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파랑길(Haeparang Trail)
'떠오르는 해와 푸른 바다를 보면서
너와 내가 함께 걷는 길'이란 뜻으로
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강원도 고성군 통일전망대까지
동해안을 따라 걷는
총 길이 770km의 걷기여행길이다
2010년 9월 15일에 문화체육관광부가
동해안 탐방로 이름으로
해파랑길을 선정하였으며
2016년 5월에 정식 개통하였다
차안에서 보는 멋진 구름
폭우로 인해 한주 연기 되었다가 한달만에 해파랑길을 걸으러 간다
계속되는 폭염에 조금의 걱정을 안고 출발하지만
바닷바람이 시원하게 불어 줄 것이란 기대를 해 본다
월송정 주차장에 도착하니
초록벌판이 눈부시다
바람도 산들산들~~
걱정했던 것보다 시원하다
곧 황금색으로 변하겠지~~
다리를 건너서 우회전하면 평해읍 관내에서 기성면 구산리로 들어서게 된다
황보천(黃堡川)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북쪽 오곡리와 기성면 황보리 유역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9km의 지방 2급 하천이다
조선시대 때 노씨(魯氏)가 많이 살고 있던 마을에 큰 화재가 발생하여 노씨는 떠나가고
황씨(黃氏)가 남게 되자 자기들의 성씨인 황자와 그 마을에 있었다는 큰 보(堡)자를 따서
황보리라는 마을이 생겼고 이 하천도 이 마을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울진군 기성면(箕城面)
북·서·남쪽으로 원남면(遠南面)· 온정면(溫井面)· 평해읍에 접하고 동쪽으로 동해에 면한다
면의 중앙부를 정명천(正明川), 남쪽 평해읍과의 접경 지역을 황보천(黃堡川)이 동류(東流)하는데
정명천 하구 부근에는 면에서 가장 넓은 기성 평야(箕城平野)가 있고 해안에는 사빈과 사구가
연속적으로 발달 해 있다
기성면에는 천혜의 경관을 자랑하는 망양해수욕장과 구산해수욕장이 있고 도 지정 문화재인
해월헌과 북천교비, 관동팔경의 하나인 월송정과 망양정, 성류굴과 불영계곡 등 관광명소가 있어
관광을 겸한 피서지로 알려져 있다
기성면 구산리(邱山里)
굴미봉(掘尾峰) 아래 동쪽으로 바다와 인접하고 있어 구산포(邱山浦)라고 알려진
이 구산(邱山)은 동쪽으로 망망대해를 바라보며 바다와 접하고 서쪽은 황보 2리
남쪽에는 평해읍 월송 2리 군무봉(軍舞峯)이 있으며 북쪽은 봉산 2리와 인접하고 있다
자연마을로는 운암, 백암, 도해암, 대풍헌 등이 있다
구산리는 지형이 거북의 꼬리와 같다 하여 구미(龜尾)로 불러오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울진군 기성면 구산리(邱山里)가 되었다
구산리 해변 소나무숲 캠핑촌 사이로 들어가서
(휴가절이라 그런지 사람들이 엄청 많다)
빠져 나오면 해변 가까이길을 걷는다
구산해수욕장(邱山海水浴場)
관동팔경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월송정 북쪽 해안에 자리하고 있는데
백사장 길이는 400m, 수심은 1.5~2m, 경사는 15~20도로, 깨끗한 바닷물과 넓은 백사장
완만한 경사, 울창한 소나무 숲으로 이루어져 가족 피서지로 적합하다
주변에 월송정과 애월헌·노동서원·명계서원 등의 문화유적지와 백암산·백암온천이 있고
후포 방파제 주위에는 스킨 스쿠버와 낚시·수상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
구산해수욕장의 모습
구산해변소공원
이 공원은 어촌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해양수산부의 지원을 받아 시행한 사업이다
2005년 10월 20일 울진군수
울진 구산항 앞바다는 난류와 한류가 만나
동해의 먼 바다(울릉도,독도) 방향으로 흘러가기 때문에
지형적으로 울릉도로 가기에 가장 적합한 위치입니다
