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다제내성균 환자 2명 확인

대부분의 항생제에 듣지 않는 다제내성균(多劑耐性菌.일명 슈퍼박테리아) 감염 환자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수도권의 한 종합병원에서 입원중인 환자 2명으로부터 NDM-1(뉴델리 메탈로 베타
락타메이즈-1) 유전자를 지닌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을 분리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NDM-1 CRE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 환자들은 모두 해외 여행 경험없이 같은 병원의 중환자실에서
장기간 입원중이었다.
50대 남성 환자는 간질성 폐질환을 오래 앓고 있어 스테로이드를 장기 복용해 면역력이 떨어진 상태였고,
또다른 70대 여성 환자는 당뇨, 화농성척추염으로 장기간 입원치료를 받아왔다.
복지부는 NDM-1 CRE의 경우 주로 중환자실에 장기 입원하거나 면역체계가 저하된 중증 환자에게 감염을
일으키며 감염이 되더라도 치료가 가능한 항생제가 있기 때문에 과도하게 불안해할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전병율 복지부 질병정책관은 "이번 다제내성균은 티게사이클린, 콜리스틴 등 두가지 치료 가능한 항생제가
있다"며 "일상생활에서 감염되거나 전파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는 현재 감염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추가로 정밀 조사를 실시중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달
1일부터 뉴델리형 카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에 대해 전국 44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표본감시체계를
가동해왔다.
질병관리본부는 앞서 지난 10월 NDM-1 CRE를 법정전염병으로 긴급 지정해 관리해왔다.
또 다제내성균 관리 차원에서 중환자실, 응급실, 투석실의 의료관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지침을 제정,
보급하는 한편 감염 관련 담당자에 대한 교육 훈련을 강화하고 표본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의료기관 지원을
확대했다.
아울러 병원내 감염예방 관리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감염대책위원회 설치 의무 대상을 현재 300병상 이상의
150개 의료기관에서 100병상 이상을 가진 1천189개 의료기관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중이다.
출처 : 연합뉴우스
일본의 수퍼박테리아(다제내성균) 발생
일본 동경의 데이쿄(帝京) 대학병원에서는 항생제에 듣지 않는다는 슈퍼박테리아(super-bacteria),
즉 다제내성(多劑耐性, multidrug-resistant , MDR)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 baumannii)에 환자 46명이
집단 감염돼 9명이 사망했다는 사실이 언론매체를 통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이 병원은 중증 환자 가운데 항생제 내성인 아시네토박터의 세균감염이 직접적인 사망 원인이라고 밝혔다.
일본에서 슈퍼박테리아의 병원 내 집단 감염은 2009년 후쿠오카(福岡) 대학병원에 이어 2번째로 이 병원은
사실을 알고도 1년 가까이 숨기고 있었다는 아유 때문에 사회문제가 되고있다. 아사히신문이 입수한 자료에
의하면 내성균과의 인과관계를 부정할 수 없는 최초의 사망자가 나온 것은 작년 10월이었으며 올 2월까지
3명의 의심환자가 사망한 것으로 확인했다.
이 아시네토박터균은 건강한 사람에겐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에게는 패혈증 등을
일으켜 치명적이다. 숨진 환자들은 대부분 백혈병이나 신부전 등으로 면역력이 크게 떨어진 상태였다.
항생제가 무용지물인 아시네트박터균은 지난 90년대 미국과 유럽의 병원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최근 1
0년간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이런 중에 영국 노팅엄(Nottingham)대학 연구팀이 바퀴벌레의 뇌조직과 신경계에 슈퍼박테리아를 죽일
수 있는 강력한 항생물질이 들어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놔 눈길을 끌고있다.
●슈퍼박테리아 'NDM-1'와
일본의 다제내성균 'MRAB'
진정한 슈퍼박테리아는 'NDM-1'가 유일
올들어 인도와 영국, 오스트리아 등에서 슈퍼박테리아(뉴델리형 카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NDM-1)가
발견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가 9월 6일 "일본에서 발생한 슈퍼박테리아가
국내에서도 이미 발견됐다"는 보도자료를 냈다가 슈퍼박테리아가 아니라 여러 가지 약제에 내성을 가진 균,
즉 다제내성균으로 표현을 바꿔달라고 기자들에게 긴급 요청하면서 논란을 증폭시켰다. 질병관리본부는
'슈퍼박테리아=치료불가=사망'이라는 등식이 성립한다는 오해를 불식하기 위해 이러한 조치를 취했다고
고백했다.
