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진주강씨임계정
 
 
 
카페 게시글
역사 이야기 스크랩 호(號) 조사 ---- (마)
대산 강원기 추천 0 조회 202 15.03.26 21:08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   
  •  

    마연도인()-김정희(金正喜,1786∼1856)조선후기의 문신.북학파(北學派)의 한 사람,

    마하(摩河)-선주선(宣柱善,)서예가,철농(鐵農)이기우의 제자,

    만각재(晩覺齋)-변상면(邊相勉,1779~1853)조선 후기의 학자.

    만각재(晩覺齋)-신갑준(申甲俊,1771∼1845)~

    만각재(晩覺齋)-이동급(李東汲,1738~1811)조선후기의 학자.

    만경(晩耕)-강명선() * 제주중앙로타리클럽 회원.

    만구(晩求)-이종기(李鐘杞,1837~1902)~

    만귀(晩歸)-장창우(張昌雨) 1760년경에 이 마을에 입촌하여 초막을 짓고 후학을 가르치며 만년을 보냈던 도학사상 요람이었다.
    만귀(晩歸)-황여일(黃汝一,1556∼1623)공조참의(工曹參議)지내고 이조참판에 추증.
    만농(晩農)-홍정표(洪貞杓,1907-1991)제주시 출신의 사진가이자 민속학자.

    만당()-이종준()→

    만랑(漫浪)-황 호(?,1604~1656)조선인조 때의 문신.

    만량(漫浪)-이 녕(李寗,1527~1588)~

    만보당(晩保堂)-김수동(金壽童,1457-1512)中宗때 영의정을 지냄.

    만봉(蔓峯)-민완호(閔完鎬)→

    만사(晩沙)-심지원(沈之源,1593-1662)孝宗때 영의정을 지냄. 

    만사(晩沙)-정창주(鄭昌胄,1606~1664)~ 조선 후기의 문신.

    만산(晩山)-강면호(姜冕鎬)~ 자는 주오(周五)요.천자(天資)가 광후하고 효우(孝友)가 독지(篤至 : 돈독하고 지극함).

    만산(晩山)-강 용(1846~1934)유학자,

    만서(晩瑞)-박종석(朴鍾錫)~ 호림정 접장좌목,

    만성(晩性)-이용구(李龍九,1812∼1868)~ 소설가,조선말기의 학자,충북 음성에서 출생하였다.

    만송(晩松)-권재직(186?~195?)~ 유학자,추연 권용현의 부친,
    만송강(萬松岡)-강희맹(姜希孟,1424∼1483)~ 朝鮮前期의 文臣,

    만암(曼庵)-종 현(1876~1956)~ 승려.

    만오(晩悟)-신달도(申達道,1576~1631)~ 조선후기의 문신.

    만오(晩悟)-이흥종(李興種,)강원 평창 거주,한시 시인,

    만오(晩悟)-한용구(韓用龜,1747-1828)~ 純祖때 영의정을 지냄. 

    만오당(晩悟堂)-서사원(徐思遠,1550~1615)~ 조선중기의 학자.

    만옹(漫翁)-윤 순(尹 淳,1680-1741)- 서예가.

    만옹(漫翁)-이정기(李廷機,1613~1669)~ 충주진병마절제사를 지냄.

    만옹(晩翁)-조유환(曺宥煥)~ 1928년에 창녕 조씨 만옹 조유환(晩翁 曺宥煥)에 의해 만옹정(晩翁亭)창건,

    만우(晩愚)-강찬규(姜纘奎,1840~1898)~ 자는 문윤(文允)이요.진양인이다. 젊어서부터 전재가 있고 거자(擧子:과거공부)를 업(業)으로 하여 문(文)에 능한 성명(聲名)이 있었다. 천성이 또 돈독하고 효성스러웠으니 집이 매우 가난하였으되 부모를 섬김에 능히 감지(甘旨)를 넉넉하게 하였다.  

    만운(晩雲)-정충신(鄭忠信,1575~1636)~ 朝鮮時代 때의 무신(武臣).