대풍헌은 수토사가 구산항에서 울릉도로 출항하기 위해
순풍을 기다리며 머무르던 곳입니다
이곳은 수토사가 월송포진성에서 구산항(대풍헌)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표현한 공간입니다
수토사(搜討使)란
울릉도와 독도를 지키는 사람들을 말한다
울진 구산리 대풍헌에서 울릉도 태하리까지는
객선거리로 144km인데 순풍에 부는 날이면 이동하는데
약4노트(7.4km/h)의 속력으로19시간이 소요됩니다
조선시대 수토관 기록에 의하면
대풍헌에서 출항하여 하루낮 하루밤을 항해하면 울릉도에 도착했다고 합니다
이곳은 수토사가 출항하여 울릉도,독도 향해 순항중인 모습을 표현한 공간입니다
독도생태마당
독도는 화산암체로 이루어져 있어 식물이 살기에 척박한 환경이지만
땅채송화,해국 등 60여종의 식물이 제각기 군락을 이루며 자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해를 건너는 괭이갈매기,바다제비와 같은 철새들의 중간 서식지로
구원의 섬 역할를 하고 있으며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지역으로 플랑크톤이 풍부하여
우리가 자주 접하는 오징어,꽁치,복어를 포함하여 다양한 해양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칙으로 명백한 우리 고유의 영토인 독도에 수토사가 도착한 모습을
표현한 공간입니다
독도생태마당의 트릭아트 벽화
구산항
독도모형광장
수토사가 이용하였던 수토선 배 모형
봉산2리 쉼터 해안 끝에
최근에 조성된 듯한 백암 김제 충절시 시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울진군 기성면 봉산리(峰山里)
동쪽은 동해에 접하고, 서쪽은 뒷산으로 봉수산(峰燧山)이 솟아 있으며
남쪽은 구산 2리와 인접하고, 북쪽은 정명천(正明川)이 동해로 흐르는 하류로
기성리와 접하고 있는데, 해안의 암벽이 절경을 이루고 있다
자연마을로는 항공(項谷), 춘향계(春香溪), 갈마봉(歇馬峯) 등이 있는데
춘향계는 계곡에서 향긋한 물이 흐르고 있어 춘향계(春香溪)라 불러지고 있다
갈마봉은 산의 모양이 말과 같다 하여 갈마봉(歇馬峯)이라 한다
봉산2리 해변가의 기암
은근한 오르막길을 오른다
다시 해변을 만나고
물양장(物揚場)
수심이 4.5m 미만이고, 1천 톤 이하의 소형 선박이 접안하는 간이 부두시설을 말한다
참고로 선양장(船揚場)은 소형 선박의 수리, 파랑(波浪)이나 고조(高潮)에 대한 피난, 월동, 보관 등을
위해 선박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시설이다
파도가 꽃이 되다
아침에 피었다가 지고마는~~♬
추난개교를 건넌다
이 마을은 계곡에서 향긋한 물이 흐르고 있다 하여
춘향계(春香溪)라 불리는 마을인데 추낭 혹은 추난개로도 불리고 있다
봉산1리(항곡) 버스정류장을 지나
끝이 안보이는 도로따라 걷는다
울진 비행훈련원 담벼락이 보인다
바람도 시원하여 잠시 쉼을 하고
울진 비행장(蔚珍飛行場)
울진군 기성면 봉산리에 위치한 비행장이다
원래 이곳은 일반 공항을 목표로 건설되었으나
항공 수요 부족으로 건설이 지지부진하다가 2010년 7월
울진비행교육훈련원 개원에 맞추어 울진비행장이 준공되었다
울진비행교육훈련원은 울진 비행장에 문을 연 조종사 훈련 기관으로
울진비행교육훈련원의 운영주체는 항공대 비행교육원과 한항전 비행교육원인데
각각 이 두 곳에서 조종사 지망생들을 선발하고
비행교육과 지상 학술을 교육한다
이 과정은 유료로 진행되고 비행시간은 총 190시간 정도이며
자가용 조종사 면장과 사업용 조종사 면장을 취득하는 과정이라고 한다
낭아초
기성교를 건너간다
척산천
길가에 백일홍나무가 쫘아~~
화사하게 꽃이 피어 이쁘고 아름답다
척산리(尺山里)
동쪽에는 기성리(箕城里)와 동해가 있고 서쪽은 정명천(正明川) 상류가 흐르고 있으며
남쪽은 탕건봉(宕巾峯)으로 둘러싸이고 북쪽은 사동리(沙銅里)와 인접하고 있다
