어매니지먼트 활동에서 대상자 발견, 의뢰, 일상의 환경적 지지, 사후 평가 활동은 전문가보다는 학사학위 정도의 준전문가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는 관점도 있다.

  그러나 미국의 경우 케어매니저의 전문성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케어매니저가 전문가인가, 준전문가인가의 문제보다는 케어매니지먼트의 목표와 과업을 분명히 규정짓고 그들에게 지속적으로 이를 교육․훈련시키는 일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즉 케어매니저의 교육이 효과적인 케어매니지먼트 체계 구축에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Intagliata, 1992).   더불어 전체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케어매니저는 전문가 또는 준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고 동시에 전문가 집단의 윤리강령을 준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각 국가별 케어매니저의 자격제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자격제도

1) 미국

   미국에서는 케어매니저 자격을 주별로 부여하고 있으며, 1990년대부터 전문적 협회와 조직체가 발달되기 시작하여 Nursing부문에서 수여하는 케어매니저 자격제도와 Social Welfare부문에서 수여하는 자격제도로 크게 분류된다.  케어매니저를 위한 주요 자격프로그램으로 CMC(Care Manager Certified-The National Academy of Certified Case Manager, NACCM에서 자격수여)와 CCM(Certified Case Manager-The  Commission for Case Manager Certification, CCMC에서 자격수여)이 있는데 지원자는 일정교육과 실무가 요구되며, 자격증을 받기위해 각 협회에서 주관하는 시험에 통과하여야 한다.  CMC시험은 케어매니지먼트의 주요기능(전반적사정, 케어플랜 개발과 중재, 모니터, 평가)과 노화와 장애와 같은 장기요양문제, 지역서비스, 수혜와 재정선택, 법률과 윤리적인 면을 강조하는 반면에 CCM 시험은 의료와 건강문제를 많이 다루고 있다.

   케어매니저가 되기 위한 자격여건은 NACCM일 경우, 다음 세가지 기준중 한가지를 충족시켜야 한다; 첫째, 위원회의 감독을 2년간 받으면서(50시간/년) 전임으로 케어매니지먼트에서 근무경험이 있고 케어매니지먼트와 관련된 분야(간호, 사회사업, 상담, 심리, 노인학)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경우, 둘째, 위원회의 감독을 2년간 받으면서(50시간/년) 전임으로 사회사업, 정신보건, 상담이나 케어매니지먼트에서 4년간 근무한 경험이 있고  케어매니지먼트와 관련된 분야(간호, 사회사업, 상담, 심리, 노인학)에서 학사학위를 받은 경우, 셋째, 위원회의 감독을 2년간 받으면서(50시간/년) 전임으로 사회사업, 정신보건, 상담이나 케어매니지먼트에서 6년간 근무한 경험이 있고 고졸인 대상자.

    CCM은 CCMC가 요구하는 면허증이나 자격증(최소한 준학사 학위소지자 이어야 함)을 가지고 있는 응시자가 다음의 실무겅험중 한가지를 충족시킬 때 시험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는데 여기에서의 실무경험이란 CCM의 감독을 받으면서 12개월 동안 전임으로 근무한 경우와, 24개월 동안 케이스매니지먼트에서 전임으로 근무한 경우, 직접적 케어매니지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에 대한 감독자로 12개월 이상 전임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NAPGCM은 노인케어매니저 전문가 협회(The National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riatric Care Manager)로서 노인과 관련하여 보다 세분화되어 활동하고 있다.  AARP(2000)는 미국에 거주하는 GCM(Geriatric Care Manager)의 실태를 조사였는데 응답자중 3분의 2가 다른 면허증이 있는 전문직이었으며, 최종학력에 있어서 응답자의 19%가 학사학위를 지니고 있었으며, 68%는 석사학위 소지자이었고, 7%는 박사학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응답자의 30%는 간호사이었으며, 37%는 사회복지사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일본