    만울(晩蔚)-강우온(姜宇 )~ 자는 휴중(休重)이요  농와 곤(聾窩  )의 아들이다. 천자(天資)가 온수(溫粹)한데 힘써 배우고 스스로 지키며 마음을 기울여 의(義)로 향하니 사람에게 추천되어 여러번 천염(빛나게 천거)에 들었다.
    만은(晩隱) 조윤녕(趙允寧)~

    만이천봉주인(萬二千峰主人)-김규진(金圭鎭,1868 ~1933)~ 書?家.號=해강(海崗).무기옹(無己翁). 서화 연구회를 창설하여 근대 한국 서화 미술 발전에 공헌하였다,

    만전(晩全)-기자헌(奇自獻,1562-1624)~ 光海君때 영의정을 지냄. 

    만전(晩全)-홍가신(洪可臣,1541~1615)~ 조선시대 14대 선조 때의 문신.

    만전당(晩靜堂)-서종태(徐宗泰,1652~1719)~ 조선후기의 학자.

    만절(晩節)-박원형(朴元亨,1411-1469)~ 睿宗때 영의정을 지냄.

    만정(晩靜)-서종태(徐宗泰,1652-1719)~ 肅宗때 영의정을 지냄. 

    만주(晩洲)-정창주(鄭昌胄,1606~1664)~ 조선후기의 문신.

    만주(晩洲)-홍석기(洪錫箕,1606~1680)~ 조선후기의 문신.

    만죽헌(萬竹軒)-서 익(徐益,1542~1587)~ 조선중기의 문신.

    만천(蔓川)-이승훈(李承薰 : 1756~1801)~ 국내 천주교 최초 영세자.인천에서는 한국 최초로 세례를 받고 신유박해 때 순교.

    만초(萬初)-정대철(鄭大哲)~정치인,

    만취(晩翠)-김시우(金時宇.1875~1918)~한말의 유명한 한학자,

    만취(晩翠)-김 위(金 偉.1532~1595)~ 조선개국 공신인 예림군 김균의 7대손으로.말년에는 벼슬을 버리고 귀향하여 독서로 여생을 보냄.

    만취(晩翠)-심원표(沈遠杓,1853∼1939)~ 조선말 감역(監役)을 지냄.

    만취(晩翠)-오억령(吳億齡,1552~1618)~ 조선중기 문신.

    만취(晩翠)-조 수(趙須,생몰 미상)~ 조선초기의 문신,

    만취당(晩翠堂)-권율(權慄,1537~1599)~ 조선 중기의 명장. 본관 안동. 자 언신(彦愼). 충장공(忠壯公)

    만취당(晩翠堂)-심통원(沈通源,1499~1572)~ 조선중기의 권신,척신,좌의정(左議政).

    만취정(晩翠亭)-심원표(沈遠杓,1853~1939)~ 한말의 대학자이며 절사(節士).

    만퇴헌(晩退軒)-신응구(申應?,1553~1623)~ 조선중기의 문신,학자.

    만포(晩圃)-이민적(李敏,1663~1744)-

    만해(卍海)-한용운(韓龍雲,1879~1944)~ 충남 홍성 출신,독립운동가,시인,불교사상가.

    만향(曼香)-김정희(金正喜,1786∼1856)~ 조선후기의 문신.북학파(北學派)의 한 사람,
    만향노인(曼香)-김정희(金正喜,1786∼1856)~ 조선후기의 문신.북학파(北學派)의 한 사람,

    만헌(蔓軒)-민갑식(閔甲植,생몰未詳)- 효자(孝子),자(字)는 동환(東煥),의암 회삼(義庵 懷參)의 后,만봉(蔓峯) 민완호(閔完鎬)의 손(孫)이다.

    만헌(晩軒)-정 염(丁焰,1524~1609)~ 조선 중기의 문신.정여립 모반사건을 평정한 공로로 원종공신 1등에 녹선되었다.

    만호(萬戶)-한백록(韓百祿,1555∼1592)~ 강원 춘천을 대표하는 무신.임진왜란 첫 해전 승리 이끈 주역.장군.

    만회(晩悔)-권득기(權得己,1570~1622)~ 조선중기 광해군 때의 문신. 예조좌랑을 지냈다.

    만회(晩悔)-손종수(孫鍾壽)~

    만회(晩悔)-손종주(孫鍾籌)-

    만회(晩悔)-조사석(趙師錫,1632∼1693)~ 문인,정치인.右,左議政에오름.

