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4:1
사람은 못 고쳐 쓴다는 말이 있어요. 일리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게 전적인 진리라면 새로움에 대한 희망을 가질 수 없습니다. 주 안에서도 그럴까? 베드로와 제자들도 안 변했는가? 그들의 연약함과 담대함이 성경에 다 드러납니다. 그들의 변화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신앙이 무엇입니까? 신앙은 삶을 선택하기 위해 죽음을 선택하는 문제로 죽음을 다른 죽음으로 이기는 일입니다. There's a saying that people can't fix things. There's a point. But if it's the whole truth, you can't have hope for newness. Is that the case in the Lord, too? Has Peter and his disciples not changed? Their weakness and gallantry are all revealed in the Bible. What can we learn from their change? What is faith? Faith is the matter of choosing death to choose life, and beating death to another death.
-
그 죽음을 영원한 죽음이 못 되도록 죽음과 맞 짱을 뜨는 일입니다. 물론 죽음을 이기신 예수님과 그분을 살리신 하나님을 믿고서 대드는 것이지요. “사도들이 백성에게 말할 때에 제사장들과 성전 맡은 자와 사두개인들이 이르러 백성을 가르침과 예수를 들어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는 도전함을 싫어하여 저희를 잡으매 날이 이미 저문 고로 이튿날까지 가두었으나 말씀을 들은 사람 중에 믿는 자가 많으니 남자의 수가 약 오천이나 되었더라(1-4).” It is a battle against death so that death cannot be eternal. Of course, you have faith in Jesus who overcame the death and God who saved him. "When the apostles spoke to the people, the priests, the temple officials, and the four individuals did not like the challenge of rebirth among the dead by teaching them and holding them up for Jesus, so they took them and locked them up until the next day. But many of those who heard the word said believed that the number of men was about 5,000 (1-4)."
-
사도행전 4장으로 오면 사두개인들과 제사장들과 성전 맡은 자들이 베드로와 요한을 중심으로 한 사도들을 붙잡아 갔다는 기록을 만납니다. 이것은 충격적인 기록이지만 복음이 전파되면 3000명이나 되는 숫자가 회개하는 일과 동시에 핍박이 일어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성경은 ‘어찌할 고’라는 회개와 예수를 믿는 믿음으로 초대되고 있는 것과 핍박을 부르고 죽음을 불러들였다는 얘기도 같이 하고 있습니다. If you come to Chapter 4 of the Acts of the Apostles, you will see a record that the four individuals, priests, and those in charge of the temple have captured the apostles centered on Peter and John. This is a shocking record, but it is natural that persecution occurs at the same time as 3,000 people repent when the gospel spreads. The Bible also talks about being invited to repent and believe in Jesus, and that they called persecution and death.
-
사도행전은 분명히 권능과 놀라운 기적과 능력으로 출발하고 있지만 그 능력과 모든 일어난 일들이 조직화 되고 세력화되고 폭발성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지 않습니다. 예수님의 열두 제자들은 하나 둘 씩 잡혀 죽고 예루살렘 교회는 와해되고 성령과 지혜가 충만하여 뽑혔던 일곱 집사들도 몇 가지 일을 한 이외는 죽어가고 없어지고 주님 앞에 친히 부름을 받았던 사람들이 그 일들로 말미암아 역사의 현장과 무대의 전면에서 퇴장합니다. The Acts of the Apostles are clearly starting with power, amazing miracles, and abilities, but they are not meant to be organized, influenced, and explosive. One by one, the twelve disciples of Jesus were captured and killed, the Jerusalem church was disbanded, and the seven deaconesses, who were selected with full of Holy Spirit and wisdom, were killed and disappeared except for doing a few things, and those who were personally called before the Lord left the scene of history and the front of the stage.
-
그 뒤를 잇는 것은 분발한 신자들의 거대한 기독교 세력이나 우리가 종종 보는 것같이 여의도 광장에 모이는 수많은 기독교인의 인파나 그런 식으로의 놀라운 부흥이나 거대한 집합이 아니고 점점 사그라지고 없어지고 희미해져서 결국은 그 일이 사도 바울로 연결되는 것 같습니다. 열두 사도, 예루살렘 교회, 일곱 집사 이런 것에서부터 시작해서 바울이라는 한 사람으로 사도행전의 기록이 축소되고 소멸되어 간다는 말입니다. What follows is not a huge Christian force of eager believers or a huge crowd of Christians gathering in Yeouido Square, as we often see, or a remarkable revival in that way, but rather a gradual disappearance and disappearance that eventually leads to apostolic Paul. It means that the record of the apostolic act is reduced and extinguished by one person, Paul, starting with the twelve apostles, the Jerusalem church, and the seven deacon.
