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후서(2corinthia)
1. 배경
고린도 교인 중에는 바울이 먼저 번에 고린도 교회로 보낸 편지에서 말한 몇가지 조건을 아주 곡해하고 바울을 몹시 비평하였다.
그후 바울은 마게도냐로 가서 빌립보 에서 지난번 고린도로 보냈던 디도를 만났다.
그래서 디도에게서 고린도 교회의 형편을 듣고 디도를 보낸 목적이 성공된 것을 알고 안심할 수가 있었다.
그리하여 바울은 이 편지를 기록하여 디도와 그의 동행 편에 고린도로 보냈다.
2. 내용과 주요 사상
이 편지는 교리적 교훈이나 또는 교회의 질서 보다도 개인 적인 것을 다루었다는 점 에서 고린도 전서와는 다르다.
인간 바울이 보다 뚜렸하게 나타났는데 그의 감정, 희망, 혐오, 야심, 및 책임등이 그의 독자 앞에 모두 드러나 있다.
이 편지는 조직적인 교훈은 별로 없으나 고린도 전서 보다 개인적인 감정이 많으며 그리고 책의 구조도 고린도 전서와 같이 뚜렷하지 않다.
바울에게는 원수들의 중상과 비방이 많았다.
육체대로 행하는 자(고후10:2)겁쟁이다(고후10:10 )봉급을 받는 사람이 아니니까 진정한 사도가 아니다(고후11:7) 12사도중 하나가 아니니 까 복음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고후11:5, 고후12:11, 고후12:)추천서가 없다(고후3:1) 등 기타 여러가지로 중상하고 비방했다.
그러나 바울은 내 은혜가 네게 족하도다.
이는 내 능력이 약한데서 온전하여 짐이라(고후12:9)는 말씀에 따라 고난 중에서도 위안을 받았고 그리스도의 사랑과 보호하심을 받았다.
특징.
(1) 감정적이며 따라서 비조직적인 것.
(2) 변명적이며 따라서 저자의 자서전적인 것.
(3) 기본어는 “환난”이고 금언 격언적 구절이 많은 것.
3. 저자와 연대
1] 기록자와 수신자
고린도전서를 보낸 바울은 그 이전에 디모데를 파송하고, 이후에는 자신도 해로(海路)로 직접 방문을 하여(12:14) 교회문제를 수습하였으나 사정은 더욱 악화되었다. 바울은 다시 디도를 보내어 그의 복명(復命)을 기다렸으며 에베소를 떠나 마게도냐에서 그를 만나 본서를 썼다(7:6). 디도의 보고내용은 감사한 일과 바울의 사도권을 부정하는 등 슬픈 일이었으므로 본서의 내용에도 두 가지 색채가 완연하고, 그것이 본서의 분리설(기쁨의 편지: 1-9장과 눈물의 편지: 10-13장으로)까지 대두시켰다. 위와 같은 사정에서 저작의 목적은 교회의 오해에 대해 변명하고 교회문제들에 대해 지시를 주기 위함이었다.
2] 장소와 연대
이 편지를 마게도냐에서 56,7년경 썼을 것이다.