    만휴(晩休)-조사석(趙師錫,1632∼1693)~ 문인,정치인.右,左議政에오름.

    망세정(忘世亭)-심 선(沈璿, ? ∼1467)~ 조선조 단종 때 대제학을 지낸 명신.

    망와(忘窩)-김영조(金榮祖,1577~1648)~ 조선중기의 문신.어사로 6차례나 나갔다.

    망우당(忘憂堂)-곽재우(郭再祐,1552∼1617)~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자는 계수(季綏).망일당(望日堂)-전익희(全益禧,1598∼1659)조선중기의 문신.정경세(鄭經世)의 문인이다.

    망헌(忘軒)-이 주(李?,1468~1504)~ 조선중기의 문신.

    매간(梅澗)-이익상(李翊相,1625~1691)~ 조선후기의 문신.

    매계(梅溪)-임 정(林淨,1654~1710)~ 매계공()은 남원부사를 거쳐 강화유수를 지낸 인물이다.
    매계(梅溪)-조 위(曺偉,1454~1503)~ 朝鮮時代 9대成宗때의 詩人.

    매매헌(梅軒)-윤봉길(尹奉吉)~

    매산(梅山)-이하진(李夏鎭)- 성호 이익의 부친,

    매산(梅山)-홍직필(洪直弼,1776~1852)~ 조선 후기의 주리파 성리학자로 문장에 뛰어났고 육경은 물론 제자백가에 통달하였다.

    매산(梅汕)-황영두(黃永斗,1881~1957)- 경남 진주시에서 활동한 한국화가.

    매서(梅西)-김극영(金克永,1863~1941)~ 의성(義城)사람이다. 중재-김황의 父.

    매수(梅?)-조희룡(趙熙龍,1789~1886)~ 조선후기 서화가.김정희(金正喜)의 문인이다.

    매암(梅巖)-이숙량(李叔樑,1519∼1592)~조선중기의 문신.이현보의 아들 이퇴계(李退溪) 문하의 성리학자로 문장과 글씨에 뛰어나 당대에 이름을 떨쳤다.

    매오(梅塢)-강 건(姜鍵,1818~1881)~ 자는 계현(啓玄)이요.가의대부에올랐다.

    매운당(梅雲堂)-이조년(李兆年,1269~1343)~ 고려의 원종-충혜왕 때의 문신·시인·문인이며 학자이다.
    매원(梅園)-서기순(徐箕淳,1791∼1854)- 예조판서.

    매월(梅月)-황여일(黃汝一,1556∼1623)~ 공조참의(工曹參議)지내고 이조참판에 추증.

    매월거사(梅月居士)-김시습(金時習,1435~1493)~ 자는 열경(悅卿),조선초기의 학자이며 문인이요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매월당(梅月堂)-김시습(金時習,1435~1493)~ 자는 열경(悅卿),조선초기의 학자이며 문인이요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매월당(梅月堂)-이극배(李克培,1422-1495)~ 成宗때 영의정을 지냄. 

    매월송풍(梅月松風)-김민순(金敏淳,1776∼1859)~ 歌客.자는 愼汝.

    매월처사(梅月處士)-김시습(金時習,1435~1493)~ 자는 열경(悅卿),조선초기의 학자이며 문인이요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매은(梅隱)-강식준(姜式儁,1734-1800)~ 조선 후기의 문신.자는 미중(美仲)이요,

    매은(梅隱)-강흥운(姜興運,)~

    매은당(梅隱堂)-박동명(朴東命, ? ∼1636?)~ 조선중기 선조 때의 문신.임진왜란 때 선봉으로 출전.증 공조판서(贈工曹判書),
    매장(梅庄)-김지남(金止男,1559~1631)~

    매죽와(梅竹窩)-노극성(盧克成).

    매죽헌(梅竹軒)-성삼문(成三問,1418~1456)~ 사육신중의 한분.

    매죽헌(梅竹軒)-이 완(李浣,1602∼1674)~ 효종의 북벌정책을 추진한 문무(文武) 겸비의 장군 이완장군(李浣將軍).우의정이됨.