-
결국 성경이 하고 싶은 말은 신자가 이 세상에서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 동안에 내가 가진 신앙과 그가 가진 결심들로 말미암아 세상에서 어떤 대접을 받을 것이냐에 대하여 분명하게 우리에게 이렇게 알려 주고 싶은 것입니다. 많은 성도들이 뜻밖에도 내가
신앙생활을 했으니, 내가 주를 의지하고 모든 것을 희생했으니, 이 세상에서 만족할 만한 보상을 받아야 된다고 기대하고 있을지 모릅니다. In the end, what the Bible wants to say is that while a believer is living his faith in this world, his faith and his resolutions will clearly tell us how he will be treated in the world. Many believers may be expecting that because I unexpectedly lived a life of faith, I relied on the Lord and sacrificed everything, I should receive a satisfactory reward in this world.
-
그러나 그것보다는 신앙생활을 하려고 하는 것 때문에 세상과 맞닥뜨리는 싸움, 그 환난, 그 위협 앞에 있는 처참함이 훨씬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막연하게 그런 기대를 갖고 있지 않습니까? 본문은 놀라운 일을 행하고 은과 금은 없거니와 내게 있는 것으로 네게 주노니 곧 나사렛 예수의 이름으로 일어나라고 해 놓고 사두개인들에게 잡혀서 감옥에 갔다는 것은 참으로 놀라운 기록인 것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그러면 신앙인이 무엇인가? However, there seems to be a lot more fights, hardships, and misery in front of the threat because of trying to live a religious life. But don't we vaguely have those expectations? The text does something amazing, and I soon ask you to rise up in the name of Jesus of Nazareth, and to be caught by the four individuals and imprisoned. What are believers, then?
-
세상을 어떻게 걸어야 하고 성경이 어떻게 우리에게 요구하고 있고 약속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분명한 눈을 가져야 됩니다. 우리가 기억해야 될 것은 이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왜, 사두개인들 같은 자들을 용납 하시는가 입니다. 말하자면 역사의 주인은 누구냐가 관건입니다. 역사의 주인이 하나님이시고 이 세상 모든 것을 창조하시고 주관하시는 이가 하나님이십니다. We need to have a clear eye on how to walk the world and how the Bible demands and promises us. What we have to remember is this. Why does God tolerate people like the four individuals? So to speak, the key is who is the master of history. God is the master of history and he who creates and supervises all things in the world.
-
우리가 그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이 하나님의 뜻을 어떻게 이루시려고 하느냐 하는 방법론에 대해서는 우리가 너무 무지한 것 같습니다. 이 세상은 곧 없어질 것입니다. 이제 영원한 나라에로 불림을 받을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그 뜻을 갖고 계시고 진행하고 계십니다. 그러나 이 세상은 어쨌든 공중 권세 잡은 이 어두움의 세상 주관자들이 다스리고 있습니다. We know that. But I think we are too ignorant of the methodology of how God intends to fulfill God's will. The world will soon disappear. It will now be called the eternal country. God has the will and is proceeding. But this world is ruled anyway by this dark world masterminded by the public.
-
그렇다고 그들이 하나님의 뜻을 방해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 이 땅에 사는 동안은 주를 믿고 사는 자들이 표면에 나서 이 세상과 물질계를 주장하고 있지 않고 이 세상을 추구하고 목적으로 삼고 있는 사람들이 이 세상과 물질계에서는 왕 노릇하고 권세를 잡고 있다고 성경은 분명히 얘기하고 있습니다. That doesn't mean they can interfere with God's will. The Bible clearly states that while living on this land, those who believe in the Lord come to the surface and do not claim the world and the material world, but those who pursue and aim for the world are king and have power in this world and the material world.