   일본은 케어매니저를 국가자격 시험을 통해 배출하고 있으며, 2004년 현재 배출한 합격자수는 302,597명이나 실제 현직에 활동하고 있는 케어매니저는 약 70,000명인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일본에서 처음 케어매니저 제도 도입 당시에 노인보건복지 심의회의 보고서(1996)에 의하면 케어매니저를 의사, 치과의사, 약사, 보건부, 간호사, 작업요법사, 물리치료사, 사회복지사, 개호복지사 등의 보건․의료․복지의 전문직 중 일정의 실무경험을 가지고 소정의 시험을 거친 사람으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고령자 케어서비스 체제정비 검토위원회 보고(1997)에서 개호보험 제도의 도입 초반기에 많은 케어매니저를 확보하기 위한 임시적인 방편으로서 노인복지 심의회 보고서에서 제시한 보건․복지․의료의 전문직 이외에 다양한 직종의 대상자에게 각 분야에서 합계 5년(의사, 치과의사 3년)이상의 실무경험을 가진 자에게 시험응시의 기회를 확대하여 시행함에 따라, 케어매니저 제도 도입 후 4년이 지난 현재 서비스의 부적절한 공급, 과다공급, 허위기재, 중복 제공 등의 많은 문제점에 노출되게 되었다. 

   직종별 합격자를 살펴보면 간호사 및 준 간호사가 37.5%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개호복지사 및 사회복지사가 약 24%를 담당하고 그 외 보건사(6.6%) 등의 순이다.  일본 케어매니저 시험의 합격률은 약 30-40%로서, 이론시험 합격후 35시간의 실무연수를 받으면 케어매니저 자격을 수여받게 된다. 


2. 케어매니저 교육수준

 지역사회에 기초를 둔 Nurse Care Manager는 다음과 같은 직무를 수행한다.

1) 지역사회 자원, 학교, 건강간호에 접근할 수 있도록 대상자/가족을 촉진한다

   사회적 지지망에 연결시키고 비공식적인 자원을 발전시키도록 대상자/가족을 지지한다.

   대상자/가족의 지역사회에서 그들의 욕구들을 적절하게 만날 수 있도록 발전시킨다. 

2) 다학제간 팀접근법을 사용하여, 비용절감 간호계획을 세우고, 서비스 계획을 수행하고      발전시키고 사정하는데 대상자/가족과 함께 독자적으로 일한다.

3) 대상자를 위한 요법 치료사의 방문, 의사/병원 방문, 가정방문을 포함하여 서비스와 자      원 공급자들을 평가하고, 감독하고, 조정한다.

4) 전문영역에서 적절한 교육 활동과 지역사회 자원을 공급하고, 계획하고, 촉진시킨다.

5) 대상자/가족과의 만남에 대하여 기록한다.

6) 대상자/가족의 서비스를 조정하고, 그리고 규칙적으로 실무팀과의 희의에 참석한다. 

7) 서비스 조정 프로그램의 과정을 서류화하고 평가한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수정화 과정      을 만든다.

8) 적절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대상자, 서비스 공급자들에 대하여 감독과 지도력      을 발휘한다.

9) 제출 서류, 교신, 프로그램 보고서, 행정적 보고서, 예산감독과 같은 적절한 행정 기능      을 담당한다.


   이상의 역할을 수행하는 케어매니저는 전문직 또는 준전문직으로 분류되고 있으므로 전문직 교육과정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Bell(1973)은 탈산업화 사회는 정보와 지식이 중요한 사회적 자원이 되는 사회가 될 것이며 전문직들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을 주된 직업적 자원으로 일정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여 케어매니저의  전문직으로서의 역할이 더욱 분명해 짐을 알 수 있다.