    매죽헌(梅竹軒)-이 용(李 瑢,1418~1453)~ 안평대군(安平大君).세종의 셋째 아들.서예와 시문(詩文),그림,가야금 등에 능함.

    매창(梅窓)-정사신(鄭士信,1558~1619)조선중기 문신.강원도에서 토병을 모아 많은 왜적을 살해한 공으로 선산군수에 등용.

    매천(梅天)-박치기(朴致箕)~ 가선대부(嘉善大夫)로 공조참판을 지냄.
    매천(梅泉)-유택규(柳鐸圭,1891~1977)- 간재 전우의 문하,

    매천(梅泉)-황 현(黃玹,1855~1910)漢詩作家,조선후기의 우국지사(憂國之士)인 학자이다.구한말시인.

    매촌(梅村)-강덕룡(姜德龍 ? ~ 1627)조선중기의 무신.

    매촌(梅村)-김홍기(金洪基)~

    매하(梅下)-강상오(姜相五)자는 주호(周祜).

    매하(梅下)-최영년(崔永年,1856~1935)한국의 교육자·언론인·문인이다.

    매하산인(梅下山人)-최영년(崔永年,1856~1935)漢詩作家,한국의 교육자·언론인·문인이다.

    매헌(梅軒)-강석기(姜錫基)죽봉의 넷째아들.

    매헌(梅軒)-권 우(權遇,1363~1419)고려 말에서 조선 초의 학자.

    매헌(梅軒)-금 보(琴輔,1521~1584)조선중기의 학자.벼슬하지 않고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공부하였다.

    매헌(梅軒)-윤봉길(尹奉吉,1908~1932)도시라 폭탄의 의사(義士)

    매호(梅湖)-진 화(陳?,생몰미상)고려후기의 문신.

    매화구주(梅花舊主)-김정희(金正喜,1786∼1856)조선후기의 문신.북학파(北學派)의 한 사람,

    매화구주초잡암(梅花舊主)-김정희(金正喜,1786∼1856)조선후기의 문신.북학파(北學派)의 한 사람,

    먼구름()-한형석(韓亨錫,1910∼1996)일제 강점기 광복군에서 활약한 독립운동가.예술가.

    면소(면巢)-이도영(李道榮,1884∼1933)서화가.서울 출신.안중식,조석진의 문인,글씨는 예서·행서에 능했고, 그림은 특히 산수·인물·화조·절지·기명 등에 뛰어났다. 1918년 조석진·안중식·김응원·오세창 등과 함께 서화협회를 조직, 조선 미술전람회의 동양화부 심사위원을 지냈다.
    면암(勉菴)-최익현(崔益鉉,1833~1907)조선말기의 애국지사.

    면앙정(?仰亭)-송 순(宋純,1493~1583)조선중기 때의 문신. 면앙정가단의 창설자,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선구자.

    면우(?宇)-곽종석(郭鍾錫,1846∼1919)조선말기의 유학자.

    면재(勉齋)-정을보(鄭乙輔)고려후기(高麗後期)의 문신(文臣)이다.
    명고(明皐)-서형수(徐瀅修,1749~1824)조선시대의 문신.음보 방식을 통해 관직에 재임,이조참판과 경기도관찰사가 되었다.

    명곡(明谷)-최석정(崔錫鼎,1646~1715)肅宗때 영의정을 지냄.

    명남루(明南樓)-최한기(崔漢綺,1803∼1879)조선후기 지식인.실학자,과학사상가.

    명성당(明誠堂)-이 여(李 璵,1425~1432)~ 광평대군(廣平大君).아버지는 세종,어머니는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이다. 

    명숙(明肅)-성 준(成俊,1436-1504)~ 燕山君때 영의정을 지냄.

    명재(明齋)-윤 증(尹拯,1629∼1714)~ 조선숙종 때의 학자.

    명적(明寂)-도의(道義,생몰미상)~ 신라후기의 스님.중국구법승.九山禪門 중 하나인 迦智山門의 개조이다.

     

    모계(茅溪)-문 위(文緯,1555∼1632)- 조선중기 문신.고극현감(高靈縣監)을 지냄.