-
죽은 자의 부활을 믿는 사도들이 부활을 믿지 않는 사두개인들과 부딪히는 것은 당연합니다. 예수의 부활은 그를 사형시킨 유대지도자들의 선고와 형 집행을 무효화하고 불법화 하는 하나님의 액션입니다. 그래서 종교, 정치 지도자들은 부활을 전하는 사도들을 싫어했습니다. 세상과 성도가 충돌하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물을 역류해야 하는 물고기 입장에서 물과의 충돌은 불가피하다는 뜻입니다. It is natural that the apostles who believe in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encounter the four individuals who do not believe in the resurrection. The resurrection of Jesus is God's action to invalidate and outlaw the sentencing and execution of the Jewish leaders who put him to death. So religious and political leaders hated the apostles delivering the resurrection. It is natural for the world and the saints to collide. It means that from the standpoint of a fish that needs to reverse water, a collision with water is inevitable.
-
기득권 유지를 위한 필사적인 악의 발악으로 베드로와 요한이 투옥되었고 산헤드린 공의회가 소집되었습니다. 신자가 된 가장 중요한 표는 세상이 우리를 싫어하고 핍박한다는 사실입니다. 세상이 우리보고 어떻게 살라고 합니까? 양보하지 말라, 지지 말라, 약해지지 말라, 정직하지 말라 아닙니까. 기회가 왔을 때 밟아라, 정직 같은 것은 워싱턴 전기 읽을 때나 봐라, 내 사전에 정직은 없다, 양보는 없다. 미덕, 윤리는 집어치우고 일단 우겨라. 이것이 세상이 우리에게 요구하고 있는 것 아닙니까? Peter and John were imprisoned and the Council of Sanhedrin was convened in an effort to maintain their vested interests. The most important vote for becoming a believer is the fact that the world hates and persecutes us. How does the world tell us to live? Don't yield, don't lose, don't be weak, and don't be honest. Step on things like honesty when you read the Washington biography. There is no honesty in my dictionary, no concession. Put away the virtues and ethics and insist for now. Isn't this what the world is asking us to do?
-
그러나 성경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은 뭡니까?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 원수가 주리거든 먹여라. 악을 악으로 갚지 말라. 한 알의 썩는 밀알이 되라 입니다. 이러니 무슨 수로 세상에서 대접 받고 산다는 말입니까. 어디가 공통되는 부분이 있습니까?
아버지의 약속한 것, 권능을 입을 때까지 기다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기억해야겠습니다. But what does the Bible ask us to do? Love your neighbor as much as your body. Feed him for his enemies. Do not avenge him with evil. Be a piece of rotten wheat. How can you be treated and lived in the world? What do you have in common? I must remember my father's promise, that I am supposed to wait until I am empowered.
-
“이튿날에 관원과 장로와 서기관들이 예루살렘에 모였는데 대제사장 안나스와 가야바와 요한과 알렉산더와 및 대제사장의 문중이 다 참여하여 사도들을 가운데 세우고 묻되 너희가 무슨 권세와 뉘 이름으로 이 일을 행하였느냐(5-6).” 이것이 얼마나 험악한
분위기 인줄 아시나요? "On the next day, officials, elders, and scribes gathered in Jerusalem, and the priests, Annas, Gayabah, John, Alexander, and the priests, all participated, and they put the apostles in the middle and buried them. What power and under what name did you do this?" Do you know how harsh this atmosphere is?
-
이 상황은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과 그의 교훈을 싫어하는 권세를 가진 사람들이 다 모여서, 즉 오늘날 식으로 얘기하면 대통령, 대법관, 국회 의장 뿐만 아니라 그들이 부리는 모든 사람들, 별단 장군들 그리고 동네 깡패까지 다 모여서 몇몇 안 되는 사도들을 가운데 가둬놓고 너희가 무슨 권세로 무슨 힘으로 겁도 없이 일을 하느냐 라고 협박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In this situation, people of authority who hate the name of the Lord Jesus Christ and his lessons come together, in other words, in today's way, not only the president, the Supreme Court, the chairman of the National Assembly, but all the people they serve, the generals, and the neighborhood thugs are threatening to lock up some of the few apostles in the middle and how can you do things without fear.
-
이에 성령에 충만한 베드로는 하나님이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이 사람이 낫게 되었다고 말합니다.(8-12) 나는 성령 충만 이란 그 끝이 죽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아도 죽고 몸도 죽는 것 말입니다. 세상이 가진 권세. 세상이 던지는 돌을 막아내는 어떤 실력, 그것으로 인하여 저들을 항복시키는 기적과 권능을 사도들에게 맡긴 적이 없습니다. Peter, who is full of the Holy Spirit, says that this man has been healed in the name of Jesus Christ of Nazareth, whom God saved from the dead. (8-12) I think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means that the end is to die. It means that both the ego and the body die. The power of the world. I have never entrusted the apostles with any power to prevent the stones thrown by the world, the miracle and power to surrender them.