슈퍼박테리아란 원래 "특정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박테리아"를 일컫는 용어이다. 예를 들면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이라고 하면 메티실린 계열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황색포도상구균을 말한다.
엄밀하게 말해서 진정한 슈퍼박테리아는 "현존하는 어떤 항생제로도 치료되지 않는 세균"을 의미한다.
일본에서 발견된 MDR Acinetobacter는 '콜리스틴(colistin=polymyxin B)' 또는 'TG사이클린
(tigecycline = Tygacil)' 계열의 항생제로는 치료가 된다는 점에서 슈퍼박테리아가 아닌 다제내성균이며,
이를 슈퍼박테리아라고 불러 불안감을 조장할 필요가 없다는 게 질병관리본부의 설명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진정한 의미의 슈퍼박테리아는 인도, 파키스탄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영국(37건), 미국(1건) 및 가장 최근 일본에서도 발견된 CRE (Carbapenem Resistant Enterobacteriacae)이 유일하다. 이 신형 다제내성균은 항균제를 분해하는 'NDM-1'이라는 유전자를
가진다는 특성이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이 신종은 NDM1 유전자를 가진 대장균내지는 폐렴알균이지만
훨씬 병원성이 강한 살모넬라, 이질균 등에도 이 NDM1 유전자가 옮겨갈 수 있기 때문에 우려하고 있다.
●면역력 약해진 중증 환자에게 슈퍼박테리아 감염
항생제를 남용하면 슈퍼박테리아로 성장
질병관리본부는 "MRAB의 경우 국내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발견되는 상황"이라며 "최근 발견된 균이 아니고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슈퍼박테리아라고는 볼 수 없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우리 나라에는 항생제로 치료되지 않는 슈퍼박테리아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국내에서도 MRAB와
관련해 사망자가 지금까지 없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통상 슈퍼박테리아에 감염되더라도 사망원인이
폐렴이나 패혈증으로 나오기 때문에 실제 슈퍼박테리아로 사망했는지 여부를 알 수 없다.
공기로 전염되는 인플루엔자와 달리 슈퍼박테리아는 감염된 상처나 의료행위 등으로 옮긴다. 이 때문에
병원에서 주사를 맞고 감염될 수도 있다. 그러나 건강한 일반인들은 감염이 잘 되지 않는다. 영국의 신생아
사망이나 일본 감염자들의 경우도 병원 치료 과정에서 면역력이 약해진 상태에서 이 박테리아에 감염돼
모두 사망했다. 특히 우리 나라는 항생제 남용이 심각한 수준이라 위험성이 더욱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항생제를 남용하면 균이 내성을 가져 슈퍼박테리아로 성장할 수 있는 여지가 크다는 이야기다.
현재 질병관리본부에서 관심갖고 관리할 6종의 내성균은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균(MRAB),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RE), 다제내성 녹농균, 카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상구균(VRSA)이다.
●일본만의 문제인가... 국내 병원의 중환자실에도
카르바페넴 내성 아시네토박터(CRAB) 쉽게 검출
미국 국립 질병통제예방센터가 미국의학협회 저널에 실은 연구결과에 따르면 2006년 한해 동안 메티실린,
포도상구균에 효과가 있는 합성 페니실린에 내성을 가진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자는 9만4000명에 달하며
이중 약 1만9000명이 사망했다. 한편 국내 모대학병원에서 2009년 말 국제학술지에 제출한 논문에 따르면
2007년 10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중환자실 입원환자 57명 중 19명(35.8%)에게서 CRAB (Carbapenem Resistant Acinetobacter)가 검출됐고, 이중 4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됐다.
그러나 사망원인이 원래 만성질병 때문인지, CRAB 감염 때문인지는 더 면밀한 역학조사가 필요하다.