    모당(慕堂)-손처눌(孫處訥,1553∼1634)~ 조선중기의 학자.정구 문하에서 사사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서사원 등과 의병을 일으켰다. 1600년 고향 근처에 영모당을 짓고 향교 재건과 후진 양성에 주력하였다.

     

    모산(茅山)-최기필(崔琦弼,1562~1593)~ 조선중기의 의병.

    모악(暮嶽)-권 율(權慄,1537~1599)~ 조선중기의 명장.충장공(忠壯公),

    모암(慕庵)-오명항(吳命恒,1673∼1728) 우의정(右議政).  본관-海州人  號=영모당(永慕堂)  시호=
    모암(茅菴)-윤양희(尹亮熙,1942~현재) 전각가,漢詩作家,호(號)는 눌뫼 등이며 충남 청양에서 출생하였다.
    모와(某窩)-정태균(鄭泰均)구한말 승지를 지냄.

    모의재(募義齋)-심 정(沈汀,1568~1592)~ 부(父)는 심등(沈登).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 문경 마포(麻浦)에서 각 군의 의병과 합세하여 신립(申砬)장군 진에 나아감.


    모재(慕齋)-김안국(金安國,1478~1543)~ 조선(朝鮮) 중종(中宗) 때의 문신(文臣),학자(學者).
    명현인,조광조(趙光祖)·기준(奇遵) 등과 함께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도학에 통달하여 지치주의(至治主義) 사림파의 선도자가 되었다.

    모현(茅峴)-황인표(黃仁杓)서예가,

    목계(木溪)-강 혼(姜渾,)  *조선대제학(大提學),시호=문간공(文簡公),증조부는 영의정 맹경이고, 아버지는 인범이다.

    목당(穆堂)-김평호(金坪鎬)서예가,
    목산(木山)-이기경(李基敬,1713∼1787)조선의 문신.27세에 문과에 장원급제.

    목우(木牛)-손수협(孫秀協)→

    목원(?原)-김 구(金龜)→

    목원(木園)-한성순(韓星順)- 서예가,

    목은()-이 색(1328~1396)이곡의아들.

    목재(木齋)-이병휴(李秉休)~

    목재(木齋)-이삼환(李森煥)조선후기의 실학자이다.성호 이익의 증손자,이삼환(李森煥) 부자는 경학의 대가였다.

    목재(木齋)-홍여하(洪汝河,1621-1678)~ 조선후기의 문신,학자.병조좌랑,사간을 역임했다.

    목향(木香)-함인석(咸仁錫)서예가,한국서가협회 초대작가 (17기),대한민국서예전람회 입선, 특선.

    몽백(夢白)-정문경(鄭文卿,1922~2008)~ 충남 청양(靑陽)출신,한국의 전각가, 전각, 인장, 호=회정(懷亭),

    몽어정(夢漁亭)-서문중(徐文重,1634-1709)肅宗때 영의정을 지냄.

    몽와(夢窩)-김창집(金昌集,1648-1722)肅宗때 영의정을 지냄.

    몽인(夢人)-정학교(丁學敎,1832∼1914)朝鮮時代末의 서화가(書?家).관직은 군수(郡守)를 지냈다.

    몽중몽인(夢中夢人)-정학교(丁學敎,1832∼1914) 朝鮮時代末의 서화가(書?家).

    무경려(無竟廬)-김양동(金洋東,1943년경북의성출생)~ 전각가,철농(鐵農)이기우의 제자,

    무곡(無谷)-윤  강(尹 絳,1597-1667)~ 소정공파.

    무곡(茂谷)-최석화(崔錫和)- 서예가,

    무기옹(無己翁)-김규진(金圭鎭,1868 ~1933)?家.號=해강(海崗).만이천봉주인(萬二千峰主人),서화 연구회를 창설하여 근대 한국 서화 미술 발전에 공헌하였다,
    무능수(無能未)-각진국사(1270∼1355)고려시대 수선사(修禪社)16국사 중 제13세국사.법명-각진(覺眞).

    무량(無量)-이상화(李相和,1901~1943)시인,

    무릉도인(武陵道人)-주세붕(周世鵬,1495~1554)조선중기의 문신.학자.