-
물론 복음서에서나 사도 행전 기록에서나 성경 여기저기에서 우리는 많은 기적을 대합니다만 기적이 기적으로 끝나는 것을 보지 못했고 기적으로 사람을 압도하는 기록이 없습니다. 기적은 언제나 시작에 불과 합니다. 주위를 환기시키는 정도지 기적으로 사람을 항복 시킨 적도 없습니다. 성령 충만은 어떤 의미에서는 그것이 한 사람을 항복시키는 방법으로 등장하기보다는 이미 항복한 사람에게 채워지는 것으로 등장합니다. Of course, we deal with many miracles here and there in the Bible, in the records of the deeds of the gospel and the apostles, but we haven't seen miracles end in miracles, and there are no records that overwhelm people with miracles. Miracles are always just the beginning. It's just a reminder of the surroundings, and it's never been a miracle to surrender a person. The fulfillment of the Holy Spirit appears in a sense as it is filled with the already surrendered rather than as a way of surrendering one person.
-
말하자면 우리가 기억하는 것 같은 어둠의 권세, 세상의 험악한 힘에 대하여 성도에게 맡긴. 우리가 가진 바 내용을 저들에게 전하고 싸워 이기고 우리의 가야할 길을 완수하게 하는 어떤 힘과 비방으로서 준 것은 없어 보인다는 것입니다. 빛이 갖는 특징은 어두움과 대조되는 것입니다. 빛은 어두움을 잡아먹어서 빛이 아닙니다. 그냥 빛이 임하면 어두움은 그 권세를 놓치게 되어 있습니다. That is to say, the power of darkness that we remember, the wicked power of the world, has been entrusted to the saints. It seems that nothing has been given to us as a force and slander to convey what we have, to fight, win, and complete our path. The characteristic of light is that it contrasts with darkness. Light is not light because it eats up darkness. Darkness is bound to lose its power when light comes along.
-
어두움이 짙어서 빛이 가려지는 예는 없습니다. 어두움이 짙으면 짙을수록 빛은 더욱 분명해집니다. 밝은 낮에는 촛불이 힘을 잃지만 밤이 되면 그것도 대단한 힘을 발휘합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빛이란 무엇을 식별할 수 있는 깨우침을 얘기하는 것이고 어두움은 반대개념인 깨우칠 수 없는 것을 얘기합니다. 빛의 최고 사명은 그 빛으로 무엇을 좇아 가서 하는 일이 있는 것이 아니라 빛이 빛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유일한 일이고 전부입니다. Darkness does not obscure the light. The darker the dark, the clearer the light becomes. The candle loses its power during the bright day, but at night it exerts a great deal of power, doesn't it? Light refers to enlightenment that can identify something, and darkness refers to the opposite concept, the unknowable. The only thing and everything about light is that it maintains its light, rather than there is something to do after something with it.
-
빛의 책임은, 빛이 빛 노릇을 하고 있을 뿐 사실 다른 곳을 쫓아다닐 필요가 없습니다. 그 빛을 어디에 꽂느냐 하는 것은 하나님이 하실 일일 것입니다. 가로등같이 띄엄띄엄 세워 놓으실 것입니다. 가로등을 한 군데로 모아 놓을 필요가 없습니다. 어두움을 적당히 몰아낼 만큼 가로등은 적당히 띄어 놓고 실내에 조명을 해도 띄엄띄엄하지 한 군데에 모아 놓지 않습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As for the responsibility of the light, it is only the light that is acting as light, so you don't actually have to chase it around. It will be God's job to plug it in. It will be set up spaced apart like streetlights. There is no need to put streetlights in one place. Streetlights are set appropriately enough to drive out darkness, but they are spaced apart even if illuminated indoors, so they don't put them together in one place. Right?
-
그러나 그렇게 하나가 자기의 빛을 발하고 있는 것으로 그 근처에 어두움들이 추방을 당합니다. 그때 잘 보십시오. 빛이 어두움을 칼질해서 쫓아 낸다기보다는 나 자신이 빛인 것으로 내 주변의 어두움은 쫓겨나는 것입니다. 성경의 이야기는 너희는 옛날에 어두움이었지만 이제는 빛이다, 아는 자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성도에게 준 유일한 무기입니다. But that's how one is emitting its own light, and the darkness around it is expelled. Look carefully then. Rather than cutting out the darkness by cutting out the darkness, the darkness around me is driven out by being the light. The story of the Bible is that you used to be the dark, but now you are the light, and you are the one who knows. This is the only weapon you gave to the saints.