   전문직은 전문 직업성 측면에서 전문교육의 이수가 의무화되어야 한다. 즉, 전문직 자격취득자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불완전한 자격검정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응시자격을 해당분야 전공자 또는 일정 학점 이상 교육 이수자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문직자격 취득요건으로 고등교육 이상의 전문교육을 이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므로 케어매니저의 자격대상을 학사학위 이상의 소지자로서 실무경력 2년 이상인 자로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은 이미 정규교육과정을 이수하였지만 케어매니저란 신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를 이행하기 위한 특별 교육과정이 요구된다.

  전문직은 전문지식과 기술, 자율성, 봉사와 사명감, 엄격한 직업표준과 면허, 직업 윤리 등이 있어야 하며, 전문직업성의 확보는 일차적으로 자격 취득 단계에서부터 응시자에 대한 질적인 관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인력양성 단계에서부터 자격검증, 사후관리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재검토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노인전문간호사의 교육시간은 이론과 실습을 포함하여 700시간의 석사학위 과정을 이수하고 있으며, 가정간호사는 지정교육기관에서 1년간의 교육을 수료하여 두 직종 모두 일정기간 교육을 이수받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사례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정신보건 전문요원의 경우 자격을 1급, 2급으로 분류하여 1급은 석사학위 이상의 소지자 또는 그에 상응하는 자격에 해당하는 대상자로 하였고, 2급은 해당자격증 소지자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한 수련기관에서 1년(1,000시간) 이상 수련을 마친 자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케어매니저로서의 최소한의 자격요건은 간호 학사 학위소지자로서 직무 기술의 의무를 실행할 수 있는 2년 이상의 업무 경험이 있는 자. 그리고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소지자, 물리치료사 면허증이 있는 자가 적절할 것으로 사려된다.   케어매니저 교육에 있어서도 이들 직종에 준하는 교육이 수반되어야 하며 케어매니저의 역할과 관련하여 교육기간은 400시간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되며, 교육의 질적인 관리를 위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하는 교육기관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Geriatric Care Manager 교육 


1) Geriatric Care Manager에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케어매니저의 역할 및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는 다음과 같다(Suzanne, 2004).

(1) 지역사회 건강 서비스와 사회적 지지 기관과 네트워킹에 대한 지식

(2) 체계, 과정 그리고 절차의 새로운 기술과 분석에 대한 기술

(3) 의사소통 능력 

(4) 행정적/절차적 그리고 판단하는 능력

(5) 다학제간 서비스 제공 계획을 수정하고, 수행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

(5) 원만한 대인관계와 개인간의 의사소통 기술 그리고 다양한 지역사회에서 넓은 범위에서      효과적으로 일할 수 있는 능력

(6) 케어매니지먼트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지식

(7) 임상적 그리고 사회적 서비스 절차와 표준에 대한 지식

(8) 대상자에 대한 지식

(9) 치료적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수정하고 평가하고 수행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

(10) 임상적 그리고 사회적 서비스를 위한 청구 절차에 대한 지식

(11) 조직하고 조정하는 기술

(12) 팀 멤버, 팀 리더자로서의 독자적으로 일할 수 있는 능력

(13) 훈련생을 훈련시킬 수 있는 능력과 업무 할당을 스케줄하고 조직화하고 우선순위를 만       들고 포함하는 능력



2) 교육과정

  이상에서 제시한 케어매니저 양성 교육의 지식, 기술, 태도면의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련의 교육과정 시행되어야 한다. Judi, Kuric와 White (2005)는 "Case management curriculum in nursing education" 의 연구에서, 케어매니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함에 있어서 임상적 경험 뿐만 아니라 자격과 교육적 수준과 관련하여 Delphi 연구를 시행한 결과 전문가들에 의해 제시된 교과과정 영역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제시하였다; 대상자 확인, 계획과 감독, 협동, 간호의 질, 평가와 결과 관리, 법적 그리고 윤리적인 면, 옹호성, 자원 관리.