    무림(霧林)-김영기(金榮基)각체에 능한 서예가,

    무명당(無名堂)-민구주(閔九疇)민씨 5형제. 김종직(金宗直,1431~1492)의 문인(門人).

    무명정(無名亭)-안경방(安慶邦,1734~1819)이산(夷山) 황후간(黃後幹)에게 수업하여 학문이 깊었다. 밖으로는 중망(重望)과 위엄이 있었고 안으로는 충실 확고하여 후생의 사표가 되었다.
    무문(無門)-김세훈() * 제주중앙로타리클럽 회원.

    무불(無不)-선주석(宣柱石)- 서예가.

    무송헌(撫松軒)-김 담(金淡,1416-1464) 조선 세종 때의 천문학자. 본관 선성. 자는 거원(巨源), 영주 삼판서고택에서 태어나 1435년(세종 17)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 정자, 통사랑, 사헌부 감찰, 이조좌랑, 사간원 헌납, 성균관 직강, 홍문관 정자 등을 역임하였다.

    무아(無我)-이상홍(李相鴻)~

    무애(无涯)-양주동(梁柱東,1903~1977)한국의 시인.

    무언수(無言未)-각진국사(1270∼1355)고려시대 수선사(修禪社)16국사 중 제13세국사.법명-각진(覺眞).

    무여용(無如用)-김정희(金正喜,1786∼1856)조선 후기의 문신.북학파(北學派)의 한 사람,

    무열(武烈)-박원종(朴元宗,1467-1510)中宗때 영의정을 지냄.

    무외헌(無外軒)-김응현(金膺顯,1927~2007)쌍수서예의 최고명필.

    무웅(武雄)-이현정(李鉉正,1920∼1991)漢詩作家, 載寧 檜原寓錄.호=수헌(修軒)무적옹(無適翁)-정종로(鄭宗魯,1738~1816)조선 후기의 성리학자이다.영남의 학자.

    무진(無盡)-윤정근(尹廷根)남원 윤씨의 선조.

    무진(無盡)-조 삼(趙參,)편수관을 지내신 청백리(淸白吏).

    무하옹(無何翁)-박인노(朴仁老,1561~1642)무인,가사,문인,주요저서 《노계집(蘆溪集)》,《태평사(太平詞)》.
    무항(霧巷)-원 호(元昊,생몰 미상)조선 전기의 문신.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무호(無號)-이한복(李漢福)전각서예가,

    묵계(默溪)-윤희로(尹希老)-

    묵농(墨農)-김영기(金永基,1911~2003)서예가,한국근현대 화단에서 활동한 한국화가.성균서도회 지도강사(1966~1969).
    묵농(默農)-이유원(李裕元,1814~1888)고종 때 영의정을 지냄.

    묵선(墨禪)-심재영(沈載榮)전통서예가,

    묵연(默宴)-최동식(崔東植,1943~ )- 고려대학교 화학과 명예교수. 이학박사.외솔 최현배의 손자,
    묵연암()-김정희(金正喜,1786∼1856)~ 조선후기의 문신.북학파(北學派)의 한 사람,

    묵재(?齋)-김 비(金?,1613~ ? )~ 김장생의 아들.

    묵재(默齋)-허 적(許積,1610-1680)~ 顯宗때 영의정을 지냄. 

    묵재(默齋)-홍언필(洪彦弼,1476-1549)~ 仁宗때 영의정을 지냄.

    묵촌(默村)-강달욱(姜達旭,)~ 자는 우약(友若)이요,조선시대의 효자.수헌(守軒) 강숙경(姜叔卿)의 후손이다.성품이 효애스러웠고 어버이의 병을 모심에 똥을 맛보고 하늘에 빌었으며 정우(丁憂)에 이르러서는 최질을 벗지 않고 여묘에서 제를 마쳤다. 그 아우 달지(達之)도 또한 우애가 돈독하고 지극하여 향리에서 드러나게 알렸다.

    묵해(墨海)-김용옥(金容玉1914~1998)~ 서예가.

    묵헌(默軒)- 김복택(金福澤,1682-1740)~

    묵헌(默軒)- 민지(閔漬,1248~1326)~ 고려 후기의 문신.