4. 내용 분해
1] 인 사 고후1:1-11
(1) 고후 1: 1 고린도 교회에 인사
(2) 고후 1: 3 고난받은 후에 받는 위로
2] 개인적 계획의 설명 고후1:12-2:11
(1) 고후 1:12 고린도를 방문하려는 바울의 계획
(2) 고후 1: 23 계획의 변경
(3) 고후 2:1 잘못한 자에 대한용서
3] 사도직에 대한 변호 고후2:12-7:4
(1) 고후 2:12 그리스도의 향기
(2) 고후 3:12 주의 영광을 바라봄
(3) 고후 4: 1 질그릇과 보물
(4) 고후 4: 7 질 그릇에 담은 보배
(5) 고후 4:16 겉 사람과 속 사람
(6) 고후 5: 1 땅의 집과 하늘의 집
(7) 고후 5:11 그리스도의 강권적인 사랑
(8) 고후 6: 1 은혜를 헛되이 받지 말라
(9)고후 6:11 화해에 대한 바울의 권면
(10) 고후 7: 1 환난 중의 바울의 기쁨
4] 편지의 결과에 대한 논평 고후7:5-16
(1) 고후 7: 5 교회의 회개를 듣고 기뻐함
5] 주신 은혜 고후8:1-9:15
(1) 고후 8: 1 참된 연보
(2) 고후 8:16 디도 일행을 파송함
(3) 고후 9: 1 성도를 위한 헌금
(4) 고후 9: 6 많이 심어야 많이 거둠
6] 개인적 변호 고후10:1-12:13
(1) 고후 10: 1 바울의 사도직에 대한 변론
(2) 고후 11: 1 사도 권에 대한 선포
(3) 고후 11:12 거짓 사도들
(4) 고후 11:16 바울의 고난
(5) 고후 12: 1 바울의 환상과 계시
(6) 고후 12:11 바울의 표적
7] 방문 준비와 결론 고후12:14-13:13
(1) 고후 12:14 헌신적인 봉사
(2) 고후 12:19 바울의 관심
(3) 고후 13: 1 마지막 권면과 인사
5. 내용 분해에 따른 개론
(1) 인 사
바울은 자기를 불신임하고 있는 고린도 교회에 대해서 자기의 사도됨을 다시 한번 밝혔다(고후1:1).
(2) 개인적 계획 설명
바울이 고린도 교회로 심방하기로 계획 했다가 변경한 이유와 범죄자가 회개하기를 얼마나 깊은 관심을 가지고 바란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3) 사도직에 대한 변호
바울은 율법과 복음을 대조시켜 자기의 사도적 책임과 사명에 대한 것을 밝히려고 하였다.
사도의 직분은 항상 우리를 그리스도 안에서 이기게 하시(고후2:14)는 것처럼 그리스도의 능력이 죄와 싸워 이겨서 예수의 포로와 종이된 것을 알리는 것이다.
사도직은 하나님께로 난 것이다(고후3:6). 이 직분은 성실해야 하며(고후4:5), 거기서 얻는 영광은 하나님께 돌려야 한다(고후4:15). 바울이 그의 선교 사업에 있어서 어떤 고난 이든지 인내하여 충성했던 것은 그리스도의 강권 하시는 사랑 때문이었다(고후5:14).
(4) 편지의 결과에 대한 논평
바울은 고린도 교인 들이 그의 보낸 편지로 인해서 근심하므로 회개에 이른 것을 기뻐하였다.
(5) 주신 은혜
예루살렘에 있는 가난한 교인들을 위하여 정성어린 헌금을 한 사실을 상기 시키고 있다.
우리 주 예수그리스도의 은혜를 너희가 알거니와 부요하신 자로서 너희를 위하 여 가난하게 되심은 그의 가난함을 인하여 너희로 부요하게 하려 하심이니라(고후8:9). 고 말한 것은 그리스도인은 다 하나님의 청지기라는 원리를 가르쳐 주신다.
주신은혜 에 대해서 또한 기쁨으로 바쳐야 한다.
(6) 개인적 변호
고후10장 이하는 바울의 어조가 돌변하여 반대자에 대한 격렬한 공격이 시작된다.
바울은 약하고 겁쟁이라는(고후10:10)난에 대해서 하나님의 능력을 깨우쳐 주었다.
바울은 복음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는 비난에 대해서는(고후11:5, 고후12:11, 고후12:)소위 사도 들의 것과 조금도 다름이 없다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바울은 진정한 사도가 아니라는데 대해서 자기가 고린도 교회를 도울수 있는 처지가 되기 위하여 다른 교회에서 경제적 도움을 받지 않았다고 말하고 있다.
(7) 방문 준비
세 번째 고린도에 가기를 준비하면서도 그가 "구하는 것은 너희 재물이 아니요 오직 너희니라" 고(고후12:14) 말하고 있다.
(8) 결 론 (고후13:11-13)
출처: 통일을 바라는 사람들의 모임 글쓴이: 바람의입맞춤