  케어매니저의 교육은 효과적인 케어매니지먼트 체계 구축에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Geriatric care manager는 community based model을 기반으로 활동하므로 지역사회 서비스 및 의료전달 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노인에 대한 이해, 케어매니지먼트 실천, 가족 위기 중재, 팀 접근법, 및 정보시스템의 사용으로 인한 서비스의 연계, 그리고 경영학 이론 전반에 관한 교육이 요구된다. 

   노인의 재가복지를 위한 케어매니저 교육 영역은 크게 다음의 세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케어매니지먼트 활동을 이끄는 중심가치(즉, 참여, 자기결정, 비밀보장, 정상화 등)에        대한 교육

둘째, 노인의 특성, 의료조치, 이들의 법적 권한, 지역사회 내 특정 서비스의 이용 가능성,         장기요양보험 제도를 비롯한 보호영역에 대한 정보교육

셋째, 케어매니지먼트 과정과 관련된 기술 교육, 즉 대상자와 관계형성 기술, 실제적 문제해       결 기술, 위기상황에 개입하는 방법, 효과적으로 대상자를 옹호하는 기술, 자원을 연계       하는 기술


  이상에서 제시한 노인 케어매니저의  직무를 수행하고 기술 및 태도를 습득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제시하기 위해서 업무와 직무를 모두 교육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Table 5>와 같이 구성하였다.   케어매니저 교육과정에 있어서 공통선택과 공통필수 과목으로 분류하였는데 이는 케어매니지먼트의 고유의 직무와 관련된 교육은 공통 필수로 제시하였으며, 각 직종별 상충되는 영역을 보완하기 위해서 노인요양과 관련된 특징적인 과목을 공통선택으로 제시하였다.

  즉, 우리나라에서 자격증 도입과 관련하여 제시되고 있는 케어매니저의 대상으로 간호사, 사회복지사, 물리치료사는 케어매니지먼트에 대한 공통적인 교육과정〔의료전달체계(보험제도 및 관련 법규), 노인요양보장제도(평가판정), 케어매니지먼트, 팀접근법, 노인상담, 지도자론(윤리), 경영학, 정보시스템〕의 이수가 요구된다.  또한 간호사 및 물리치료사로서의 케어매니저 지망자는 사회복지 영역에 대한 교육(사회복지 실천론, 자원 관리론, 노인 복지론,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이 요구되고,  사회복지사로서의 케어매니저 지망자는 보건,의료 영역에 대한 교육〔노인건강과학(해부, 생리, 약리), 노인심리학, 기초간호과학(배뇨, 배변, 이동, 욕창, 기관절개관 관리, 위관영양), 노인간호학(치매, 중풍, 만성질환), 건강사정, 호스피스 간호)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각 전공영역별로 상충되는 부분을 보충하는 방식으로 <Table 5>에서 제시한 교과목을 Two-track 방법으로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5> 케어매니저 교육안

구분 

보건․의료 전공

사회복지 전공

공통선택

사회복지 실천론

자원 관리론

노인 복지론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노인건강과학(해부, 생리, 약리)

노인심리학

기초간호과학(배뇨,배변,욕창,

     기관절개관 관리, 위관영양)

노인간호학(치매, 중풍, 만성질환)

건강사정 

호스피스 간호

공통필수

의료전달체계(보험제도 및 관련 법규)

노인요양보장제도(평가판정)

케어매니지먼트

팀접근법

노인상담 

지도자론(윤리)