뒷산은 금장산(金藏山) 지맥이 동쪽으로 뻗어 망질봉(望侄峯)이 되었다
자연마을로는 서창(西倉), 망질봉(望侄峯), 화수정(花樹亭), 용당골 등이 있는데
용당골(龍塘谷)은 마을 앞의 큰 못에 용이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망질봉(望侄峯)은 서울로 과거를 보러 보낸 후 사람들이 산에 올라가서
매일 같이 돌아오기를 기다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24코스 마지막이자
25코스 시작점인 기성버스정루장이 보인다
스탬프를 찍고 25코스를 시작한다
농로따라 걷는다
고향생각 절로 나게하는
농로길이 참 예쁘다
나래가막사리
박주가리
오른쪽 보이는 건물은 울진비행훈련원 기숙사
다시 도로다
기성리(箕城里)
동쪽으로 동해와 바로 접해 있는 전형적인 어촌 지역이다
마을 남쪽으로 기산항이 있어 수산업이 활발한 지역이다
서쪽에는 기성(箕城)들, 음지들이 넓게 펼쳐져 있고
남쪽은 정명천의 하류이다
기성 마을은 평해의 옛 고을인 기성현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또 다른 설은 기성(箕城)이란 마을 이름이 남~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마을의 모양이 배같이 생겼다 하여 부르게 되었다고도 한다
자연 마을인 사미정 마을은 아름다운 경치, 곧 곡대, 용추, 부운, 송림, 환포, 어적을 따서 이름 붙여졌다
끝이 안보이는.......
길가에 나래가막사리가 지천으로 피어
도로따라 걷는 지루함을 달래준다
오호~~!!!
바다가 살짝...
시원한 바람도 함께
사동 방파제와 등대가 보인다
기성면 사동리(沙洞里)
사동(沙銅)이란 마을 이름은 이 지역에 모래가 많고
광물질 (鑛物質)이 매장되어 있다고 구전되면서 불리게 된 것이라 한다
동쪽은 동해와 접하였고 서쪽은 모악산(馬岳山)을 경계로 삼산리(三山里)가 있으며
남쪽은 전설이 담긴 도지 고개를 지나 척산 3리와 기성리가
북쪽은 흙리고개와 진불백사장을 경계로 망양 1리가 있다
사동리는 상사동(上沙銅), 하사도(下沙銅), 주담(周潭)의 3개의 자연마을이 있는데
상사동(上沙銅)에는 본 마을 외에 장밭골, 돌담 마을이 있고
하사동(下沙銅)은 세천(細川)을 경계로 남쪽 마을이 염전마 북쪽 마을이 장장골이다
사동방파제
사동3리쉼터에서 잠깐 쉴려다 패스한다
사동항
1996년 보수 사업을 실시하여 북방파제, 남방파제, 방사제, 파제제, 진입 도로
물량장, 호안, 선양장, 석산 복구 등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완료하였다
사동항은 기성면을 중심으로 한 어업 전진기지이자 자연재해에 대비한 대피 항만이다
사동항에서는 울진대게, 울진 오징어, 고등어 등 주요 어획물의 처리를 담당하고 있다
최근 사동항은 어항의 기본적 역할뿐만 아니라 바다낚시꾼들과 스킨스쿠버 동호인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며 사동항 인근에 있는 사동항 등대는 드라마 '폭풍 속으로'의 촬영지로
관광객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가로수를 향나무로 쫘아~~~멋지다
다리밑을 보니 물고기가 때를 지어 간다
어느 집에 피어있는 백리향
동물이동통로 아래 시원하게 쉼을 한다
오늘 코스는 유난히 도로를 걷는 것이 많다
다시 바다가 보이고~
기성면 망양리(望洋里)
관동팔경의 하나인 망양정이 있으므로 망양동이라 하였는데
대곡천(大谷川)을 경계로 망양(望洋)이라 하였다
망양리 동쪽은 동해와 접하고 북서쪽은 현종산(懸鍾山, 416.7m)이 높이 솟아
덕신리와 접하고 남쪽은 국도를 따라 사동리와 인접해 있다
주민의 대부분이 어업에 종사하여 주요 수산물은 오징어·고등어·전어 등의
어획과 미역의 채취로 수익을 올리고 있다
파도소리 너무너무 조으다
무조건 발벗고 걸어야 하는....