[2010년 9월 7일]
참고 http://blog.naver.com/kwansooko/50095933344 (성균관의대 고관수 교수)
[분수대] 수퍼박테리아
1942년 11월 19일 미국 보스턴의 한 나이트클럽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화상을 입은 400여 명의 운명은
그야말로 바람 앞의 등불이었다. 당시까지만 해도 화상을 입어 포도상구균이란 박테리아에 감염된 환자는
치료제가 없어 패혈증으로 대부분 숨졌기 때문이다. 이때 정제되지도 않은 ‘페니실린’이 사용돼 200여 명의
목숨을 구하는 기적을 만들어 냈다. 항생제 페니실린이 첫선을 보인 순간이다.
인류의 역사는 세균과 항생제의 전쟁이기도 하다. 인간의 몸에만 세균과 미생물 600조 개가 더불어 사니
그럴 만도 하다. 세균과의 전쟁에서 얻은 첫 성과물이 바로 페니실린이다. 페니실린이 등장한 건 고작
70년 전 일이다. 그전의 인류는 세균의 위협에 속수무책(束手無策)이었다. 14세기 유럽 인구의 4분의 1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페스트 또한 세균이다.
‘기적의 약’으로 불렸던 페니실린의 약발은 오래가지 못했다. 페니실린의 분자 구조를 파괴해 무력화해
버리는 신종 세균이 나타나서다. 40년대 말에 이미 포도상구균의 50%가 페니실린에 내성(耐性)이 생겼
다고 한다. 채 10년도 못 버티고 세균의 반격에 손을 들어 버린 셈이다. 인류는 ‘메티실린’ ‘반코마이신’
등 2세대, 3세대 항생제를 계속 개발해 재반격에 나섰지만 세균과의 전쟁은 승리를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다.
세균도 살아남기 위해 진화를 거듭하면서 돌연변이 ‘괴물 세균’이 잇따르는 탓이다. 이른바 기존 항생제가
통하지 않는 ‘수퍼박테리아’다.
에이즈(AIDS·후천성면역결핍증)보다 더 무서운 적이 수퍼박테리아다. 미국의 2005년 에이즈 관련 사망자는
1만2500명이지만 수퍼박테리아의 일종인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 감염 사망자는 1만8650명에 이른다.
엊그제 일본에선 수퍼박테리아인 ‘아시네토박터균(MRAB)’ 감염으로 9명이 사망한 소식이 전해져 온 나라가
시끄럽다. 한국도 2년 전 4명이 이 균 때문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돼 안전지대가 아니다.
지난달엔 ‘수퍼버그’로 불리는 신종 수퍼박테리아 ‘NDM-1’의 국제 확산에 대한 경고가 나와 지구촌 전체가
불안하다.
수퍼박테리아의 출현은 항생제 남용의 결과이기도 하다. 세균과의 전쟁에서 새로운 항생제 개발에 앞서
항생제 남용 방지가 우선돼야 하는 이유다.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고 했다.
인류가 페니실린 이전 시대로 돌아가지 않으려면 이 말부터 새길 일이다.
[중앙일보 김남중 논설위원 2010-09-07]
다제내성균 관리
질병관리본부는, 다제내성균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위하여 총 5종의 다제내성균* 중에서 NDM-1유전자를
함유한 CRE를 10월까지 지정 법정 전염병으로 긴급고시한다.
대처하기 위함이다.
다제내성균 중 기존 VRSA까지 총 6종을 감시하게 된다.
의료기관으로 하여금 인도, 파키스탄을 다녀온 의료기관 이용자나 여행자 중 중환자실 입원자에 대해서 NDM-1검사를
실시하거나 또는 검사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즉시 질병관리본부로 검사를 의뢰토록 할 예정이다.
(1,189개소)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현재 의료법 개정안이 ‘10.4월 국회 제출)
첫댓글 이런 보도가 나올때마다 엄청 불안합니다.()()()
수도권에서 발생했다고 보도 나옵니다.
장기입원 환자에게서 발생했다고 합니다.
일반인은 과도하게 불안해할것 없다는대요?
그만큼 병원이 각종세균에 무방비 사태라고 해야할것 같아요.()
너무 많은 약을 오남용하면 위의 결과가 나올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