-
다른 말로 해서 이것은 성도가 안 것으로 말미암아 변화된 그의 인생과 존재로서의 빛입니다. 그가 진리를 추적하고 하나님을 알고 그것을 믿고 있는 것이 그의 삶의 참으로 변화된 모습으로 나타난 사실로 증거 되는 것입니다. 나는 복음을 전하다가 어려움을 당한 적이 있는가? 제자들이 변화한 원인이 무엇일까? 나는 어두움을 비추는 가로등인가? In other words, this is the light of his life and being changed by what the saint knew. His pursuit of truth, knowing God, and believing in it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he has emerged as a truly changed form of his life. Have I ever had a hard time preaching the gospel? What is the cause of the change of the disciples? Am I a street lamp that shines a light on the darkness?
-
종교권력의 저항과 부흥(1-4)
a.종교지도자들의 반감:1-2
b.베드로와 요한의 투옥과 부흥:3-4
심문과 변론(5-12)
a.종교지도자들의 심문:5-7
b.베드로의 변론1:8-10
c.베드로의 변론2:11-12
-
사도들이 백성에게 말할 때에(1a)
제사장들과(1b)
성전 맡은 자와 (1c)
사두개인들이 이르러(1d)
-
예수 안에(2a)
죽은 자의 부활이 있다고(2b)
백성을 가르치고(2c)
전함을 싫어하여(2d)
-
그들을 잡으매(3a)
날이 이미 저물었으므로(3b)
이튿날까지 가두었으나(3c)
-
말씀을 들은 사람 중에(4a)
믿는 자가 많으니(4b)
남자의 수가 약 오천이나 되었더라(4c)
-
이튿날(5a)
관리들과 장로들과 서기관들이(5b)
예루살렘에 모였는데(5c)
-
대제사장 안나스와(6a)
가야바와(6b)
요한과 알렉산더와(6c)
및 대제사장의 문중이(6d)
다 참여하여(6e)
-
사도들을 가운데 세우고(7a)
묻되 너희가 무슨 권세와(7b)
누구의 이름으로(7c)
이 일을 행하였느냐(7d)
-
이에 베드로가(8a)
성령이 충만하여(8b)
이르되 백성의 관리들과 장로들아(8c)
-
만일 병자에게 행한(9a)
착한 일에 대하여(9b)
이 사람이 어떻게 구원을 받았느냐고(9c)
오늘 우리에게 질문한다면99d)
-
너희와 모든 이스라엘 백성들은 알라(10a)
너희가 십자가에 못 박고(10b)
하나님이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10c)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10d)
이 사람이(10e)
건강하게 되어 너희 앞에 섰느니라(10f)
-
이 예수는(11a)
너희 건축자들의 버린 돌로서(11b)
집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었느니라(11c)
-
다른 이로써는(12a)
구원을 받을 수 없나니(12b)
천하 사람 중에 구원을 받을 만한 다른 이름을(12c)
우리에게 주신 일이 없음이라 하였더라(12d)
-
첫 번째 박해_ First persecution_
부활의 사실성_ The Reality of Resurrection_
제자들의 변화_ The Change of Disciples_
건축자들의 버린 돌로서 집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신 주님, 하나님이 제시하신 유일한 구원의 길이 바로 예수그리스도이오니 지금 예수를 붙잡게 하옵소서. 복음을 증거 한 사도들이 붙잡혔지만 핍박을 받을수록 더 열매 맺는 하나님 나라를 봅니다. 언제나 복음이 전파되면 두 가지 반응이 나타나는데 그래도 개는 짖어야 할 것이고, 가로등은 빛을 비춰야 할 것입니다. 오직 주님만이 유일한 구원자이심을 믿고 안주하려는 나와 싸우겠습니다. Lord, who has become the headstone of the corner of the house as the abandoned stone of the architects, let us hold Jesus now because the only way of salvation God has presented is Jesus Christ. The apostles who proved the gospel were caught, but the more persecuted they are, the more they see the kingdom of God, which bears fruit. There are always two reactions when the gospel is spread, but dogs will have to bark and streetlights will have to shine a light. Only the Lord will fight me, who believes in the only savior and wants to be complacent.
2024.5.7.tue.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