경영학 

정보시스템



Ⅵ. 맺음말

   미국의 케어매니저 제도는 서비스 자원의 통합성 정도와 자원의 수가 상당히 높고  케어매니저의 활동 분야도 세분화되어 있어 미국의 케어매니저 교육과정을 그대로 우리나라에 접목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있다.  또한 미국에서의 의료인 출신의 케어매니저는 대상자의 건강을 더 많이 사정하지만 가족상담은 덜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는 반대로 사회사업가로서의 케어매니저가 된 사람은 대상자의 말을 충분히 경청하고 정서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대신 건강사정 측면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보완할 교육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제도 역시 다양한 직종에 속한 사람들이 케어매니저 자격시험에 합격한 후 단기간의 실무연수를 거쳐 케어매니저가 되었기 때문에 복합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는 노인에 대한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사정 능력이 충분하지 않아 적절하고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한종류의 서비스만으로 케어플랜을 작성한 것이 반수 이상이고, 더불어 필요한 서비스가 적절하게 제공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함께 서비스의 과다제공 및 중복제공으로 인하여 국가재정이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서비스 제공하는 담당자와 개호의 방침을 설정하고 공유하는 케어컨퍼런스의 개최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일본의 제도 역시 우리나라 상황에 그대로 접목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초래될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적으로 급격한 고령화 사회로의 변화가운데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대상자의 욕구를 정확하게 사정하여 자원을 현명하게 조정할 수 있는 통합적인 사고를 함과 더불어 대상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실천가적인 활동을 하면서 전문가로서의 윤리를 이행하며 노인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케어매니저가 되도록 교육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간호사, 사회복지사, 물리치료사의 교육수준과 사회적 상황에 적합한 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며, 이것은 결과적으로 케어매니저 자체가 질적인 자원이 되므로 노인요양보험 시행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Geriatric care manager는 노인을 대상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환경적 기능 사정을 통해 대상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서비스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고 자원을 연계 및 평가할 수 있는 고도의 지적인 능력이 요구되므로 이들의 활동을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는 행정적, 재정적, 법적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공적노인요양보장제도 실행위원회(2004). 노인요양보장체계 시안 공청회.

이근홍(1998). 케이스매니지먼트, 서울; 대학출판사.

이태화(2001). Managed care:간호에 미치는 영향. 간호학탐구, 10(1), 7-19.

전경자 외(2004). RAI-HC를 이용한재가노인 사례관리 방법과 실제. 서울;군자출판사.

장인협, 우국희(2003). 케어․케이스 매니지먼트.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장창호(2001). 케어매니지먼트 실천론. 서울;아시아미디어리서치.

American Nurses Association(1988). American Nurses Association Task Force on       Case Management. Kansas City.

Bell, D. (1973). The coming of post-industrial society, New York:Basic Books.

Bower, K. A. (1992). Case Management by Nurses. Kansas City: American Nurses'      Publishing.

Cesta, T. G. & Tahan, H. A. (2003). The case manager's survival guide. 2nd ed.         St. Louis: Mosby Inc.

Cooper, S. R. (1997). Role and function within managed care organizations:              opportunities for nurse. Seminars for Nurse Managers, 5(3), 129-132.

Health Care Financing Administration(HCFA)(1997, November 20). Managed care in      Medicare and Medicaid(Fact Sheet). Baltimore:Author.

Intagliata, J. (1992). Improving the quality of community care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the role of case management, in S. M. Rose(ed.), Case            management and social work practice, New York:Lingman Publishing Group. 43.

Jenson, G. A., Morrisey, M. A., Graffiney, S., & Liston, D. K. (1997). The new           dominance of managed care: Insurance trends in the 1990s. Health Affairs,          16(1), 125-136.

Judi, L., Kuric, J. L., White, A. H. (2005). Case management curriculum in nursing       education. Lippincott's case management: The Journal for professional               Practice.(Copyrighted excerpt from article to be published in March/April) 

Kersbergen, A. L. (2000). Managed care. Shifts health care from an altruistic model      to a business framework. Nursing & Health Care perspectives, 21(2), 81-83.

Moore, S. (1992). Case management and the integration of services: How service                 delivery systems shape case management, Social Work, 7(5), 18-42.

Shirasawa, M.(2004). International trends and issues. 대구한의대학교 NURI 사업단 & 삼         육대학교 수도권특성화 사업단  국제학술세미나  자료집.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