    묵헌(默軒)- 서국석(徐國錫)~

    묵헌(默軒)- 심 례(沈澧)~ 趙光祖의 門人,

    묵헌(默軒)-심 풍(沈豊)~ 관찰사 겸 순찰사.

    묵헌(默軒) 전호우(田好雨)- 성균관 진사에 오름.

    묵헌(默軒)-정창주(鄭昌胄,1606~1664)~ 조선 후기의 문신.

    문경(文景)-강맹경(姜孟卿,1410-1461)~ 世祖때 영의정을 지냄.

    문곡(文谷)-김수항(金壽恒,1629-1689)~ 肅宗때 영의정을 지냄. 

    문당(文堂)-이후장(李後璋)~

    문두(文斗)-성담수(成聃壽, ? ~1456)~ 생육신의 한사람.

    문무자(文無子)-이 옥(李鈺,1760-1812)~

    문소(聞韶)-김홍락(金鴻洛)~

    문송(聞松)-안수관(安守寬)~ 退陶門人,판서(判書) 엄경(淹慶) 5세손이다.

    문숙(文肅)-장순손(張順孫,1453-1534)~ 中宗때 영의정을 지냄.

    문암(文菴)-이의철(李宜哲,1703-1778)~ 조선후기의 문신,英祖(영조)때 대사헌,大提學(대제학)을 지냄.

    문암(文庵)-정인기(鄭仁耆,1544~1617)~ 伽南亭관련4형제.

    문암일인(門巖逸人)-정약용(丁若鏞,1762~1836)~ 조선정조 때 의 문신이자 실학자, 시인, 철학자, 과학자, 공학자.
    문정(文定)-류순정(柳順汀,1459-1512)~ 中宗때 영의정을 지냄.

    문진도인()-김정희(金正喜,1786∼1856)~ 조선후기의 문신.북학파(北學派)의 한 사람,

    문충(文忠)-심순택(沈舜澤,1824-1906)~ 高宗때 영의정을 지냄. 

    문취당(文翠堂)-이 시(李 視,생몰년 미상)~ 조선전기의 종친.

    물기재(勿欺齋)-강응환(姜膺煥)~ 경상좌수사를 역임.

    물염(勿染)-송정순(宋庭筍)~ 성균관전적 및 구례,풍기군수를 역임했던 이 건립하였고,송정순의 호를 따서 물염정(勿染亭)이라 하였다.
    물재(勿齋)-노광리(盧光履)보유신편(保幼新編)지음,

    물재(勿齋)-손순효(孫舜孝,1427~1497)~ 조선 초기의 문신.우찬성과 판중추부사를지냈다.

    물제(勿齊)-노광이(盧光履)~ 함양의 유학자.강고 유심춘(江皐 柳尋春1762-1834)의 제자.
    미산(彌山)-이희선(李羲善,1874∼1945)~ 근대의 한학자.

    미산(眉山)-한장석(韓章錫,1832-1894)~
    미산(米山)-허 형(許 瀅,1862~1938)~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에 걸쳐 활동한 한국의 화가.

    미산(眉山)-황선덕(黃善德)- 서예가,

    미재(美齋)-남구만(南九萬,1629~1693)~ 조선후기의 문신.西人으로서 南人을 탄핵하였다.우,좌의정을 거쳐 영의정까지 지냈다.

    미촌(美村)-윤선거(尹宣擧,1610-1669)~ 조선후기의 학자.조선후기 소론의 태동,

    미해득()-김정희(金正喜,1786∼1856)~ 조선후기의 문신.북학파(北學派)의 한 사람,

    미헌(眉軒)-송상도(宋相燾,1871∼1946)~ 문인,애국지사.

    미호(渼湖)-김원행(金元行,1702-1772)~ 李縡의 門人으로서 老論 洛論을 대표하는 山林學者 農巖 金昌協의 嗣孫.

    민촌(民村)-황치봉(黃致奉)~ 서예가.
    밀물()-최민렬(崔玟烈)~ 한글서예와 한문서예를 겸비한 한국서단의 출중한 중견서예가.

    밀암()-김정희(金正喜,1786∼1856)~ 조선후기의 문신.북학파(北學派)의 한 사람,

    밀암(密庵)-이 재(李 栽, 1657∼1730)~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