나도 저곳을 걷고 싶지만
도로따라 얌전하게 걷는다~~ㅎㅎㅎ
앞에 해무가 깔린다~~
참지 못하고 나도 파도를 만난다
발을 간지럽히는게 너무 좋다
완전 신난 ~~
많이많이 즐기시소서
이 기분 어쩔 것인가~~ㅎㅎㅎㅎㅎ
발자욱을 열심히 남겨 보지만
파도가 싹 지운다
다음에 발자국 찾으러 오시어요~~ㅎㅎㅎ
누구의 발자국일까요.....?????
어른도 아이들도
멋진 파도에 마음을 빼앗기고......
기성망양해수욕장(箕城望洋海水浴場)
원래 관동팔경의 하나인 망양정이 있었던 곳이라 하여
망양정해수욕장과 구분하여 기성망양해수욕장이 되었다
완만하게 펼쳐진 백사장은 길이 600m, 폭 80m이고
수심은 1,5∼2m 정도로 비교적 얕은 편이며
백사장 뒤 도로 주변으로 소나무들이 병풍처럼 늘어서 있어
해수욕 후 햇살을 피해 휴식하기 좋으며 야영장과 오토 캠핑장도 마련되어 있다
백암온천과 덕구온천이 차로 1시간 거리에 있으며
이 해수욕장은 새로운 2000년을 맞아 해맞이 장소로 새롭게 입소문을 타면서
유명해지기 시작했는데 해수욕장의 백사장과 수평선이 거의 일직선상으로 보여
이곳에서 해맞이를 하면 마치 바로 눈앞에서
해가 바로 떠오르는 것 같은 착시현상을 일으킨다고 한다
제대로 파도를 즐기고 있는 모녀
아름다움 그 자체이다
보기 너무 좋다
이런 시간들이 먼훗날 이쁜 추억으로 새록새록 ~~
하나뿐인 울딸이랑 저렇게 해 보지 못함이 참 아쉽고
딸에게 미안함이 가득 해 진다
참으로 이쁜 파도치는 날이다
그렇게 멋진 파도에 취한~~
기성망양해변에서 오늘 코스를 마무리 한다
맨발로 파도 없는 백사장을 걸으니
불에 데이는 것 같이 뜨거웠다는~~
산악회에서 뒷풀이로 준비한
삼계탕으로 맛나게 영양보충하고 출발한다
버스 안에서 보는~
하늘에서도 파도가 치는 것처럼
구름쇼를 본다
거의 다 왔을때 천둥,번개,바람과 함께 세차게 소나기가 내린다
도착하고 짐을 내리고 나서도 더 세찬비랑 하늘이 번개로 번쩍번쩍~~
도저히 움직일 수가 없다 어느 가게 간이 처마 밑에서 잦아 들기를 기다린다
그렇게 30여분을 서 있다가 잦아 들어 움직인다
2023. 8. 6(일)
첫댓글 멋진 사진들을 잘 보고 갑니다.
지나는 길에서 만난 꽃들을 모두 담으셨네요.
감사합니다.
다양한 모습들^^
해설까지~
좋은 구경 잘 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